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물상] ‘의사 교수’

김태훈 논설위원 2024. 3. 13. 20:2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러스트=김성규

재작년 타계한 조순 전 부총리는 서울대 교수 시절 엄한 스승이었다. 학생들이 시국을 이유로 수업을 거부하면 가차 없이 학점을 깎았다. 1970년 제자로 입학한 아들에겐 더 엄격했다. 한번은 아들이 낸 기말고사 답안지가 사라지자 “네가 얼마나 공부를 안 했으면 시험지가 도망을 다 갔겠느냐”며 F(낙제)를 줬다. 수업 거부와 휴강이 성행하던 1970년대, 조순은 혼신의 힘을 다한 강의와 엄정한 학생 평가로 강단을 지켰다. 그런 스승을 제자들은 어려워하면서도 존경했다.

▶이번 주 아카데미상을 휩쓴 영화 ‘오펜하이머’의 주인공인 핵물리학자 로버트 오펜하이머도 철저한 강의 준비로 유명했다. 버클리 교수 시절엔 영감을 불어넣는 강의에 매료된 학생들이 같은 과목을 두세 번씩 수강 신청했다. 오펜하이머는 다른 교수들이 불성실하게 강의하는 것을 참지 못했다. 강의가 마음에 안 들면 수업 중인 교수를 강의실 밖으로 내쫓은 적도 있다.

▶강의에 대한 이런 열정은 교수직을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닌 신의 소명으로 보는 서구 대학의 오랜 전통에서 비롯됐다. ‘교수’라는 뜻의 영어 ‘프로페서(professor)’는 라틴어 pro(앞으로)와 fateri(공표하다)에서 왔다. ‘다중 앞에서 공적인 주제로 말하는 사람’이란 뜻이다. 대학의 시초로 꼽히는 11세기 볼로냐 대학에서 처음 개설한 것은 신학이었다. 교수는 신의 진리를 많은 이에게 전하는 신성한 직업이었던 것이다. 중세 이후 교수는 출신에 관계없이 귀족 대우를 받았다. 오늘날 독일 등 중부 유럽에서 교수들이 누리는 사회적 존경에는 깊은 뿌리가 있다.

▶우리는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직업에 ‘사’를 붙인다. 공적인 일을 하는 판·검사에겐 ‘일 사(事)’를 쓴다. 변호사·변리사·조종사는 전문 지식을 존중하는 의미로 ‘선비 사(士)’를 쓴다. 그런 전문가 중에 특히 사회에 희생하고 봉사하는 직종엔 ‘남을 가르친다’는 뜻의 ‘스승 사(師)’를 붙인다. 아픈 이들을 돌보는 도덕적 사명을 수행하는 의사에게 ‘師’를 쓰는 이유다.

▶전공의 파업 와중에 미래의 의사를 키워낼 책임을 진 의대 교수들이 의대 증원에 반발하며 집단 사직하겠다고 했다. “사직서 제출은 진료도 강의도 안 하겠다는 의미”라고도 했다. 파업하겠다는 것이다. 학생이 수업을 거부하면 교수는 말리는 것이 상례인데 다른 풍경이다. ‘의사 교수’는 최고 존칭을 다 모아 놓은 것이다. 그만큼 사람들의 기대가 크다. 그런 사람들이 제자 위한다고 환자 생명 팽개치는 일만은 없었으면 한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