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컨 해운시장 둔화…장기계약 모델 개발해야”
- 향후 10년 선대량 年 3.6% 증가
- 물동량比 많이 늘어 운임 악영향
- 녹색항로 개발, 디지털 전환 절실
- KMI “선화주 상생정책 보완을”
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간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와 글로벌 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컨테이너 해운시장 전망도 어둡다. 컨테이너 물동량 역시 향후 10년간 증가세가 둔화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대응 전략과 선화주 상생 방안에 대한 관심이 높다.
14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의 ‘컨테이너 해운시장 수급 전망과 과제’ 연구보고서를 보면 2023년 컨 물동량은 2억125만 TEU를 기록할 것으로 추산된다. 10년 후인 2033년 컨 물동량은 연간 약 3.4%씩 증가해 2억8163만 TEU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2010~2022년 컨 물동량 연평균 증가율(3.6%) 대비 낮은 수치다.
컨테이너 선박 선대량도 연평균 약 3.6%씩 증가해 2033년 글로벌 컨 선대는 7218척, 약 3520만 TEU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2023년과 비교해 용량은 31% 증가하지만 선박 대형화로 척수 증가율은 18.2%에 그칠 것으로 나타났다. 컨 운임 역시 당분간 손익분기점 수준에서 형성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전서연 해운정책연구실 전문연구원은 “다만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친환경 선대 교체, EU 탄소세 부과 등의 요인으로 할증료와 같은 운영비용 상승에 따른 운임 상승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대응 전략으로는 수요 예측 및 시장분석 역량 제고를 위한 ‘해운시장분석 서비스’ 제공을 비롯해 녹색해운항로 구축 확대, 해운산업의 디지털화 촉진 등이 꼽혔다. 공공차원에서 이 같은 서비스를 개발 제공해 선사의 위험관리 역량을 높여야 한다는 분석이다.
녹색해운항로란 선박에서 항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술을 적용해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항로를 말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미국과 녹색해운항로 개발에 나섰으며 호주 싱가포르와 협력을 추진 중이나 더욱 적극적인 확대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또 선사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디지털 전환 기술 개발 및 활용 지원, 관련 인력 양성, 민관 협력 오픈 이노베이션 운영 등 디지털 전환 추진 지원정책도 필요하다.
세계 경기 불확실성 증가와 각종 해운항로 리스크 발생 등에 따라 국내 선·화주의 상생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 대외무역 의존도는 99.5%에 달해 수출입이 국가 경제 발전의 핵심이다. 이 때문에 국제운송 안전성과 주요 항로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
정부는 선화주 상생을 위해 우수선화주 인증 제도를 2020년 도입해 시행하고 있다. 우수선화주로 인증되면 우대금리 정부사업 가점, 우수기업 정부 포상 등의 혜택을 받는다. 여기에 선사는 해양진흥공사 투자수익률 할인 및 보증료율 인하, 항만시설 사용료 감면, 화주는 운송비용 일부를 법인세서 공제, 수출신용보증 보증한도 확대 등의 인센티브를 각각 받는다. 그러나 감면 조건이 까다롭고 혜택이 낮아 실제 효과가 미미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선화주 간 상생을 높이기 위해 화주업 측면에서 ▷해운산업 투자 유도 ▷선화주 협력 위한 지원제도 강화 ▷컨 화물 장기운송계약 모델 마련 등이 제안됐다. 선주와 화주는 해운 시황에 따라 수익구조가 대립되는 트레이드 오프(Trade-Off) 관계다. 화주가 해운업계에 투자하면 불필요한 변동성을 줄일 수 있어 실질 운임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우수선화주 인증제의 혜택을 늘리는 한편, 국가필수선대제도 지원비용을 운항비 보조까지 확대해 화주가 더 효율적인 비용으로 국적선사를 이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류희영 해운시장연구센터 전문연구원은 “현재와 같은 단기 계약 중심은 불황기에는 운임변동성 확대 화주의 다양한 요구 미반영 등의 단점이 있다. 장기운송계약 모델을 개발하면 선박의 PF금융과 선박 확보에 유리하고 추가 운임인하 여력도 있어 상호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고 말했다.
|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