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타냐후, ‘총리 교체’ 주장에 반발했지만…우군 트럼프마저 등 돌리나

손우성 기자 2024. 3. 18. 15:1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NN 인터뷰서 조기 총선 주장 일축
“이스라엘인 다수가 나를 지지한다”
공격 중단 요구에도 “건망증” 날 세워
트럼프 “전쟁 끝내야” 네타냐후 압박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17일(현지시간) 예루살렘에서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와 회담한 후 기자회견을 열고 발언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미국 일각에서 제기된 ‘총리 교체’ 주장에 대해 강한 어조로 반발했다.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공격을 중단하라는 국제사회 요구에도 “건망증에 걸린 것 같다”며 거부 의사를 재차 밝혔다. 하지만 최대 우군으로 꼽히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까지 조속한 종전을 강조하면서 네타냐후 총리 입지가 더 좁아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네타냐후 총리는 17일(현지시간) CNN 인터뷰에서 자신을 포함한 이스라엘 지도부 교체를 주장한 척 슈머 미 연방 상원 민주당 원내대표 발언에 대해 “선출된 지도부를 끌어내리라는 발언은 매우 부적절하다”고 밝혔다.

이어 “(총리 교체는) 이스라엘 대중이 알아서 할 일이지만, 우리는 ‘바나나 공화국’이 아니다”라고 날을 세웠다. 바나나 공화국은 특정 농산물이나 원자재 수출에 기대 경제 체제를 가까스로 유지하고, 독재와 부패로 신음하는 권위주의 국가를 낮춰 부르는 용어다.

그는 또 “이스라엘인 다수가 나와 정부를 지지한다”며 “슈머 원내대표가 이스라엘 정부 정책을 반대한다면 이는 나를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이스라엘 국민을 반대하는 꼴”이라고 말했다.

유대계 미국인으로 미 정계에서 대표적인 친이스라엘 인사로 분류되는 슈머 원내대표는 지난 14일 상원 연설에서 “네타냐후 총리는 중동 평화의 장애물”이라며 이스라엘이 조기 총선을 열어 네타냐후 총리를 교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좋은 연설”이라고 호응하자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은 네타냐후 총리에 대한 미 정부와 여권의 인내심이 한계에 도달했다고 평가했다.

팔레스타인 주민이 18일(현지시간) 가자지구 중부 데이르알발라에서 이스라엘 공습으로 무너진 건물 잔해를 뒤져 생필품을 찾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네타냐후 총리는 이날 각료회의에선 가자지구 공격 중단을 요구하는 미국 등을 겨냥해 “국제사회 친구들에게 나는 ‘건망증이 있는가. 그래서 홀로코스트 이후 최악이었던 지난해 10월7일 유대인 학살을 그렇게 빨리 잊었느냐’고 묻고 싶다”며 “전쟁을 멈추라고 하는 사람들은 이스라엘군과 정부, 총리에 대해 거짓 주장을 하고 전쟁 중에 총선을 치르라고 말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가자지구 최남단 라파에 지상군을 투입하겠다는 뜻을 재확인했다. 그는 “국제사회 압박이 아무리 커져도 하마스를 소탕하고 인질을 석방하겠다는 우리의 목표를 꺾지는 못할 것”이라며 “라파 작전에 몇 주가 걸리겠지만 어쨌든 시행할 계획”이라고 못박았다. 이어 이스라엘을 방문한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와 회담한 뒤 기자회견에선 “우리가 많은 사람을 그곳(라파)에 가둬둔 상태에서 (작전을) 수행하진 않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네타냐후 총리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던 트럼프 전 대통령마저도 빠른 종전이 필요하다는 뜻을 내비치면서 이스라엘의 라파 지상군 투입 계획이 다소 어그러졌다는 시각도 있다.

이날 폭스뉴스에 출연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네타냐후 총리에게 무슨 말을 하고 싶은가’라는 질문에 “당신은 (전쟁을) 끝내야 하며, 이를 빠르게 해야 한다”며 “우리에겐 중동과 전 세계 평화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개전 후 전쟁 종식을 촉구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손우성 기자 applepi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