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원의 고백 “나도 잘 모르고 ELS 팔았다”…대규모 손실사태 되풀이 안하려면 [기자24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조 단위' 손실을 본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사태를 두고 현장에서 만나본 은행원들 사이에서는 터질게 터졌다는 반응이 우세했다.
한 은행원은 "나도 창구 근무 당시 ELS를 잘 모르고 팔았다"며 "위에서 실적으로 잡아 아래로 누르니 나라고 별 수 있었겠나"라고 토로했다.
ELS를 통해 낼 수 있는 이익은 10% 이내로 제한돼 있고, 손실은 100%까지 뚫려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조 단위’ 손실을 본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사태를 두고 현장에서 만나본 은행원들 사이에서는 터질게 터졌다는 반응이 우세했다. 한 은행원은 “나도 창구 근무 당시 ELS를 잘 모르고 팔았다”며 “위에서 실적으로 잡아 아래로 누르니 나라고 별 수 있었겠나”라고 토로했다.
사실 과거에도 유사 전력이 있었다. 2019년 파생결합펀드(DLF) 손실 사태 당시 금융당국은 20% 이상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는 고난도 상품에 대한 은행권의 판매 중단 결정을 내렸다.(다만 이 결정은 은행권의 ‘소비자 보호 강화’를 전제로 불과 한 달 만에 철회됐다.)
자본시장에 대한 취재를 2년여 하고, 은행권을 취재하고 있는 입장에서 투자자 ‘자기책임의 원칙’을 물어야 한다는데 공감한다. 다만 이 원칙으로 금융 소비자들에게만 책임을 묻기에는 우리 금융권의 투자상품 판매 시스템이 제대로 구비돼 있는지를 먼저 따져봐야 한다.
지난 11일 현장검사 발표에서도 황당한 불완전판매사례가 쏟아졌다. 대리 서명과 대리 녹취는 기본이고 가족관계증명서 등 공문서를 위조하는 사례까지 나왔다. 2021년 예금 금리는 1%대로 당시 이자수익감소에 시달리던 은행들의 선택은 비이자 투자상품에 대한 적극적 마케팅이었다.
ELS를 통해 낼 수 있는 이익은 10% 이내로 제한돼 있고, 손실은 100%까지 뚫려 있다. 최근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들 사이에서도 원금 보전을 희망하는 일반 투자자들에게 팔기에는 적절치 않다는 인식이 우세한 상태다. 물론 자산관리서비스를 확대하는 글로벌 트렌드에서 뒤처질 수는 없다. 은행들은 최근 자산관리 전문가인 프라이빗뱅커(PB)들이 포진한 특화 상품 판매채널을 확대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고위험상품 판매채널을 이런 전문성을 갖춘 은행권 특화채널로 제한하는 방향을 검토해볼만 하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자고 나니 60에서 0으로 ‘뚝’…“내 스마트폰 왜 이래” 또 아이폰이네 - 매일경제
- 서울의대 "대화협의체 구성을"…정부 "1년뒤 증원 조건없다면" - 매일경제
- “에베레스트보다 크다”…71년만에 지구에 찾아온 이 녀석의 정체 - 매일경제
- “꼬박꼬박 빚갚은 우린 바보”…300만명 ‘신용 대사면’에 서민들 허탈 - 매일경제
- “삼성·SK하이닉스, 반도체 노후장비 판매중단…美반발 고려” - 매일경제
- “5분 보려고 6시간 기다렸다”…외신도 놀란 한국인 울린 이 녀석 - 매일경제
- “대리석·유리난간은 무슨, 포기할래요”…재건축 아파트 고급화 잇달아 ‘급브레이크’ - 매
- 수능 문제 유출 확인에 8조9000억 손배소 추진 - 매일경제
- “5000원이면 엄마보다 더 잘 차려주네”…학생들 마음 사로잡은 도시락 뭐길래 - 매일경제
- “빌라 파괴했다” 손흥민, BBC 이주의 팀 선정...1골 2도움 맹활약 인정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