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와 스테인드글라스 … 동서양의 만남 촘촘히 빚어"

이향휘 선임기자(scent200@mk.co.kr) 2024. 3. 17. 16: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도자기 현대화 나선 도예가 이승화
"작품 하나 만드는 데 두 달 걸려
유리에 손 베이기도 수차례
그래도 손맛에서 오는 희열 커"
백자에 스테인드글라스를 끼워 넣은 작품들 사이에 서 있는 도예가 이승화. 김호영 기자

경기 하남의 한 지식산업센터. 제조업체가 들어설 법한 사무실 문을 여니 백자 수십 개가 놓여 있는 작업실이 떡하니 나타났다. 백자는 '여백의 미'를 자랑하는 달 항아리가 아니다. 곡면 곳곳에 구멍이 뚫려 있는데 형형색색 스테인드글라스 조각 수백 개가 채워져 있다. 전통적인 항아리 형태에 다채로운 현대미를 입은 새로운 K도자기의 탄생이다.

이 도자기를 손으로 빚고 굽고 색칠하며 유리를 끼워넣는 지난한 작업을 하고 있는 주인공은 도예가 이승화(32)다. 2019년 그룹전을 시작으로 전업 작가로 분투하기 시작한 지 6년 차에 접어들었다. 동서양을 각각 상징하는 도자기와 스테인드글라스의 만남이 색다르면서도 의미심장하다.

"가톨릭 신자여서 성당에서 결혼했는데 스테인드글라스의 영롱한 느낌이 좋았어요. 천상 세계로 연결되는 창문의 의미가 뜻깊게 다가왔지요. 그러다가 석사 때 능화창(도자기 외양에 그려진 창 문양)이라는 자료를 찾았는데 항아리가 보통 쓰임이 있지만 능화창은 기능보다 창 모양 안에 자연의 이미지를 가지고 온 것이 재미있었어요."

이 둘은 모두 오랜 공예품이라는 공통점을 안고 있지만 느낌이 사뭇 다르다. "도자기는 전통적 느낌이 강한 데 비해 스테인드글라스는 여전히 현대적이고 건축적이죠. 전통과 전통을 결합해 새로운 전통을 제시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어요."

서울과학기술대 도예과 학사와 석사를 밟은 뒤 단국대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년 전 석사 논문 주제가 '스테인드글라스를 이용한 도자 표현 연구-능화창을 중심으로'다. "도자기 전공이지만 다른 재료를 쓰는 데 관심이 많아요. 탈(脫)장르라고 할까요."

유리 조각을 통해 백자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는 점도 또 다른 매력이다. "보통 도자기 표면 장식이나 외형을 보고 예쁘다고 하죠. 전 항아리 내부가 궁금했어요. 스테인드글라스로 내부까지 들여다보면서 더 공감하고 소통할 수 있다고 봅니다."

최근에는 백자 구멍을 유리 대신 한지로 채우고 있다. 그는 스테인드글라스를 백자 표면에 접합하는 과정을 특허로도 등록했다. 층고가 높은 작업실에는 물레, 전기 가마, 스테인드글라스 등 재료와 장비가 가득하다. 작품 가격은 점당 수백만 원대로 백자에 구멍이 많이 뚫려 있을수록 비싸다. 그만큼 채워 넣는 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이다. "작품 하나 만들려면 두 달 정도 걸려요. 작업 과정이 너무 많죠."

작업 과정은 열 단계가 넘는다. 물레로 항아리 모양을 빚고, 이를 건조시킨 다음 조각칼로 구멍을 뚫는다. 투각 요법이다. 사포로 갈아내고 전기 가마에 온도를 800도로 맞추고 초벌을 한다. 그다음 매끈하게 사포로 문지르고 유약을 입힌 뒤 재벌한다. 이때는 가마 온도를 1250도로 올린다. 식은 백자를 꺼내 구멍마다 동테이프를 붙이고 틈에 맞게 스테인드글라스를 잘게 잘라서 글라인더로 도려낸 다음 일일이 붙인다. 이를 무연납으로 납땜해 고정시키고 광을 내는 작업까지 끝나야 작품 하나가 완성된다. "저 스스로 젊을 때 할 수밖에 없는 작업이라고 생각해요. 유리에 자주 손을 베이기도 하지요."

차분하고 섬세하고 파고드는 것을 좋아하기에 가능한 작업일지도 모른다. 미술계 반응은 고무적이다. 발상이 참신하고 독창적이기 때문이다. "아직 해외 무대에는 진출하지 않았는데 외국인이 어떻게 봐줄지 기대됩니다. 서양인에게 스테인드글라스는 우리보다 익숙한 재료라서요."

그는 입시 미술 때 그림을 그렸지만 손으로 흙을 만지고 나서야 희열감이 더 크다는 것을 체득했다. "흙으로 창조하는 과정에서 내 몸이 직접 개입하다 보니 성취감이 말할 수 없이 커요. 반대로 좌절감도 상당하지만요."

'어떤 작가가 되고 싶냐'는 질문에 는 "도예 분야를 새롭게 알린 작가가 되고 싶다"고 밝혔다.

[이향휘 선임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