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경기 회복 훈풍 부나… 산업생산·투자 ‘깜짝 증가’

베이징=이윤정 특파원 2024. 3. 18. 12:4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2월 산업생산·투자, 시장 전망치 상회
“中 추진력 얻었다… 성장 목표 청신호”
소비·부동산 부진 여전… 실업률도 상승

중국의 월간 국내총생산(GDP) 격인 산업생산과 고정자산투자가 시장 예상치를 웃돌며 중국 경제에 훈풍이 불고 있다. 하지만 부동산 경기는 여전히 부진한 데다, 내수 경기를 나타내는 소매판매도 성장세가 둔화하고 있어 올해 중국 경제가 확실한 반등 모멘텀을 마련했다고 보기엔 어려운 측면도 있다. 경제 지표의 향방이 엇갈리는 만큼 중국 정부는 당분간 상황을 지켜보며 기존에 발표한 부양책을 차근차근 실시할 것으로 보인다.

18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1~2월 산업생산이 전년 동기 대비 7.0%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증가율(6.8%)과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시장 전망치(5.2%)를 모두 뛰어넘었다. 공장, 광산, 공공설비 등의 총생산량을 측정한 산업생산은 제조업 동향을 반영하며 고용, 평균 소득 등의 선행 지표로도 활용된다.

산업생산 증가율은 지난해 5~10월까지 3~4%대에 갇혀 지지부진한 모습이었다. 그러다 11월 6.6%로 크게 뛰었고, 12월에는 2022년 1~2월(7.5%) 이후 가장 큰 폭의 월간 증가율을 기록하며 회복 신호탄을 쐈다. 로이터통신은 “산업생산 증가세가 지난해보다 빨라지고 예상치도 상회하면서 올해의 견고한 출발을 알렸다”며 “정책 입안자들에게 일시적이나마 안도감을 제공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산업생산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추이./중국 국가통계국

올해 첫 산업생산이 좋은 성적을 낸 것은 발전설비(34.1%)와 이동통신 단말기(26.4%), 금속절단 공작기계(19.5%), 반도체(16.5%) 등의 생산이 큰 폭으로 늘어난 영향이 컸다. 다만 한때 세 자릿수 증가세를 보였던 신에너지차(전기차·수소차·하이브리드차) 생산은 25.6%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에 따른 자동차 전체 생산량 증가율은 4.4%로 집계됐다.

농촌을 제외한 공장, 도로, 전력망, 부동산 등 자본 투자의 변화를 보여주는 고정자산투자 역시 올해 첫 2개월 동안 4.2% 증가하며 시장 전망치(3.2%)를 크게 상회했다. 국유부문 투자가 7.3% 증가하며 여전히 부진한 민간부문(0.4%)을 상쇄했다. 월간이 아닌 누적 기준으로 발표되는 고정자산투자는 지난해 1~2월(5.5%)에서 1~11월(2.9%)까지 내내 하락하다가 1~12월 3.0%로 반등한 바 있다.

중국 경제의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던 시점에 나온 이번 산업생산과 고정자산투자의 호조는 고무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블룸버그는 “놀랍도록 강력한 수치는 지난해 말 정책 입안자들이 경기 부양책을 강화한 이후 중국 경제가 추진력을 얻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며 “이러한 모멘텀을 유지하는 것은 올해 중국의 성장률 목표(5% 안팎)를 달성하는 열쇠가 될 것”이라고 했다. 지난 7일 발표된 1~2월 수출액 역시 시장 전망치(1.9%)를 크게 뛰어넘은 7.1% 증가하는 등 긍정적 지표가 지속해서 축적되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하이에서 건물 보수를 하고 있는 한 노동자./EPA

다만 중국 경제가 완전히 회복 모멘텀을 되찾았다고 보기엔 어려운 측면도 있다. 중국 내수경기를 나타내는 소매판매는 1~2월 5.5%를 기록했는데, 이는 지난해 12월 증가율(7.4%)보다 낮아진 것이고, 시장 예상치(5.5%)도 뛰어넘지 못했다. 소매판매는 백화점, 편의점 등 다양한 분야의 소비지출 변화를 나타내는데, 지난 2월에 8일간의 춘절(설) 황금연휴가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저조한 성적이다. 도시 실업률도 지난해 12월 5.1%보다 높아진 5.3%로 집계됐다.

중국 경제의 발목을 잡아 온 부동산 부문이 살아나지 않고 있다는 점도 문제다. 1~2월 전국 부동산 개발 투자액은 1조1842억위안(약 218조95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0% 감소했다. 지난해 1~12월(-9.6%)에 비하면 감소폭이 축소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부진한 상황이다. 부동산 부문 침체는 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가계 소비 여력을 깎아내릴 뿐만 아니라, 주택 구매 심리도 떨어뜨려 건설 등 산업 전반의 활력을 저하시킨다.

중국 정부가 당장 새로운 대규모 부양책을 내놓을 가능성은 적다. 먼저 통화정책 측면에서는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의 판궁성 행장이 지난 6일 은행 지급준비율과 기준금리 인하 등을 통해 시중에 돈을 추가로 풀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하지만 미국과의 금리차와 중국 시중은행의 낮은 수익성 등 상황을 고려하면 공격적인 금리 인하는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재정정책의 경우 1조위안(약 185조원) 규모의 초장기 특별 국채 발행과 수천억위안 규모의 ‘이구환신(以舊換新·구형 소비재와 설비의 신제품 교체)’ 정책을 시행하며 상황을 지켜볼 것으로 보인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