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에는 나이가 없다"..'조발성 치매' 10년 새 3.6배 증가
CT, MRI, MRA 등 뇌 영상 검사로 진단
[파이낸셜뉴스] 올해로 예순을 바라보는 A씨(59)는 지난 2019년부터 심각하게 기억력이 떨어지자 이듬해 신경과를 찾아가 알츠하이머성 치매 진단을 받았다. 당시 그의 나이는 불과 55세였다. 2022년부터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받고 있는 B씨도 54세에 첫 진단을 받았다. 그는 혼자 살면서 생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술과 담배에 의존해왔다고 한다.
65세 이전에 발병하는 조발성 치매환자가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기준으로 국내 조발성 치매 환자는 전체 치매환자 90만여 명의 8%에 그치지만, 최근 급증하는 추세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9년 조발성 치매환자가 1만7772명이었으나 2019년 6만3231명으로 나타나 최근 10년 사이 3.6배나 증가했다.
흔히 65세 이상 노인 인구에서 많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진 치매가 요즘 들어 40∼50대로 발병 연령대가 젊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65세 이전에 발병하는 치매를 '조발성 치매'라고 한다.
조발성 치매는 노인성 치매에 비해 진행이 빠른 편이다. 기억력 감퇴 같은 인지 기능 저하 뿐 아니라 언어장애, 운동장애 등 임상 증상이 다양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조발성 치매의 진단은 자세한 병력 청취와 함께, 신경학적 검사, 심리 검사, 뇌 영상검사 등을 통해 이뤄진다.
자세한 병력 청취를 통해 조발성 치매의 발병 시기, 증상의 진행 속도, 동반 증상 등을 파악한다.
신경학적 검사를 통해서는 인지기능 저하 외에 다른 신경학적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게 된다. 심리 검사를 통해 인지기능의 저하 정도와 일상생활 수행 능력도 평가한다.
뇌 영상검사는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 영상(MRI), 자기공명 혈관촬영술(MRA)을 통해 뇌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을 확인한다.
조발성 치매는 알츠하이머병이 원인인 경우가 많으며, 전측두엽 치매, 혈관성 치매 등도 원인으로 꼽힌다. 젊은 세대에서 발생하는 알츠하이머는 디지털 기기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뇌 기능이 저하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국립보건연구원은 2021년부터 조발성 치매의 원인 진단을 위해 전국 31개 병원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조발성 치매환자 코호트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부산대병원 김은주 교수팀은 국립보건연구원으로부터 조발성 치매환자코호트 연구용역을 의뢰받아 수행한 결과, 조발성 치매를 일으키는 원인유전자를 새로이 규명했다.
전두측두엽치매의 한 아형인 '의미변이원발진행실어증' 환자로부터 기존에 밝혀지지 않은 유전인자 ANXA11의 새로운 병원성 변이(p.Asp40Gly)를 처음 발견했다. 의미변이원발진행실어증은 말하거나 쓰인 각각의 단어를 이해하지 못하고 단어와 사물을 연결, 이름 기억 등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조발성 치매의 증상으로는 기억력이나 판단력이 급격히 떨어진다는 것이다.
새로운 정보를 습득하거나 기억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으며 단어가 떠오르지 않거나 말을 이해하는 데도 힘들어한다. 감정 기복이 심해지거나 예민해지는 성격변화도 보이고 방향 감각을 상실하거나 길 찾는 걸 어려워하는 등 공간지각능력도 크게 떨어진다.
조발성 치매의 치료로는 약물치료와 비 약물치료가 있다. 알츠하이머병의 경우,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제나 NMDA 수용체 길항제 등의 약물을 사용한다.
비약물 치료로는 인지 재활 치료, 작업 치료, 언어 치료, 심리 치료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돕는다. 가족들에게 환자를 돌보는데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을 가르쳐 가족 간 유대를 강화함으로써 치료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조발성 치매를 예방하려면 평소 건강한 식습관과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의 과도한 사용은 뇌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디지털 치매와 건망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지양해야 한다.
부산 온종합병원 뇌신경센터 배효진 과장(신경과전문의)은 "조발성 치매는 경제활동을 활발히 하는 연령층에 발생하므로 환자는 경력이 단절되고 피부양자들은 이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 사회·경제적 부담이 심각하다"면서 "하지만 치매 관련 국내 연구는 대부분 노인성 치매에 치중되어 있어 조발성 치매에 대한 기본적인 역학특성과 인구학적 통계 등도 확립돼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어 "국내 환자의 정확한 임상, 유전적 특성 파악을 통한 예방, 관리 대책 마련을 위한 연구기반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roh12340@fnnews.com 노주섭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엄마하고 삼촌이랑 같이 침대에서 잤어" 위장이혼 요구한 아내, 알고보니...
- 한지일, 전재산 100억 잃고 기초수급자 "고독사 두려워"
- "치마 야하다고"…엄지인, 얼마나 짧기에 MC 짤렸나
- 이윤진 "'밤일'한다는 루머, 억장 무너져…열애설도 가짜"
- 오은영, 대장암 진단에 "하늘 무너지는 것 같았다"
- "파병 온 북한군, 인터넷 자유로운 러시아서 음란물에 중독"
- '조롱 논란' 박수홍♥김다예, 딸 출생신고 철회 "비상사태"
- '성관계 중독' 23세女 "남자면 다 잤다" 고백…이유는 [헬스톡]
- 명태균, 김 여사에 "청와대 가면 뒈진다"…용산행 관여?
- 반반 부부의 결말은 남편 공금 횡령? 코인 투자 전 재산 날릴 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