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대출자산 줄이기·다중채무자 파악 총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저축은행 업계가 오는 7월 가계대출 다중채무자에 대한 추가 충당금 적립을 앞두고 대출 자산 줄이기에 총력을 쏟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7월부터 (가계신용대출) 다중채무자 파악 작업을 거쳐 9월 말 추가충당금을 적립하게 될 것"이라며 "현재도 저축은행들은 매분기 대출채권의 자산건전성을 분류해 단계별 대손충당금 최소적립률 이상의 충당금을 쌓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출 절반이상 신용점수 하위 20%
저축은행 업계가 오는 7월 가계대출 다중채무자에 대한 추가 충당금 적립을 앞두고 대출 자산 줄이기에 총력을 쏟고 있다. 금융권에선 일부 저축은행 가계신용대출의 절반 이상이 신용점수 하위 20%에 해당해 올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과 함께 업권의 주요 뇌관이 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3분기 저축은행업권은 6조원에 가까운 충당금을 쌓으면서 1400억원이 넘는 적자를 기록했는데, 다중채무자에 대한 충당금까지 적립하고 나면 적자폭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15일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한신평 신용등급을 보유한 7개 저축은행(BNK·신한·IBK·SBI·우리금융·JT친애·푸른상호저축은행)의 지난해 9월 말 기준 총여신 대비 위험노출액 비중은 58% 수준이다. 이 위험노출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가계신용대출은 2022년 이후 연체율이 크게 상승했는데, 2021년 3.6% 수준에서 지난해 9월 8.3%까지 뛰었다.
특히 신용등급 하위 20%거나 점수가 없는 대출자들의 비중이 갈수록 늘고 있다. 한신평에 따르면 가계신용대출 신용점수 분포에서 이들 비중은 2021년 12월 45.9%에서 2022년 12월 48.3%, 지난해 9월 50.7%를 기록해 절반을 넘어섰다. 대출자가 여러 곳에서 대출을 받거나 다른 대출이 연체될 경우 신용점수는 하락한다.
문제는 올해 7월부터 가계대출 다중채무자에 대한 충당금 추가 적립도 필요하다는 점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저축은행이 금융기관 5~6사 이상을 이용하는 다중채무자에 대해 충당금 요적립률의 130%를 적립하고, 7사 이상일 경우 요적립률의 150%를 적립해야 한다는 감독규정을 의결했다. 상호금융·카드업권과 달리 저축은행업권은 추가 충당금 규정이 없었지만, 지난해 연체율이 급등하면서 조치에 나선 것이다.
저축은행의 다중채무자 비중은 2022년 말 기준 77.4%로 은행(27.3%)에 비해 3배 가까이 높아, 위 규제가 시행되면 상당수 저축은행은 추가 충당금을 적립하게 된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7월부터 (가계신용대출) 다중채무자 파악 작업을 거쳐 9월 말 추가충당금을 적립하게 될 것”이라며 “현재도 저축은행들은 매분기 대출채권의 자산건전성을 분류해 단계별 대손충당금 최소적립률 이상의 충당금을 쌓고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79개 저축은행이 쌓은 충당금 적립규모(누적 기준)는 20022년 9월 말 5조39억원 수준에서 지난해 9월 말 5조9927억원으로 9888억원 급증했다. 반면 같은 기간 이자수익을 낼 수 있는 대출자산은 111조6761억원에서 102조5745억원으로 9조1016억원 대폭 감소했다.
이에 따라 올해도 저축은행업권 적자는 지속될 전망이다. 저축은행업권의 누적 적자는 1분기 말 523억원에서 3분기 말 1413억원으로 불었다. 지난해는 저축은행업권이 2014년 2분기 이후 9년 만의 적자를 기록한 해다.
저축은행업권 관계자는 “예상 가능한 충당금 적립 추정치가 있지만 각 저축은행이 7월 전까지 다중채무자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면서도 “충당금 부담은 계속해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한신평 관계자도 “적자 부담은 가준금리가 큰 폭 내려가지 않는 이상 해소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충당금 부담에 더해 전반적인 저축은행업권 이익 체력이 좋은 상황은 아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문혜현 기자
moone@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류준열·한소희, 하와이發 열애설 확산…“체류 맞지만 사생활 확인 NO”
- 이지혜, 생애 첫 퍼스트클래스 타 본 소감...“대단한 사람이 된 것 같아”
- “박정희 존경, 육영수 어머니처럼…” 김흥국이 밝힌 다큐 제작 이유
- 13살 딸의 ‘비밀폰’…숨겨진 남친, 알고 보니 49살?
- 윤도현 "박태희 형이 쓴 '나는 나비' 저작권료, 끊이지 않는 샘물 같아"
- “‘암투병’ 아내 간호 완치시켰는데 댄스 동호회가더니”…블랙박스 ‘충격’
- 허경환, 의사와 올해 결혼?…"소개팅 끝나고 연락처 교환"
- 혜은이,'우이혼' 억대 출연료 제의 받았지만… 前남편 김동현과 고민하다 거절
- “알바 왜 해, 바보야? 돈이 복사 되는데”…비트코인 수익 인증글 눈길
- '하반신 마비' 강원래, 발목 부상 군인 조롱한 정봉주에 한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