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너지 극대화 꾀한 CEO 이순신…거북선·판옥선, 경영 능력 결정판

2024. 3. 16. 00: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동한의 ‘충무공 경영학’ ②
임진왜란이 발발했을 때 조선 수군이 왜군을 격파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승리 요인은 조선의 무기체계와 전투선이 일본보다 우위에 있었다는 점이다. 그 무기체계를 정비한 사람은 이순신이었다. 한 마디로 조선 수군의 성공은 충무공 경영의 승리였다.

충무공은 개별 전투만 잘하는 무장을 넘어 종합 전략전술 능력을 가진 수군 CEO(최고경영자)의 수준에 올라 있었다. 수군을 기업에 비유하자면 전라좌수사 혹은 삼도수군통제사라는 최고경영자가 총괄 수군 경영의 책임을 진다. 여기에 재무관리와 전략적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CFO, 최고 정보책임자인 CIO, 인사총괄 책임인 CHO, 최고기술책임자인 CTO가 뒤를 받쳐주는 법이다. 충무공은 CEO인 동시에 병참과 보급 및 전략적 의사결정을 담당했으니 CFO의 역량까지 갖췄다고 볼 수 있다. 또 탐후선과 측후병을 동원한 갖은 정보들 속에서 전술정보를 분석해 내는 CIO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모든 가용한 인적 자원을 발굴하고 선발하는 CHO의 역할마저도 훌륭히 해냈다. 여기에 나대용과 정걸 같은 CTO(거북선 판옥선 조선 및 리모델링 기술진)를 배치해 전투선을 리빌딩했으니 최고 경영책임자 다운 면모를 제대로 갖춘 리더였다.

유성룡의 징비록엔 “순신이 거북선 창조”

충무공 경영의 비기 거북선. 1592년 5월 29일 사천해전에서 처음 선보였다. 사진은 전쟁기념관에 전시된 거북선 모형. [사진 윤동한]
충무공 경영 능력의 결정판은 판옥선과 거북선이었다. 전투용 선박에서 강점을 갖도록 준비한 거다. 조선의 전선(戰船)은 을묘왜변 이후 판옥선으로 대체됐는데, 1571년 11월 22일 『미암일기』에는 판옥선 1척을 만드는 것이 50칸 집을 짓는 것과 맞먹는다는 내용이 나온다. 소나무 100여 그루를 잘라내야 건조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전선 한 척 만드는 데 많은 인력과 목재와 조선기술자가 투입됐다. 1555년 이후부터 점차 개량되며 만들어진 판옥선은 기본적으로 일본의 전선에 비해 전투 능력이 뛰어났다. 기존 맹선 위에 네 기둥을 세우고 사면을 담장 치듯 판자로 한 층 올렸다. 노를 젓는 인원을 밑으로, 전투 인원을 갑판으로 올려 전투의 효율을 꾀했다. 배의 바닥이 평평해 물살이 빠르고 거친 한반도 수역에서도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일본의 주력함선인 세키부네와 안택선(대장선박)은 속도는 빠르지만 바닥이 뾰족한 첨저선인 데다 화포가 적어 대함 전투 능력이 크게 떨어졌다. 판옥선의 높이와 크기가 일본의 전선에 비해 높고 크다 보니 백병전을 앞세운 왜군이 침투하기 어려웠다. 이순신은 이런 판옥선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 천지현황포 등 화포 사격으로 근접전이 벌어지지 않게 막았다. 또 이순신은 일본 함대의 백병전 중심의 특성을 감안, 우리나라의 복잡하고 조류가 강한 남서해 해류 속에 끌어들여 적들을 궤멸시킬 수 있었다. 충무공의 수군 경영이 승리한 요체다.

조선수군의 화포. [사진 윤동한]
거북선의 화력은 가공할 만한 수준이었다. 좌수영 거북선의 경우, 거북 잔등에 좌우 6문, 그 아래 방패판에 좌우 10문, 거북머리 아래 좌우 2문 등 총 34문을 배치했다. 이보다 더 개량한 통제영 거북선의 경우 학자들마다 주장이 다르지만 총 74개 총포 구멍이 있어 훨씬 많은 화포를 활용할 수 있었다. 서애 유성룡의 『징비록』(1604년경 집필 초본)은 이순신이 거북선을 만들어냈다고 기술하고 있다. “순신이 거북선을 창조했다. 그 위에는 판자를 펼쳐 놓아 그 모습이 활등처럼 휘어져 거북이 같았다. 싸우는 군사와 노를 젓는 사람이 무릇 모두 그 안에 있었다. 전후좌우에 화포를 많이 실었다. 종횡으로 드나드는 것이 북같았다. 적선을 만나면 잇달아 대포로 부수었다.” 이순신의 조카 이분이 저술한 『이충무공행록』에는 거북선에 관한 더 상세한 기술이 나온다. “(이순신이) 전선을 건조했는데 크기는 판옥선만하고 위에 판자를 덮고 판자 위에 열십자 형태의 좁은 길을 내고 사람이 올라가 다닐 수 있게 했다. 그 나머지는 칼과 송곳을 꽂아 어디에도 발을 붙일 곳 없게 했다. 앞에는 용머리를 두었는데, 입에는 총을 쏘는 구멍이 있다. 뒤는 거북의 꼬리처럼 생겼는데, 그 꼬리 아래에도 총을 쏘는 구멍이 있다. 왼쪽과 오른쪽에 각기 6개의 총을 쏘는 구멍이 있다. 대개 그 모습이 거북이처럼 생겼기에 거북선이라고 불렀다”는 내용이 있다.

문제는 조정에서 수군의 전투선 건조부터 무기와 화약, 심지어 병참 군수의 모든 것을 지원해 주지 않아 스스로 해결해야 했다는 점이다. 이순신은 조선용 목재와 돛, 화약과 군복 등을 자체 조달해야 하는 처지였음에도 이를 훌륭하게 수행해냈다.

이순신의 함대 경영술을 보면 가장 중요하게 여긴 것이 상시 대응태세였다. 전선 한 척이 전투에 임하려면 포수와 살수, 사수 등 전투요원과 지원요원(격군, 신호수, 고수, 관측수) 전원이 임전태세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것이 가능하려면 몸에 익을 때까지 훈련하는 것이 최선이고, 이를 유지하기 위한 기강 확립도 대단히 중요한 법이다. 이순신이 전라좌수사로 부임하고 110일간의 난중일기 기록을 살펴보면 수군 CEO로서 그가 얼마나 수군 훈련에 열심이었는지를 엿볼 수 있다. 사료를 보면 “점검과 순시 15회(전체 일정 중 백분율, 18.5%), 활쏘기 29회(35.8%), 대포 쏘기와 거북선 준비 등이 15회(6.2%), 부정 비리 등을 조사한 일이 5회로 나타난다. 전체 70% 가까이가 전비 태세를 갖추는 일이었다.”

난중일기에선 탐후라는 말 24번 나와

그래픽=김이랑 기자 kim.yirang@joins.com
이순신의 수군 경영 수준은 난중일기 임진년 3월 5일자의 기록으로도 입증된다. “군관 등은 훈련용 화살을 쏘았다. 해 질 무렵 서울로 올라갔던 진무가 들어왔다. 좌의정(류성룡)이 편지와 『증손전수방략(增損戰守方略)』이라는 책을 보내왔다. 읽었더니, 바다 싸움과 육지 싸움, 불로 공격하는 것 등의 일을 하나하나 논의했다. 진실로 세상 그 무엇에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탁월한 이론이구나.” 이순신이 읽고 감탄했던 『증손전수방략』은 류성룡이 편집해 이순신에게 전해준 책이다. 이를 읽고 감탄했다는 것은 그가 전술을 충분히 이해하고 실전에 응용할 수 있는 실력을 갖추고 있었다는 의미다. 이순신은 조선 수군에 필요한 병법과 지리를 충분하게 터득했고, 이를 현지에 적용해 가기 위해 다채로운 정보전을 펼쳤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전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적의 동정을 살피고 미리 예측하는 것이다. 난중일기는 이를 후망(候望)이라고 기록했다. 정찰을 뜻하는 척후(斥候)와 높은 곳에서 적을 감시하는 요망(瞭望)을 합친 말이다. 『선조실록』 선조 26년(1593) 11월 2일에는 류성룡이 “행군할 때 먼저 선봉을 보내어 험한 곳이 있으면 달려와 알리는 자는 척후이고, 높은 곳에 올라 망보아 성식(聲息)이 있으면 달려와 알리는 자는 요망(瞭望)입니다”라고 말하는 장면이 기록되어 있다. 난중일기에선 탐후라는 말이 24번 나온다. 특히 탐후선의 활용을 자주 언급했다. 탐후선은 연락 담당 배로 각 전선과 해당 지역의 적정, 아군 상황 등을 보고하는 것이 주 임무였다. 후망은 5회, 척후는 21회, 체탐은 8회 사용됐다. 모두 적정 탐지와 보고를 위한 것이었으니 이순신은 적의 정세를 모르고는 조금도 움직이지 않았다. 쓸데없는 출동으로 시간과 인력, 물자를 낭비하지 않으려 한 것이다.

이처럼 이순신은 지리(地利) 경영과 인적 경영(전투인원의 효율적 배치), 물적 경영(화포, 전선의 성능 개량)을 투입해 전투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줄 아는 경영자였다.

이순신은 판옥선과 거북선, 총포와 화약을 앞세워 임전태세에서 이미 확실한 우위에 서 있었기에 왜군과의 전투를 하기 전에 이미 승기를 잡은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이는 치열한 글로벌 기업 경쟁의 승패가 제품 출시 이전의 개발 단계에서 이미 정해지는 것과 같은 이치다.

윤동한 한국콜마 회장㈔ 서울여해재단 이사장. 1990년 단 3명의 직원과 함께 화장품 제조업체 한국콜마를 창업해 연간 3조원 매출의 K뷰티 중추기업으로 성장시켰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 연구에 열정을 쏟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난중일기’‘장계’ 등 이순신 장군의 기록을 집대성한 『이충무공전서』의 한글 번역 사업을 총괄했다.

Copyright © 중앙SUNDAY.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