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20% 넘으면 이자 무효?…불법 사금융 부추길 우려도

김지혜 기자 2024. 3. 17. 20:5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제 공약 뜯어보기 ②
길거리 곳곳에 대출 광고 17일 서울 명동거리에 카드대출을 알리는 광고물이 벽에 붙어 있다. 최저신용자를 지원하는 서민 정책금융상품인 ‘햇살론15’의 작년 대위변제율은 21.3%로, 처음 20%대를 기록했다. 대위변제율은 빌린 사람이 원금을 갚지 못했을 때 정책기관이 은행에 대신 갚아준 금액의 비율이다. 연합뉴스
민주당 ‘3종 패키지 공약’
취약층 ‘금융 소외’ 가능성
법정 최고금리 인하 이후
대부업 위축에 사채 몰려
“계약 무효, 시장 혼란 불러
금리 탄력 조정이 현실적”

고금리·고물가로 신음하는 서민·소상공인을 겨냥한 공약이 쏟아지고 있다. 국민의힘은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와 원스톱 대환대출시스템을, 더불어민주당은 가산금리 인하·전 국민 생계비계좌 등이 포함된 ‘고금리 부담완화 3종 세트’를 내놨다.

특히 민주당의 3종 세트에는 법정 최고금리인 연 20%를 넘는 대출 계약에 대해 이자를 전부 무효화하는 파격적인 방안이 담기면서 관심이 쏠린다. 강력한 이자 제한이 서민의 이자 부담을 덜어주는 정책이라는 게 민주당 주장이다.

‘법정 최고금리 초과 계약 무효’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2021년 대선 경선 후보 시절부터 내건 공약이다. 이 대표가 2022년 7월 대표 발의한 이자제한법·대부업법 개정안은 이자율이 연 20%를 초과하는 대출의 경우 이자 계약 전부를 무효로 한다고 정한다. 최고금리를 초과하는 이자만 무효로 하는 현행법에서 한발 더 나간 것이다.

예컨대 연 35% 금리로 불법 대출이 이뤄진 경우 지금은 최고금리인 20%까지는 이자를 원금과 함께 갚아야 한다. 하지만 민주당 개정안에 따르면 이 경우 이자를 전혀 갚지 않아도 된다. 또 개정안은 최고금리가 40%를 초과하면 계약 자체를 무효로 처리, 이자는 물론 원금마저 갚지 않아도 된다고 규정한다.

강력한 페널티로 최고금리 20%를 수호해 서민을 보호한다는 게 법안의 골자인 셈이다. 그러나 이 같은 접근 방식은 오히려 취약계층의 금융 소외를 가속화한다는 지적과 함께 ‘연동형 최고금리 규제’ 도입 등이 논의되는 시점에서 기계적으로 최고금리 준수만 외치는 것은 ‘거꾸로 가는 공약’에 가깝다는 비판이 나온다.

한국금융연구원은 2021년 7월 법정 최고금리 인하(연 24%→20%) 이후 낮은 신용평점 등으로 대부업 시장에서 쫓겨나 불법 사금융으로 유입된 규모가 최소 1만8000명에서 최대 3만8000명에 이른다는 분석 결과를 내놓은 바 있다.

고금리로 자금조달 비용이 커진 대부업체들이 영업을 중단하거나 저신용자를 배제하면서, 금융 취약계층이 고리 사채 등 불법 사금융 시장으로 내몰리는 경향이 심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제 시장금리가 오르면서 대부업 시장은 빠르게 위축됐다. 한국대부금융협회에 따르면 69개 주요 대부업체 신용대출 신규 대출액은 2022년 1월 3846억원에서 지난해 9월 834억원으로 78% 급감했다. 같은 기간 신규 이용자 수 역시 3만1605명에서 1만1253명으로 64% 줄었다.

안용섭 서민금융연구원 원장은 “상위 19개 우수 대부업체의 자금조달 금리 추이를 보면 2021년까지 5.8%였다가 2022년 6.4%, 2023년 7.8%까지 치솟았다”면서 “고정된 최고금리만 강제할 것이 아니라 최고금리를 프랑스 등처럼 시장금리·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 등에 연동해 탄력적으로 조정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대부업 시장이 안정적으로 운영된다”고 말했다.

특히 최고금리 위반 시 계약을 무효화하는 법안이 장기적으로는 금융시장과 법 질서 전반에 큰 혼란을 가져올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김대규 서울디지털대 교수(법학)는 “사적 계약을 국가가 언제든지 무효화할 수 있다는 선례가 되기 때문에 법 시스템 전반이 흔들릴 수밖에 없다”면서 “당장 대손충당금 적립기준 등 함께 손봐야 할 법 조항들도 수두룩하게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 공약이 시행되면 계약 무효 소송과 단속이 잇따르면서 서민금융에 대한 회피부터 시작될 것”이라며 “그렇게 3금융권이 무너지면 1·2금융권을 포함한 금융시장 전체 생태계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불법 사금융 시장을 그저 ‘엄단’하려는 태도를 넘어 구조적 개선에 힘써야 한다는 제언도 나온다. 박덕배 금융의창 대표는 “지나친 규제나 탄압은 오히려 사금융 지하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최저임금처럼 이해관계자가 모인 심의기관을 통해 정기적으로 최고금리를 정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혜 기자 kimg@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