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문화예술의 '못자리' 학전, 오늘 문 닫는다

장병호 2024. 3. 15. 06: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광석을 비롯한 가수들, 설경구·김윤석·황정민·방은진·조승우 등 배우들을 키워내며 한국 문화예술계를 이끌어온 대학로 소극장 학전(學田)이 33년 역사를 뒤로하고 15일 마침내 문을 닫는다.

학전은 '아침이슬', '상록수' 등의 노래로 잘 알려진 가수 김민기가 1991년 대학로에 문을 연 소극장이다.

학전 폐관 소식이 전해진 뒤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예술위)는 소극장 학전 공간을 계속해서 운영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학전 어게인 콘서트' 끝으로 15일 정식 폐관
별도 행사 없이 공연 장비 철거하며 마무리
아티스트·관객 "추억 영원하길" 한 마음
기존 공간 예술위가 운영…7월 재개관 예정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고(故) 김광석을 비롯한 가수들, 설경구·김윤석·황정민·방은진·조승우 등 배우들을 키워내며 한국 문화예술계를 이끌어온 대학로 소극장 학전(學田)이 33년 역사를 뒤로하고 15일 마침내 문을 닫는다.

지난 14일 서울 종로구 대학로 소극장 학전(학전블루 소극장)에서 열린 ‘학전 어게인 콘서트’ 마지막 날 공연에서 배우 황정민이 노래를 하고 있다. (사진=HK엔터프로)
지난 14일까지 ‘학전 어게인 콘서트’를 진행한 학전은 이날 공식 폐관한다. 학전 측에 따르면 이날 극장 폐관과 관련한 별도의 행사는 열지 않는다. 공연을 위해 설치한 장비 등을 철거하며 학전의 마지막을 조용히 마무리할 예정이다.

학전은 ‘아침이슬’, ‘상록수’ 등의 노래로 잘 알려진 가수 김민기가 1991년 대학로에 문을 연 소극장이다. ‘배움의 밭’이라는 이름 그대로 한국 문화예술계에 씨앗을 뿌리고 이를 키워온 ‘못자리’였다. 한국적 뮤지컬을 대표하는 ‘지하철 1호선’이 이곳에서 초연해 4257회 공연했다. ‘우리는 친구다’, ‘고추장 떡볶이’ 등 우수한 어린이 공연도 다수 선보였다.

학전의 마지막은 학전 출신 가수, 배우들이 장식했다. 이들은 지난해 10월 학전의 폐관 소식이 전해진 뒤 뜻을 모았고, ‘학전 어게인 콘서트’라는 이름으로 2주간 총 20회 공연을 진행하며 관객과 만났다.

출연진들은 학전의 폐관을 누구보다도 안타까워했다. ‘학전 어게인 콘서트’의 포문을 연 가수 윤도현은 “학전에서 음악을 시작했다. 리허설 때부터 눈물이 흘렀다”며 “추억이 많은 곳이 사라진다고 하니 야속하기도 하고 아쉬움이 크다”고 밝혔다.

듀오 유리상자의 이세준은 “27년 전 유리상자로 학전에서 첫 공연을 한 기억이 마치 며칠 전 일처럼 또렷한데, 이곳이 사라진다는 것이 안타깝고 아쉽다”고 말했다. 1994년 ‘지하철 1호선’ 초연에 참여했던 배우 설경구는 “학전이 없어진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학전은 마음속에 영원히 자리 잡을 것”이라고 전했다.

소극장 학전 전경. (사진=HK엔터프로)
이들은 학전은 비록 사라지더라도 학전의 정신, 더 나아가 ‘김민기 정신’은 영원하길 바랐다. 1996년 ‘지하철 1호선’에 출연했던 배우 김원해는 “멋모르고 세상을 살던 20대 중반, 김민기 선생님이 가르쳐준 나눔의 미학을 잊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가수 하림은 “‘김민기 정신’은 음악으로 세상에 위로를 주고, 사회에 메시지를 던지는 것”이라며 “음악으로 엄청난 일을 한 ‘김민기 정신’을 잊지 않겠다”고 각오를 전했다.

관객도 학전 출신 가수, 배우들처럼 학전의 추억이 사라지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울산에서 온 김현주 씨는 “90년대부터 학전을 다녔는데 마지막이라고 해서 아쉽고 슬프다”며 “학전의 추억을 오래 기억하고 싶고, 언젠가 다시 만나고 싶다”고 말했다. 정유리 씨는 “학전에서의 마지막 공연은 문화사적으로 의미 있는 시간이라 생각한다”며 “학전을 다른 곳, 다른 모습으로 만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학전’이라는 이름은 사라지지만, 학전이 남긴 공간과 그 정신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학전 폐관 소식이 전해진 뒤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예술위)는 소극장 학전 공간을 계속해서 운영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이와 관련해 학전은 “어린이와 청소년, 신진 음악인을 위해 써달라는 김민기 대표의 뜻을 잇되, ‘학전’ 명칭은 쓰지 않길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

예술위는 소극장 학전 공간을 어떻게 운영할지 현재 논의 중이다. 민간단체에 공연장 운영을 위탁하는 방식과 예술위가 공연장을 직접 운영하는 방식 등이 거론된다. 예술위 관계자는 “문예기금을 통해 기존 공간을 운영할 것이며, 문체부와 협의하며 관련 행정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라며 “조만간 학전 운영 방안을 결정할 것이며, 이후 공연장 내부 시설 개보수 등을 거쳐 7월 재개관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11일 서울 종로구 대학로 소극장 학전에서 열린 ‘학전 어게인 콘서트’ 중 ‘학전 배우 DAY’ 공연 장면. (사진=HK엔터프로)

장병호 (solani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