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드라마 나온 유명 산후조리원 '먹튀'…임산부 '날벼락'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5월 출산을 앞둔 30대 임산부 김모 씨는 지난 1월 서울 마곡동의 한 산후조리원을 예약했다.
100명이 넘는 임산부에게 출산 직후 이용할 산후조리원 예약금과 이용료를 받아 챙긴 뒤 연락을 받지 않고 있어서다.
일당은 D 산후조리원 마곡 지점에서 예약자를 모집한 뒤 지난 1월 말 돌연 폐업, 예약금 등을 돌려주지 않는 혐의를 받는다.
폐업 뒤 출산한 몇몇 산모는 다른 산후조리원을 급히 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월 출산을 앞둔 30대 임산부 김모 씨는 지난 1월 서울 마곡동의 한 산후조리원을 예약했다. 유명 드라마에 나왔다는 얘기에 안심하고 비용을 완납했으나, 산후조리는커녕 한 푼도 돌려받지 못하고 있다. 임신 막바지인 그는 “스트레스 때문에 자궁 수축과 하혈을 겪었다”고 토로했다.
유명 산후조리원 프렌차이즈 D사에서 ‘먹튀 사기’ 의혹이 불거졌다. 100명이 넘는 임산부에게 출산 직후 이용할 산후조리원 예약금과 이용료를 받아 챙긴 뒤 연락을 받지 않고 있어서다. ‘예비 산모’인 피해자들은 극심한 스트레스를 호소하고 있다.
유명 산후조리원서 '먹튀'가?...160명, 3억원 피해
14일 경찰에 따르면 서울 강서경찰서는 사기 혐의로 유명 산후조리원 프랜차이즈 허모 상무 일당을 입건해 수사 중이다. 일당은 D 산후조리원 마곡 지점에서 예약자를 모집한 뒤 지난 1월 말 돌연 폐업, 예약금 등을 돌려주지 않는 혐의를 받는다.
160명가량의 임산부가 떼인 돈은 3억원 남짓이다. 산후조리원 이용 경험이 없는 20~30대 ‘초산 예비산모’가 대부분이다. 폐업 뒤 출산한 몇몇 산모는 다른 산후조리원을 급히 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D사는 2019년 경기 파주시 운정신도시에 처음 문을 열어 수도권 전역에서 유명해진 프랜차이즈 업체다. 유명 강사나 쉐프들을 초청해 강연을 열거나 드라마에 장소를 협찬하는 방식으로 인지도를 쌓았고, 전국에 지점을 아홉 곳 두고 있다.
D사 마곡지점은 지난해 말부터 당일 계약을 하면 2주 700만원 이상인 이용료의 20%를 깎아준다며 예약자를 모았고, 1월 말 사전 고지 없이 폐업했다. 30대 산모 박모 씨는 “예약한 그다음 날 폐업했다는 사실을 나중에 알았다”고 말했다.
지점은 항의하는 일부 예약자들에게 환불을 약속하는 확인서를 써주기도 했다. 하지만 예약금 70만원을 지불한 몇몇 임산부만 환불받았을 뿐, 500만~800만원가량의 이용료 전액을 지불한 나머지 임산부는 대부분 환불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타 지점까지 번질 가능성도...산모들, "우린 어떻게 하라고"
피해자 모임 등에 따르면 D사 마곡지점은 폐업 전 월세 체납 등의 문제로 건물주로부터 명도 소송을 당했다. 해당 지점이 폐업을 앞두고도 예약자를 모아 ‘먹튀’를 했다고 추정되는 이유다.
피해자 대표 A씨는 “D 프랜차이즈의 다른 지점에도 피해자가 생길 수 있다”고 했다. 마곡점을 운영하던 허 상무 가족이 다른 지점도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져서다.
D사 동탄지점은 지난해 9월 문을 열 예정이었지만, 공사를 마무리 짓지 못했고, 해당 매장은 올 초 다른 프렌차이즈 간판을 달고 개업한 것으로 전해졌다.
돌려막기 의혹도 나오고 있다. 다른 피해자 B씨에 따르면 D사 관계자는 “다른 지점 계약자들의 계약금과 이용료로 최대한 돌려줄 예정이니 기다려 달라”고 피해자를 안심시킨 것으로 전해졌다. B씨는 “지금은 업체가 연락받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저출산이 심각해지며 산후조리원이 줄고 있고, 사전 예약에 선불로 지불하는 관행이 자리 잡으며 피해가 커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국 산후조리원 수는 2016년 말 617개에서 지난해 말 469개로 7년 새 23.9% 감소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프랜차이즈업체 특성상 한 지점의 먹튀가 브랜드 가치에 영향을 미쳐 타 지점도 연달아 무너질 수 있다”며 “임산부 피해는 새 생명과 직결된 만큼 피해 신고 창구를 만드는 등 정부 차원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안정훈 기자 ajh6321@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색감 내는데 2년 걸렸다"…고급감에 탄성 자아낸 車
- "여보, 여기서 살자"…3040 맞벌이 부부가 반한 도시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
- "3000만원 가방도 내 맘대로 못 사나"…에르메스에 '폭발' [한경제의 신선한 경제]
- '연봉 50억' 이 사람 대체 누구죠?…'증권가 전설' 된 삼성맨 [김익환의 컴퍼니워치]
- 2030 직원 '줄퇴사'…연봉 1억 '신의 직장' 이유 있는 추락 [금융당국 포커스]
- 조민이 타는 외제차 뭐길래…"비굴하게 설득해서 샀다"
- 지드래곤·박찬호, 이 무슨 조합이야? 의외의 '투샷'
- "어떻게 저렇게 생겼지"…MLB 개막전 이 남자에 '환호'
- 배우 정은채·디자이너 김충재 열애, 동갑내기 커플 탄생 [공식]
- "법조 시각 못 버려서"…홍준표가 본 '조국혁신당' 돌풍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