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S 배상 이슈에도 금융주 급등 "일회성 손실 주주환원 영향 없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금융권의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배상 기준이 나오면서 올해 손실이 불가피해졌지만, 증권시장에는 영향을 주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지난 11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ELS 배상기준에 따라 올해 비경상 손실과 자본비율 하락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ELS 배상이 자본비율과 주주환원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봤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융권의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배상 기준이 나오면서 올해 손실이 불가피해졌지만, 증권시장에는 영향을 주지 못했다. ELS 배상으로 인한 일시적인 손실보다 주주환원 강화 기대가 더 크게 작용했다는 평가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은행 테마로 묶인 종목들이 일제히 상승했다. 제주은행이 전날 대비 23.80% 오른 1만4460원에 장을 마쳤고, KB금융(5.87%)과 신한지주(4.62%) 등도 큰 폭으로 올랐다.
금융 관련 종목들이 일제히 상승한 것은 주주환원 강화 기대감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지난 11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ELS 배상기준에 따라 올해 비경상 손실과 자본비율 하락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ELS 배상이 자본비율과 주주환원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봤다.
올해 각 은행별 홍콩 H지수 기초 ELS 만기 도래 규모는 KB증권이 6조8000억원, 신한은행 2조4000억원, 하나은행 1조4000억원, 우리은행 413억원 등이다.
금감원 배상 기준에 따라 단순히 투자자 손실률 50%, 손실 배상비율 40%를 가정한 은행별 상반기 예상 배상액은 KB국민 약 1조원, 신한 약 3000억원, 하나 1500억원, 우리 50억원 수준이다.
하지만 ELS 관련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KB금융과 신한지주는 이날 주가가 5% 뛰었고, 하나금융지주(2.18%), 우리금융지주(2.31%) 모두 전날보다 오른 가격에 장을 마감했다.
정준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은행주 투자자 관점에서 가장 큰 관심은 ELS 손실 배상이 자본비율과 주주환원에 얼마나 영향을 줄 것인가 하는 점"이라며 "손실이 일회성 요인인 만큼 은행주 주주환원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진단했다.
KB금융지주의 경우 지난해 대규모 추가 충당금 적립으로 연간 대손충당금 적립액이 3조1000조원에 달하고, 올해 충당금 부담이 유의미하게 줄어든다면 ELS 손실 배상액 상당 부분은 충당금 감소로 상쇄 가능한 수준으로 봤다.
ELS 손실 배상으로 자본비율의 하락에도 KB금융지주의 작년 말 보통주자본비율(CET1) 13.6%를 고려하면 주주환원 확대 요건(13%) 대비 여유가 있다고 분석했다.
정 연구원은 "다른 금융사 역시 KB금융 대비 ELS 배상 부담이 현저하게 낮아 이번 사안이 주주환원에 미칠 영향은 거의 없다'며 "결국 이번 배상으로 올해 이익이나 자본비율이 전년보다 크게 악화하지 않는다면 각 사별 배당과 자사주 매입 및 소각 규모가 작년보다 감소할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김남석기자 kns@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노예로 팔지 마세요"…네팔 소녀들 보호에 평생 바친 美대모 별세
- 암투병 남편 지키는 `새벽배송` 러시아 새댁…"금전보다 따뜻한 응원 감사"
- "男 배우와 성관계 강요당했다" 실명 폭로한 샤론스톤에 `발칵`
- "한국인들 웃겨" 中 누리꾼, 영화 `파묘` 조롱에 서경덕 "훔쳐보지 마"
- 훅 치고 나간 트럭, 난간에 `대롱대롱`…구조대원도 `아찔`
- "김영선 좀 해줘라" 尹대통령-명태균 녹취록 공개 파장… 대통령실 "공천 지시 아냐, 그저 좋게
- 생산·소비 `동반 추락`… 설비투자 홀로 8.4% 반등
- `합병 SK이노` 1일 출범…무자원 산유국서 `친환경` 에너지강국 도약 이정표
- "기술혁신이 ESG"...AI로 고령화 해결 나선 제약바이오기업들
- "가계대출 총량규제 맞춰라"… 신규억제 넘어 중도상환 유도하는 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