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칼럼] 안정된 노후 원한다면?… 확정금리형 보험상품으로 해결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72년 우리나라의 총 인구수는 30% 감소한 3622만명이 될 전망이다. 중위 연령은 63.4세로 인구의 절반 이상이 노인인 국가가 된다.
OECD가 공개한 보고서 '한눈에 보는 연금 2023'은 이미 2020년 기준으로 한국의 66세 이상 노인 인구의 소득 빈곤율은 40.4%로 OECD 회원국 평균 14.2%보다 3배 가까이 높다고 평가한다.
이 부분에서 2009년 이후로 대한민국은 줄곧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었던 터라 저출산에 따른 고령화의 가속화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더욱 어둡게 만드는 핵심 요인일 수밖에 없다.
여기에 현재의 세계 10위권의 대한민국 경제를 이뤄낸 동력이었던 수출의 경우에도 가속화되는 국내 대기업의 오프쇼어링 정책, 구조적으로 경제성장률이 둔화되는 동시에 수입대체 정책으로 해외의존도를 낮추는 중국 등을 고려한다면 혁신적인 변화 없이 이전과 같은 성장률을 재현하기는 매우 어려워 보인다.
2023년 5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금융통화위원회 기자간담회에서 낮아지는 출산율과 그로 인해 악화되는 인구구조, 심화되는 노후 빈곤, 장기 저성장 구조에 진입한 경제환경 등을 직접 언급했다.
━
이같은 문제들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국가 정책을 어떻게 수립하느냐에 대한 문제이기도 하지만 앞으로 일반 개인들의 삶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매우 크게 미칠 문제들이기도 하다.
▲장기 저성장으로 인한 소득 감소 ▲인구구조 악화에 따른 내수시장 축소 ▲늘어나는 복지 비용과 정부 부채 ▲이를 충당하기 위해 늘어나는 조세 부담 ▲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공적연금 소득대체율 등 원인과 결과를 따지기조차 어려운 다양한 문제들이 동시다발적으로 그 결과로서 우리들의 삶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을 사람들은 은퇴 후 추가적인 소득 발생이 어려운 노후생활자들일 것이다.
가장 안 좋은 시나리오는 현재의 5060세대들이 노후를 위해 취득한 부동산 가격이 수요의 공백으로 인해 무너지는 것이다.
한국은행의 2022년 국민대차대조표에 따르면 대한민국 가계의 자산의 23%만이 순 금융자산이다. 그 이외는 부동산자산으로 구성됐다.
저출산 심화로 인해 수요 공백이 발생해 부동산 가격까지 붕괴된다면 현재에도 결코 안녕하지 않은 대한민국 국민의 노후는 더욱 불안정하며 불확실해 질 것이다.
은퇴 이후의 수십년의 삶을 준비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기에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준비가 필요하다.
━
미래를 준비하기에 가장 적합한 금융상품은 다름 아닌 보험이다.
개인연금보험과 같은 저축성 보험. 그 중에서도 확정금리형 상품을 활용한다면 미래에 내가 수령할 소득금액을 가입시점부터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소득세법상 특정 요건을 충족한다면 해당 상품에서 발생하는 보험 차익에 대해 비과세로 수령할 수 있다. 때문에 앞으로 소득세나 건강보험료가 상승해 가처분소득이 감소하는 리스크를 제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월 적립식의 경우 월 150만원, 월 적립식 외의 경우 총액 1억원 한도 내에서만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수령 방식이 종신형 연금으로서 소득세법에서 요하는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납입 금액이나 납입 기간에 제한 없이 전액 비과세로도 수령이 가능하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금리가 높고 향후 금리가 하향 안정화될 가능성이 큰 요즘 시기는 이러한 확정금리형 장기금융상품을 활용하기에 가장 유리하다.
금리가 낮은 시기에 고정금리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것처럼, 미래에 금리가 점차 내려간다고 하더라도 가입시점의 높은 금리로 긴 기간을 고정시켜 놓았기에 미래에 활용할 금융상품 대비 상대수익률에서도 강점이 있다.
2024년은 1차 베이비부머 세대를 대표하는 58년 개띠가 만 65세가 되는 해다. 바야흐로 '대 은퇴시대'가 열렸다.
물론 지금 현재를 살아가기에도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현재를 구실로 미래를 외면한다면 더 큰 어려움을 마주할 수밖에 없다. 그 누구도 책임져 주지 않는다는 것을 우리는 이미 알고 있다. 각자도생의 시대, 인생의 남은 30%의 안녕을 위해 그 시기를 스스로 대비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 불확실성을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다.
전민준 기자 minjun84@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시집 와서 같이 살아"… 김동완, ♥서윤아와 결혼? - 머니S
- 포레스텔라 3번째… 강형호 "♥정민경 기상캐스터와 결혼" - 머니S
- "벌써 6학년이라니?"… 대한·민국·만세 '폭풍 성장' - 머니S
- '국산 신약' 뇌전증 치료제, 전 세계서 통했다 - 머니S
- 쓰러지는 건설업체… 올 들어 3월까지 6곳 부도 - 머니S
- 회 한점 못 먹고 6만원 날린 배달원의 억울한 사연… "너무 분해" - 머니S
- 공항에 뜬 융프로디테… 윤아, 얼굴이 다했다 - 머니S
- 5G보다 50배 빠르다… 6G 시대 '성큼' - 머니S
- ♥25세 연하와 3개월 만 결혼… 박영규, 어떻게 만났길래? - 머니S
- [비즈S+] "하청도 직고용 해야"…잇단 판결에 떠는 산업계 - 머니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