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평선] 1983년 한국, 2024년 필리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편집자주<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한국일보>
미 블룸버그통신은 "미국이 중국의 반도체 기술 통제를 강화하고 한국 대만 반도체 산업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동남아 국가 투자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편집자주
<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모두 담지 말라는 속담이 있다. 왜 우리는 그 많은 반도체를 한두 개 나라에서만 사야 하나. 이건 지정학이 아니라 집중화 문제다.”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장관이 지난 12일 필리핀 마카티에서 열린 비즈니스 포럼에서 한 발언이다. 미 블룸버그통신은 “미국이 중국의 반도체 기술 통제를 강화하고 한국 대만 반도체 산업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동남아 국가 투자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시계를 41년 전으로 돌려 보자. 집적 회로와 마이크로칩의 발명가이자 인텔 창업자인 로버트 노이스는 동업자 앤디 그로브에게 “한국인과 함께하면 그들이 일본보다 더 저가로 판매할 테니, 일본이 덤핑으로 세계 D램 시장을 독점하는 일이 불가능해지며 결국 일본의 칩 제조사들은 치명적 결과를 맞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텔은 이런 계산 속에서 삼성과 1980년대 반도체 합작투자에 참여한 미국 기업 중 하나가 됐다.
□1983년 2월 8일.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 회장은 “삼성은 반도체를 만들 것이며, 적어도 1억 달러를 쓸 것”이라고, 후일 ‘2·8 도쿄선언’으로 명명된 계획을 공개했다. 당시 D램 분야 선두 주자인 일본 미쓰비시는 ‘삼성이 반도체 사업에서 성공할 수 없는 다섯 가지 이유’라는 보고서를 냈다. 이런 냉소를 극복하고 삼성이 D램 분야 세계 최고가 된 데는 초기 인텔을 비롯한 미국 기업들의 도움이 큰 역할을 했다.
□41년이 흐른 지금. 미국은 또 한 번 주요 반도체 생산시설 이전 방침을 세운 듯하다. 80년대 한국 반도체의 우군이던 미 인텔과 마이크론은 현재 가장 강력한 경쟁자로 바뀌었다. 한국 반도체 산업은 기로에 서 있다. 40년 전 일본처럼 ‘No(노)라고 말할 수 있다’는 자만심에 취한다면 비슷한 길을 걷게 될 것이다. 그렇다고 미리 낙담할 필요도 없다. 생산시설의 미국과 동남아 분산은 피할 수 없겠지만, 핵심기술을 지키며 생산시설 분산 과정에서 이익을 키울 수 있는 고차원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제2의 ‘2·8 선언’이 절실하다.
정영오 논설위원 young5@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현주엽은 목요일마다 '먹방', 코치는 학부모가 '셔틀'... 이게 휘문고 농구부 현실 | 한국일
- 전교 1등 고딩 엄마의 안타까운 사연…야산서 홀로 출산 ('고딩엄빠4') | 한국일보
- '여장'하는 자괴감에 울었던 아이돌, '고려거란전쟁'서 땀으로 소매 적시며 연기했다 | 한국일보
- 재벌과 결혼? 쌍둥이 자녀? 이태곤, '살림남'서 루머 해명 | 한국일보
- 백일섭 "늦게 철들어…이제야 자식 소중함 보인다" | 한국일보
- "벤츠가 하늘에서 떨어졌나?" 만남의광장 '황당' 주차 어쩌다 | 한국일보
- 이강인 국대 발탁에 보이콧?… 태국전 2시간 만에 전석 매진 | 한국일보
- 아빠 되고 변한 송중기, "마음가짐 달라졌다" [인터뷰] | 한국일보
- '사생활 폭로' 황의조 형수, 1심 징역 3년 실형 선고 | 한국일보
- [단독] 최태원·노소영 '세기의 이혼'에 노태우가 소환됐다 |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