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조원 규모 국고채 10년물 입찰 소화… 3년물 금리, 4.8bp↑[채권분석]

유준하 2024. 3. 18. 12: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8일 국내 국고채 금리는 일제히 상승세다.

장 중 2조9000억원 규모 국고채 10년물 입찰을 소화한 가운데 오는 19일 일본은행(BOJ) 금정위를 시작으로 3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영란은행 통화정책회의가 예정된 만큼 경계감이 감도는 모습이다.

이날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국고채 2년물과 3년물 금리는 오후 12시32분 기준 3.407%, 3.353%로 각각 3.4bp(1bp=0.01%포인트), 4.8bp 상승 중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0년물 금리, 2.5bp↑…30년물 금리, 1.7bp↑
미국채 10년물, 아시아장서 0.6bp 내린 4.298%
일본은행, 장 중 3조엔 규모 국채 매입 입찰 공지
“내일부터 중앙은행 이벤트 랠리… 변동성 대비”

[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18일 국내 국고채 금리는 일제히 상승세다. 장 중 2조9000억원 규모 국고채 10년물 입찰을 소화한 가운데 오는 19일 일본은행(BOJ) 금정위를 시작으로 3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영란은행 통화정책회의가 예정된 만큼 경계감이 감도는 모습이다.

10년 국채선물 가격 5분봉 차트(자료=마켓포인트)
국고채 금리, 일제히 상승

이날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국고채 2년물과 3년물 금리는 오후 12시32분 기준 3.407%, 3.353%로 각각 3.4bp(1bp=0.01%포인트), 4.8bp 상승 중이다. 5년물은 4.1bp 오른 3.381%, 10년물 금리는 2.5bp 상승한 3.435%를 기록하고 있다.

이어 20년물 금리는 1.9bp 오른 3.404%, 30년물 금리는 1.7bp 오른 3.327%를 기록 중이다.

국채선물도 약세다. 3년 국채선물(KTB3)은 전거래일 대비 7틱 내린 104.50에, 10년 국채선물(KTB10)은 13틱 내린 112.76에 거래 중이다.

30년 국채선물은 거래가 체결되지 않아 보합권인 131.50을 기록 중이다.

아시아 장에서 미국채 금리는 0.6bp 내린 4.298% 수준을 보이며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채권 금리와 가격은 반대로 움직인다.

장 중 진행된 10년물 입찰 수요는 견조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18일 2조9000억원 규모 국고채 10년물 통합발행 경쟁입찰 결과 3.420%에 낙찰, 총 응찰 금액은 9조1560억원이 몰려 응찰률 315.7%를 기록했으며 응찰 금리는 3.380~3.455%로 집계됐다.

글로벌 중앙은행 회의 랠리 주간 “변동성 대비해야”

이날 시장 금리는 일제히 상승 흐름을 보인다. 마이너스 금리 정책 폐지 경계감이 나오는 일본은행 금정위와 3월 미국 FOMC 등을 앞두고 큰 폭의 변동성은 제한적인 모습이다.

한 자산운용사 채권 운용역은 “한 주간 중앙은행 이벤트가 연달아 있는데 내일은 국채선물 만기와 일본은행 이벤트가 공교롭게도 겹친다”면서 “일본은행 변수로 국채선물에서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이날 일본은행은 장 중 오전 10시쯤 입찰 공지를 통해 3조엔 규모 국채 매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해당 공지 이후 달러엔 환율은 149.3엔까지 뛰면서 엔화 약세를 보였다. 이번 매입은 사전 공지된 매입이 아니라는 점에서 시장에선 다소 의외라는 반응도 나온다.

이에 장 중 일본 국채 금리는 일제히 하락 중이다.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일본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1.38bp 하락 중이다.

유준하 (xylitol@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