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또 땜질 논란”…수급연령 올리고 ‘MZ 연금’ 별도 운용해야
이강구 연구위원은 “신연금은 자기가 냈던 만큼과 추가 기금 수익만큼 받아가게 되니 기금 고갈 걱정이 없게 된다”며 “보험료를 올릴려면 (기금이) 고갈되지 않고 받을 수 있도록 시스템 정비가 된 후에 올리는 게 맞다”고 주장했다. 이 위원은 “전세계적으로 저출산 문제를 겪고 있는 상황이지만, 한국은 심각한 상황”이라며 “출산율이 극적으로 올라가지 않는 이상 이런 개혁안처럼 과격한 성격의 방법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신 연구위원은 신연금개혁안에 대해 “출산율에 영향을 받지 않고, 영구적인 재정지속성을 담보하는 신연금을 만들어내는 게 골자”라며 “609조원의 재정이 투입되긴 하지만, 편익해 비해선 적은 숫자로 출산율이 낮기 때문에 비용이 이같은 재정을 넘길 수 있다”고 밝혔다.
저출생·고령화가 심화되는 추세 상 미래세대 부담을 덜기 위해서는 연금 수급연령을 올리거나 신규 가입자에 대해 완전 적립식으로 전환하는 식의 큰 틀의 혁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이번 공론화위원회 개편안은 ‘수급연령 연장안’이 아예 제외돼 논란이 예상된다. 위원회는 수급연령에 대해서는 ‘현행 만 65세 유지안’을 단일안으로 채택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화여대 연구팀은 “노인의학적 및 사회적 측면에서 종합해보면, 현재 노인으로 분류되는 연령은 70~75세로 나타난다”며 “그러나 고령자고용법에 따른 법적 정년은 60세로, 국민연금법에 따른 연금수급 개시연령은 60~65세에 머물러 있어 법적 규정과 현대사회에서의 노인 인식 및 사회활동 연령에 상당한 편차가 있다”고 지적했다.
전영준 한양대 경제금융학부 교수는 “개시 연령을 고정시켜놓으면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수급기간이 늘어난다”며 “기대수명에 맞춰 개시연령을 상향 조정하는 게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전 교수는 “선진국의 경우 ‘자동안전장치’를 통해 기대수명이 늘어나면 이에 맞춰 개시 연령이 자동 조정된다”며 “그때그때 법을 개정하는 것 보다 이런 장치를 마련하는 게 안정성과 예상가능성 측면에서 적합하다”고 말했다.
신승룡 KDI 연구위원은 이번 연금개혁안에 대해 “어느쪽도 재정안정화에 대한 담보를 못한다”며 “현행 소득대체율을 유지한 다음에 보험료를 올리고, 나머지 재정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분석이 있어야하는데 불분명해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지적했다.
김태일 고려대 행정학과 교수는 “과거 여러 안 중에 기금안정에 중점을 둔 안이 있었는데 2가지안만 남은건 아쉽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첫번째 안에 대해 적자 폭이 더 늘어날 것이라고 분석하며 “겉보기엔 기금소진시점이 7년 늦춰지는데 당장 보험료가 들어오고 나가는건 시차가 있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전문가들은 의무가입 상한연령을 늘리는 것에 대해 타당한 방향이지만, 여러가지 지원책도 병행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태일 고려대 교수는 “급여가 개시되기 전까지는 일을 하고, 일을 하는 동안 보험료를 납부하는 것이 맞다”며 “64세까지 일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사실상 64세까지 일하는 사람은 많지만, 이런 사람들은 보험료를 내지 않기 때문에 고용주 부담이 적다”며 “의무가입하게 될 경우 영세사업자에 대한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신 연구위원은 “재정적으로 봤을 때 정말로 사람들이 64세까지 열심히 일해서 보험료를 납부한다면 소득대체율이 점점 올라갈 것”이라며 “재정적으로 더 불안해지고, 기금소진시점이 앞당겨지고 할텐데 그런 부분에 대한 고려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신 연구위원은 “확정기여(DC)형으로 얼마든지 일하도록 독려해도 된다”며 “그만큼 더 냈으면 받게 되고, 재정이 안정화된 상태로 연금 개혁안의 단점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노소영, 최태원에 “현금 2조원 달라” 재산분할 청구액 변경…이혼소송 2심 오늘 시작 - 매일경
- 자고 나니 60에서 0으로 ‘뚝’…“내 스마트폰 왜 이래” 또 아이폰이네 - 매일경제
- 서울의대 "대화협의체 구성을"…정부 "1년뒤 증원 조건없다면" - 매일경제
- “5분 보려고 6시간 기다렸다”…외신도 놀란 한국인 울린 이 녀석 - 매일경제
- “에베레스트보다 크다”…71년만에 지구에 찾아온 이 녀석의 정체 - 매일경제
- “꼬박꼬박 빚갚은 우린 바보”…300만명 ‘신용 대사면’에 서민들 허탈 - 매일경제
- “삼성·SK하이닉스, 반도체 노후장비 판매중단…美반발 고려” - 매일경제
- 수능 문제 유출 확인에 8조9000억 손배소 추진 - 매일경제
- 초순수 설계 기술 보유한 이 기업에 매수세[주식 초고수는 지금] - 매일경제
- “빌라 파괴했다” 손흥민, BBC 이주의 팀 선정...1골 2도움 맹활약 인정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