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美 반도체 보조금 8조, 한국은 0원...이래서 경쟁할 수 있나

2024. 3. 18. 11: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삼성전자가 미국 정부로부터 60억 달러(약 8조원) 이상의 반도체 보조금을 받을 것으로 알려졌다.

각국은 뒤질세라 수십 조원에서 수백 조원에 이르는 반도체 보조금 정책을 내놓고 있는데 국내 지원금은 한 푼도 없다.

미국이 칩스법에 따라 지원하는 반도체 생산 보조금 총액은 390억 달러 규모다.

인도도 13조원 규모의 직접 보조금을 내걸고 중국은 수백조원을 쏟아부으면서 반도체 패권을 노리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미국 정부로부터 60억 달러(약 8조원) 이상의 반도체 보조금을 받을 것으로 알려졌다. 지원금이 20억~30억달러 수준일 것이란 예상과 달리 파격적이다. 더 많이 투자한 대만 TSMC가 받는 보조금(50억 달러)보다 액수가 크다. 각국은 뒤질세라 수십 조원에서 수백 조원에 이르는 반도체 보조금 정책을 내놓고 있는데 국내 지원금은 한 푼도 없다. 세액 공제가 전부로 그나마 연말까지 시한부다. 이러다가 반도체 경쟁에서 뒤처지는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다.

미국이 칩스법에 따라 지원하는 반도체 생산 보조금 총액은 390억 달러 규모다. 이 보조금을 받기 위해 600개 이상 기업이 신청했을 정도로 경쟁이 치열하다. 삼성이 막대한 지원금을 받는 배경에는 삼성의 투자 추가 약속 외에 반도체 설계, 생산, 패키징까지 전 과정이 가능한 삼성의 강점과 TSMC 의존도를 낮추려는 지정학적 이유 등 여러 요인이 고려됐을 것이다. 역대급 보조금을 챙기게 된 삼성으로선 투자 여력이 커져 다행이다.

국가대항전이 된 반도체는 지금 ‘슈퍼 보조금 전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본은 4조원의 보조금을 지급해 TSMC 공장을 자국에 유치했고 유럽연합(EU)도 정부와 민간기업이 약 62조원을 투자해 유럽 내 공급망 구축에 나선 상태다. 인도도 13조원 규모의 직접 보조금을 내걸고 중국은 수백조원을 쏟아부으면서 반도체 패권을 노리고 있다. 반면 한국은 대기업 특혜라는 논란 때문에 보조금은 엄두도 내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10% 세액공제가 있지만 경쟁국의 25%에 비하면 턱없이 적고 그나마 연말에 끝난다. 각종 규제로 공장 짓는 것도 하세월이다. 일본 구마모토 TSMC 공장 건설에 5년 걸릴 공정을 1년 8개월 만에 뚝딱 지은 걸 보면서 부러워만 할 때가 아니다.

각국이 반도체 모시기에 목을 매는 이유는 간단하다. 모든 게 반도체 기반으로 바뀐데다 국가 안보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AI로 이런 추세는 더 가속화하고 있다. 그만큼 삼성 등 국내 기업의 경쟁 환경도 치열해질 수 밖에 없다. 미래 기술을 확보할 투자가 적기에 이뤄져야 하는 이유다. 자칫 미적대다 글로벌 경쟁에서 한 발 뒤처지면 따라잡기는 어렵게 된다. 보조금 지원은 물론 가능한 모든 자원을 총동원해 지원하고 국내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도 더 박차를 가해야 한다.

각국 보조금이 매력적이지만 ‘공짜 점심’은 없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미국은 보조금 수령시 중국 투자를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따져봐야 할 게 적지 않다. 정부의 외교적 뒷받침이 더 중요하다는 뜻이다. 국회도 말로만 반도체 지원을 외칠 게 아니라 국가 생존이 달린 만큼 입법을 통해 적극 지원에 나서야 한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