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항공청 1급 본부장 연봉 2.5억 책정…대통령과 맞먹어
‘한국판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표방하는 우주항공청에서 근무할 연구인력에 대해 정부가 “기존 공무원 이상의 대우를 제시한다”고 밝혔다.
1급 공무원인 본부장에는 대통령과 맞먹는 연봉 수준인 2억5000만원을 제시했다. ‘대졸 이상’이 자격요건인 7급 연구원 연봉도 최대 9000만원의 보수 기준을 잡았다. 필요시 이같은 연봉 수준 이상을 받게 될 수도 있다는 단서를 달았다. 경남 사천에 설립되는 우주항공청의 불리한 정주여건 속에 양질의 인재를 끌어들이기 위해 파격적인 대우를 제시했다는 설명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주항공청설립추진단은 우주항공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임기제 공무원 채용을 시작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상반기 채용은 경력경쟁채용을 통해 선발된다. 31개 직위 총 50명을 뽑게 된다. 선임연구원(5급) 22명 및 연구원(6, 7급) 28명을 모집한다.
간부급 공무원과 복수국적자를 포함한 외국인에 대해선 상시채용 방식으로 채용을 추진한다. 대상 직위는 임무본부장(1급), 부문장(2급), 임무지원단장(3급), 프로그램장(4급)이다. 외국인은 18개 간부급 공무원 직위와 함께 해당 분야의 선임연구원(5급) 및 연구원(6․7급) 직위에도 신청이 가능하다.
당초 정부는 우주항공청의 규모로 연구인력 200명과 행정인력 100명 등 총 300명 규모를 제시한 바 있다. 첫 개청은 50명 정도의 규모로 시작해 연말 하반기 채용에서 남은 인원을 채우겠다는 계획이다.
이재형 우주항공청설립추진단장은 전날 백브리핑에서 “국내외 우주항공 전문가 명단을 확보에 의사를 타진할 계획”이라며 “연말까지 300명에 조금 못 미치는 인원을 채울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행정인력의 경우 개청 시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55명의 인력이 이동을 완료할 것이라 설명했다.
그는 이어 양질의 인력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높은 수준의 처우를 제시했다고 강조했다.
추진단이 발표한 우주항공청 임기제 공무원의 처우 수준은 임무본부장 2억 5000만원, 부문장 1억4000만원, 임무지원단장 1억2000만~1억4000만원, 프로그램장 1억1000만~1억3000만원, 선임연구원 8000만~1억1000만원, 연구원(6급, 석사 이상) 7000만~1억원, 연구원(7급, 학사 이상) 6000만~9000만원 등이다.
1급 공무원인 임무본부장의 연봉은 1급 1호봉 공무원 연봉보다 5배 많고 대통령 연봉인 2억5493만원과 맞먹는 수준으로 책정됐다. 간부급인 부문장과 임무지원단장, 프로그램장도 동급 공무원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보수를 받게 된다. 추진단은 일반 연구원 처우도 민간기업 수준으로 맞췄다고 설명했다. 대학을 갓 졸업한 학사학위 소지자도 6000만원 이상의 연봉을 받게 되는 것이다. 기존 항공우주 분야의 대표 정부출연연구기관과 비교해도 ‘고액 연봉’을 받게 된다. 2023년 기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박사 연구원 초봉은 5000만원을 조금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개청 전부터 논란이 됐던 정주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지원책은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안에선 원룸 숙소, 통근버스 운영, 문화·체육 활동 지원 등이 제시됐다. 이 단장은 “숙소의 경우 아파트를 제공하는 방안을 고려했지만 예산 문제로 우선 원룸을 제공하기로 했다”며 “향후 기숙사 설립 등의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문화‧체육 활동 지원의 경우 지자체의 지원을 받을 예정으로 아직 협의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 파격적 처우…기존 출연연과의 형평성, 해외‧민간 인재 영입은 ‘숙제’
우주항공청이 연구인력에 대해 ‘파격적인 처우’를 제시하면서 기존 출연연에 대한 처우 개선 논의도 고개를 들 것으로 전망된다. 우주항공청으로 이관되는 항우연과 한국천문연구원의 상대적으로 낮은 보수 체계가 부각되면서다.
개청 이후 우주항공청의 인력은 프로젝트를 기획, 설계, 선정, 평가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프로젝트를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역할은 항우연, 천문연, 대학, 기업의 몫이다. 실제 연구개발(R&D)을 실시하는 기관의 연구자들에 대한 처우 개선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가 기존 출연연의 처우 수준을 조정할 계획이 있냐는 질문에 이 단장은 “별도의 논의가 필요하며 지금은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답했다.
이 정도 수준의 처우로는 해외와 민간 인재를 영입하는데 역부족이란 지적도 나온다.
중국 등 신흥 우주강국들이 우주항공분야에서 해외 인재 영입을 위해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는 가운데 공무원을 상회하는 처우 정도로는 인재들의 발길을 돌리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민간 인재 또한 기존 우주항공분야 주요 기업의 처우와 비슷한 수준인 우주항공청을 선택할 요인이 부족하다는 이야기다.
임기제 공무원의 한정된 채용기간 또한 인재들이 망설이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우주항공청 임기제 공무원의 채용 기간은 프로그램장 이상 간부급이 기본 3년, 일반연구원급은 기본 5년이다. 각각 최대 10년 연장이 가능하다. 추진단은 이후에도 추가 계약이 가능하다고 설명했지만 ‘평생직장’을 선호하는 젊은 인재들에게는 이러한 조건이 부담요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해외와 민간 인재 영입에 대해 이 단장은 “조사를 통해 선정한 해외 인재들에게 지속적으로 의사를 타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민간 인재의 경우 다소 처우가 부족하더라도 기관에 소속됐을 때 충분한 자부심을 느끼게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NASA의 경우에도 현지의 민간 기업보다 처우 수준이 낮지만 우주항공분야 대표기관에서 일한다는 자부심을 가진 양질의 인재가 모여든다”고 덧붙였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경력경쟁채용을 통해 선발하는 선임연구원(5급) 및 연구원(6·7급)의 응시 원서를 18일부터 25일까지 인사혁신처에서 운영중인 사이버국가고시센터(www.gosi.kr)를 통해 접수한다.
서류 및 면접 전형을 거쳐 5월 중 최종 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간부급 공무원과 복수국적자를 포함한 외국인지원자에 대해서는 수요조사 결과를 토대로 5월 이후 서류·면접 전형 등 채용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서류 전형 통과자에 대해서는 향후 일정을 개별적으로 안내할 계획이다.
경력경쟁채용과 상시채용을 위한 안내자료 및 제출서류는 우주항공청 임시 홈페이지(www.kasa.g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 홈페이지, 나라일터 채용 공고문, 인크루트 및 사람인 등 채용포털, 링크드인, 각종 취업카페 등을 통해서도 안내할 예정이다.
[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