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 폐경은 장수하며 후손 도우려 진화

이정아 기자 2024. 3. 14. 10:1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간처럼 폐경을 하는 포유동물은 이빨고래류 5종밖에 없다.

다렌 크로프트(Darren Croft) 영국 엑시터대 심리학과 교수 연구진은 13일(현지 시각) "이빨고래류 암컷이 새끼를 낳을 수 있는 번식 기간은 제한하면서 총 수명을 늘리기 위해 폐경을 하도록 진화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이빨고래류가 폐경하는 덕분에 생식 기간을 늘리지 않고 수명을 연장하는 방식으로 진화했다고 분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국 엑시터대, 할머니 고래가 딸·손녀 번식, 생존 도와
범고래(사진), 외뿔고래 등이 속한 이빨고래류가 사람처럼 폐경하는 덕분에 수명을 늘리고 무리 내 번식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NOAA

인간처럼 폐경을 하는 포유동물은 이빨고래류 5종밖에 없다. 고래가 사람처럼 폐경하는 덕분에 수명이 늘어나고 후손을 번창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암컷이 딸과 생식 경쟁을 하지 않고 더 오래 후손을 돌볼 수 있다는 것이다.

다렌 크로프트(Darren Croft) 영국 엑시터대 심리학과 교수 연구진은 13일(현지 시각) “이빨고래류 암컷이 새끼를 낳을 수 있는 번식 기간은 제한하면서 총 수명을 늘리기 위해 폐경을 하도록 진화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이날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실렸다.

수명이 한참 남았는데도 생식 능력이 사라지는 폐경 현상은 포유류 중 사람과 범고래와 같은 이빨고래 5종 등 단 6종에서만 나타난다. 들쇠고래, 흑범고래, 범고래, 외뿔고래, 흰고래(벨루가 고래)이다. 이들끼리도 종마다 폐경기가 다르다. 학계에서는 폐경이 여러 번 진화했다고 분석했지만 이전까지 그 원인에 대해서는 알 수 없었다. 연구진은 이번에 처음으로 폐경을 하는 고래 종들을 비교, 분석했다.

한 가지 가설은 암컷 고래의 전체 수명이 동일하다고 가정했을 때 생식 가능 기간이 줄어들면서 폐경기가 진화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암컷이 젊을수록 번식 성공률이 커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연구진은 이 가설에서 오류를 찾아냈다. 인간과 침팬지는 생식 기간이 거의 비슷하지만, 인간이 40년 이상 더 오래 산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폐경이 진화하면서 생식 기간을 줄인 게 아니라, 전체 수명을 늘렸을 것이라고 추론했다.

폐경이 있는 고래 종(위)과 다른 고래 종(아래)의 생식 가능 시기(붉은색)와 수명(파란색) 비교. 폐경을 하는 고래 종은 다른 종보다 일반적으로 더 오래 산다. 생식 기간은 차이가 나지 않는다./Nature

연구진은 이빨고래류 32종의 이빨과 난소 조직으로 생식 가능 기간과 수명을 비교 분석했다. 나무처럼 고래의 이빨에도 나이를 알 수 있는 줄무늬가 남아 있다. 폐경을 하는 고래 암컷은 같은 종 수컷들 뿐만 아니라, 비슷한 크기의 다른 고래 종 암컷들보다 수명이 길었다. 범고래 수컷은 보통 40살에 죽지만 암컷은 80살까지 살 수 있다. 외뿔고래와 흰고래는 50대가 되면 생식을 멈췄고, 폐경이 없는 다른 고래류보다 5~30년이나 더 오래 살았다.

연구진은 이빨고래류가 폐경하는 덕분에 생식 기간을 늘리지 않고 수명을 연장하는 방식으로 진화했다고 분석했다. 암컷이 나이 들어도 생식 능력을 계속 유지한다면 딸이나 손녀 고래와 짝짓기 경쟁을 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폐경을 하는 덕분에 후손 세대들이 번식하고 생존하게 돕고, 무리 지어 함께 살 수 있게 한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로빈 베어드(Robin Baird) 미국 캐스카디아 고래연구소 박사는 이날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매우 설득력있는 연구 결과”라며 “폐경이 어떻게, 왜 진화했는지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참고 자료

Nature(2024), DOI: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4-07159-9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