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공원서 ‘공놀이 금지’…“주민 소음 피해”vs“놀 공간 없어” [생각나눔]

강동용 2024. 3. 12. 17:1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2일 서울의 한 어린이 공원에서 친구들과 축구를 하고 있던 정모(9)군은 '공원 내 공놀이를 자제해주세요'라고 적힌 현수막을 보고 목소리를 낮춰 친구들과 대화를 나눴다.

구청이 공놀이 소음 때문에 인근 주민들이 민원을 제기한다는 이유로 설치한 것이다.

현수막을 설치한 구청은 이곳뿐 아니라 관내 120여개 공원 중 20여개 공원에 '어린이 공원 내 축구, 야구 등 공놀이 자제해주세요. 이웃 주민들이 공 튀기는 소음에 힘들어해요'라는 문구가 담긴 현수막을 걸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공놀이 자제’ 현수막 걸려 논란
“학교 운동장 개방 안 돼…금지는 과해”
인근 주민 “공 차면 집 전체가 울린다”
12일 서울의 한 어린이 공원에 공놀이를 자제해달라는 내용이 담긴 현수막이 걸려 있다.

12일 서울의 한 어린이 공원에서 친구들과 축구를 하고 있던 정모(9)군은 ‘공원 내 공놀이를 자제해주세요’라고 적힌 현수막을 보고 목소리를 낮춰 친구들과 대화를 나눴다. 구청이 공놀이 소음 때문에 인근 주민들이 민원을 제기한다는 이유로 설치한 것이다. 정군은 “학교 운동장을 쓰지 못하는 방과 후나 주말에는 여기서 축구를 하는데 가급적 큰 소리를 안 내려고 하지만 계속 눈치가 보인다”고 말했다. 함께 축구를 하던 최모(9)군도 “동네에서 축구를 할 수 있는 장소는 여기가 유일해서 갈 곳이 없다”고 토로했다.

최근 소셜미디어(SNS)에서 이러한 현수막이 논란이 되면서 ‘아이들이 뛰어놀 공간이 없다’, ‘이래 놓고 무슨 저출생 극복이냐’, ‘아이들을 키우기 어려운 현실을 보여준다’와 같은 비판이 쏟아졌다.

현수막을 설치한 구청은 이곳뿐 아니라 관내 120여개 공원 중 20여개 공원에 ‘어린이 공원 내 축구, 야구 등 공놀이 자제해주세요. 이웃 주민들이 공 튀기는 소음에 힘들어해요’라는 문구가 담긴 현수막을 걸었다. 이날 서울신문이 이 지역에 있는 어린이 공원 11곳을 확인한 결과, 모두 5곳에는 여전히 해당 현수막이 걸려 있었다.

12일 서울의 또 다른 어린이 공원에 걸린 공놀이를 자제해달라는 내용이 담긴 현수막.

현수막이 걸린 공원을 지나던 대학생 이모(23)씨는 “공원에서 밤에 술 마시고 노래 부르는 소음이 더 큰데 ‘공놀이’를 딱 짚어 자제하라고 하는 건 아이들만 나무라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일곱 살 자녀를 둔 장모(37)씨는 “늦은 밤 시간대면 모를까 아예 공놀이 자체를 금지하는 것은 과하지 않냐”고 되물었다. 봉혜림(39)씨도 “요즘엔 보안 때문에 아이들이 학교 운동장에서 놀기도 어렵다”며 “동네에 하나 있는 공원에서 공을 차지도 못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도심 내 아이들이 뛰어놀 수 있는 공원은 부족한 실정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도시공원은 전국에 1만 1830개가 있다. 지난해 기준 4~8세 어린이가 613만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어린이 518명이 공원 1곳을 이용해야 한다는 얘기다. 유엔아동권리협약이 명시한 ‘아동의 놀 권리’가 지켜지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희정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저출생이 지속되면서 사회적으로 아이들에 대한 배려가 많이 줄었다”면서 “아이를 많이 낳아야 한다고 하면서 양육이 어렵게 공간을 규제하는 것은 이율배반적”이라고 말했다.

다만 공놀이로 인한 인근 주민들의 소음 피해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 공원 주변에 사는 안모(62)씨는 “공원 주변에 빌라들이 가까이 있다. 공을 차거나 던지면 집 전체가 울린다”고 전했다. 오춘자(68)씨도 “공원을 지나다 공에 맞을 뻔한 적도 있다”면서 “이렇게 작은 공원에서 공놀이하면 여러 사람이 다칠 수도 있지 않냐”고 말했다.

글·사진 강동용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