재외선거 투표 독려 나선 민주당...총선 미칠 영향은

김혜선 2024. 3. 18. 17: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2대 총선을 23일 앞둔 18일 더불어민주당이 재외선거 투표 독려 캠페인을 벌였다.

민주당은 과거 재외투표에서만큼은 보수 진영에 승리를 이어온 만큼 적극적으로 재외투표를 독려한다.

민주당은 역대 재외투표에서 유리한 성적을 받아 이번 22대 총선에서도 최대한 재외투표율을 끌어올리겠다는 방침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재외선거 투표, 3월 27일~4월 1일까지
이재명 “투표용지는 종이로 만든 탄환, 정권 심판 해달라”
민주당, 역대 대선서 재외투표 앞섰지만...총선 영향 제한적

[이데일리 김혜선 기자] 22대 총선을 23일 앞둔 18일 더불어민주당이 재외선거 투표 독려 캠페인을 벌였다. 민주당은 과거 재외투표에서만큼은 보수 진영에 승리를 이어온 만큼 적극적으로 재외투표를 독려한다. 다만 재외국민 투표는 절차적 복잡성으로 투표율이 현저히 낮아 이번 총선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상임선대위원장인 이재명 대표가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민주당 중앙당사에서 재외국민 투표 독려 캠페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해찬 상임공동선대위원장, 이 대표, 김부겸 상임공동선대위원장. (사진=연합뉴스)
18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중앙선거대책회의에 앞서 재외국민 투표 독려 캠페인을 열고 “정치의 주인은 국민이고 투표는 국민의 가장 강한 무기”라며 “23일 남은 정권 심판의 날에 동참해주시기를 바란다”고 호소했다.

이 대표는 “해외 재외국민께서는 지난 2년 대한민국이 어떻게 추락했는지 더욱 절실하게 느끼실 것”이라며 “세계 속 선도국가 대한민국이 독재화가 진행 중인 나라라고 손가락질 받는 지경”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투표용지는 종이로 만든 탄환”이라며 “국정을 잘못 이끈다면 투표를 통해 민심 경고장을 보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역대 재외투표에서 유리한 성적을 받아 이번 22대 총선에서도 최대한 재외투표율을 끌어올리겠다는 방침이다. 지난 20대 대선 당시 전체 선거 결과는 0.73%p 차이로 이재명 당시 민주당 후보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에 패배했지만, 재외투표에서는 이 후보가 59.8%를 휩쓸며 윤 후보에 승리했다. 지난 19대, 18대 대선 당시에서도 민주당은 재외투표에서만큼은 보수당에 승리했다.

21대 총선에서도 비례대표 정당 득표율은 더불어시민당이 1만 4069표로 미래한국당(9855표)을 훌쩍 넘었다. 열린민주당은 5960표였다.

선관위는 2023년 기준 투표가 가능한 재외국민 수를 약 246만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대표적인 캐스팅보트 지역인 충북은 159만명, 충남은 213만명인 것을 고려하면 선거 판세를 뒤집을 수 있는 수다.

그러나 재외선거 투표율은 국내 투표율에 비해 현저히 저조하다. 중앙선관위에 따르면, 이번 22대 총선에 재외투표를 하기 위해 등록한 재외 유권자는 총 14만7989명으로 전체 유권자의 10%도 참여하지 않았다. 이 중에서도 투표장에 나타나지 않는 유권자가 대부분이다. 지난 21대 총선에서는 코로나19 여파로 재외선거 투표제도 도입 이래 역대 최저인 투표율 23.8%를 기록했다. 이번 총선에서도 재외선거 유권자 수는 지난 2022년 제20대 대통령선거 때보다 34.6% 줄었고, 21대 총선에 비하면 14% 감소했다.

한편, 이해찬 공동선대위원장은 “백문이 불여일표다. 어떤 말보다 한 표가 당락을 가른다”며 “투표율이 65%를 넘겨야 우리가 이길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거당적으로 투표 독려를 줄기차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혜선 (hyeseo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