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人 이야기, 일본 젊은이들도 알고 싶어 해요”
● 6년 전 ‘82년생 김지영’ 이후 한국문학 인기 높아져
● 일본 독자들 ‘한국문학의 뿌리’에도 관심
● ‘박경리의 방’에서 만난 책 ‘토지’ 번역은 운명
● 월선의 죽음에 눈물 나 번역 잠시 멈추기도
● 박경리 딸 생전 ‘고맙다’ 말해 줘 보람 느껴
‘신동아'는 인문학재단 플라톤아카데미와 함께 '길에서 만나는 인문 활동가' 시리즈를 진행한다. 플라톤아카데미는 2010년 11월 설립된 국내 최초 인문학 지원 재단으로 인류의 오랜 지식과 지혜를 바탕으로 삶의 근원적 물음을 새롭게 전한다는 취지로 연구 지원, 대중 강연, 온라인 포털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새로 선보이는 '길에서 만나는 인문 활동가'는 지역사회나 공간을 기반으로 인문 가치를 고민하고 이를 새로운 시대의 언어와 메시지로 알리고 있는 사람들의 인터뷰로 진행한다. 네 번째 주인공은 박경리 대하소설 '토지' 완역을 앞둔 시미즈 지사코 번역가와 출판을 맡은 쿠온출판사 김승복 대표다. <편집자 주>
그의 말을 듣고 올해 박경리 작가의 '토지' 20권 완역을 앞둔 일본인 번역가 시미즈 지사코 씨가 생각났다. 지난해 말, 그가 잠시 서울에 왔을 때 인터뷰했는데 한국인들만이 공감할 수 있다고 생각한 지극히 한국적 스토리인 '토지'에 그가 정서적으로 몰입하고 있는 것이 신기했다. 세계가 궁금해하는 한국 사람들의 정체성에 대해 일본 사람들도 관심이 많다는 사실을 재확인했기 때문이다.
잘 알려졌다시피 '토지'는 1897년 조선시대 말기 시작돼 일제강점기를 중심으로 1945년의 광복절까지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삶이 담긴 대하소설이다. 박경리가 1969년부터 1994년까지 25년간 쓴 대작이다. 마침 올해는 '토지' 완간 3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또 다른 일본인 번역가 요시카와 나기 씨와 한 권씩 돌아가며 2015년 '토지' 번역을 시작한 시미즈 씨의 차분하면서도 진지한 표정에서 그가 단지 기술적인 번역자가 아니라 작가와 한국인의 정서에 가슴 깊이 닿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토지' 이야기를 하기 전에 최근 일본에서도 한국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다고 들었는데, 현지 이야기를 듣고 싶네요.
"무척 관심이 높지요. 특히 젊은 일본인들에게서 더 높아요. 많은 작가 작품이 번역돼 나오고 있는데 예를 들어 한강, 박민규, 김연수, 정세랑, 김애란, 최은영, 황정은, 이기호, 김초엽 등의 소설은 물론 김혜순, 김소연, 오은, 나태주 같은 시인들의 작품이 거의 다 일본어로 번역돼 있습니다.
2018년 12월에 조남주 작가의 '82년생 김지영'이 나오고 나서부터 한국문학은 일본에서 가장 잘 팔리는 해외문학이 됐습니다. 서점에 가보면 '한국문학' 코너가 별도로 있는 건 물론이고요, '한강' '박민규' 처럼 따로 작가 이름을 붙인 코너도 있습니다."
이유가 뭘까요.
"작품 속에 사회문제나 역사적 사건들이 자연스럽게 배경으로 들어 있기 때문인 것 같아요. 개인의 내면을 그리는 장면에서도 사회문제나 역사적 사건에 대한 저자의 문제의식이 내비치는 경우가 많고, 거기에서 느껴지는 메시지가 현재 일본인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있어요.
일본 독자들은 한국에서 실시간으로 유행하는 작품에도 관심이 많지만 1990년대, 1980년대, 1970년대로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 한국문학의 뿌리를 찾아 읽고 싶어 해요.
한국문학을 좀 더 깊이 읽고 싶어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작품의 배경이 되는 역사나 사회문제에 대해서 제대로 알아야 하는데, 역시 문학을 사랑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역사서를 비롯한 인문서까지 찾아 읽게 되는 거죠. '토지'야말로 이런 한국문학 팬들의 욕망을 충족시킬 작품 중 하나라고 봅니다."
‘토지'는 반일 작품 아니라 대서사시
한국과 무슨 특별한 인연이라도.
"원래는 영문학과에 가고 싶었는데 점수가 약간 모자랐어요(웃음). 외국어를 공부하고 싶어서 고민하고 있는데 어느 날 세계사 선생님이 '영어는 누구나 다 하지 않느냐, 앞으로 88올림픽도 서울에서 열리니까 한국어를 하면 쓰임이 많을 것'이라고 해 가벼운 마음으로 한국어 전공을 택했습니다."
한국에는 언제 처음 와봤나요.
"대학교 2학년 때 처음 여행을 왔었습니다. 3학년 때는 연세대 한국어학당에서 한 학기 동안 공부하기도 했고요. 신문사에 입사해서는 아시안 게임 같은 큰 대회에서 한국 선수들이 오면 인터뷰를 하곤 했습니다."
어떻게 번역가의 길을 걷게 됐나요.
"한국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있었습니다. 신문사를 그만두고 광고회사에서 잠시 일했는데 우연히 한국문학을 번역 출판하는 쿠온 출판사라는 곳을 알게 됐고, 여기서 파주출판도시 투어를 한다고 해 저도 신청해 따라나섰습니다. 2014년 8월이었습니다.
재미있는 것이 파주에서 묵은 호텔은 박경리의 방, 신경숙의 방, 이문열의 방 등 작가의 이름을 붙인 방들이 있었는데 제가 '박경리의 방'에 투숙했습니다. 거기서 처음 '토지' 책을 만났고요. 돌이켜 보면 운명적인 만남이었죠(웃음).
돌아오는 비행기에서 쿠온 출판사 김승복 대표와 옆자리에 앉아 인연을 맺었어요. 그러다 이듬해 토지 번역 작업을 시작하려 하니 함께했으면 좋겠다는 제안을 받았습니다. 그게 시작이었습니다."
워낙 대작이어서 쉬운 일은 아니었을 텐데요.
"번역을 시작하기 전에는 걱정을 많이 했습니다. 양이 많아서가 아니라 토지라는 작품을 검색해 보니 '반일(反日) 소설'이라고 말한 일본 내 기사나 논문이 많았어요.
제가 번역을 제안받은 2015년 초만 해도 일본에서는 혐한 분위기가 팽배해지고 있어서 반일 소설이라는 평을 받는 작품이 일본 독자에게 어떻게 받아들여질까 걱정이 많이 되기도 했습니다. 당연히 번역에 주저하는 마음이 일었고요. 하지만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매우 강했지요."
그랬던 그에게 마음을 굳히게 한 귀인(?)이 나타난다.
"토지학회 회장이자 연세대 교수이던 최유찬 선생님을 만날 기회가 생겨서 '토지가 반일 소설이라는 말이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냐'고 여쭈었지요."
뭐라고 답하던가요.
"말씀을 좀 길게 옮기면, '등장인물들이 일본을 비판한다고 해서 작품 자체를 반일로 보는 건 작품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토지'에 담긴 건 생명에 대한 경외감이지 결코 누구를 원망하거나 복수할 것을 부추기는 것이 아니다, 사람은 모두 소중하게 여겨야 한다는 동학의 가르침이 작품의 핵심이다, 토지는 어려운 시대 사람들이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보여주는 대 서사시다'라고 말해 주셨습니다. 그 말씀에 용기를 얻고 작업에 착수할 수 있었습니다."
‘토지'는 한류 드라마 원조 격
그는 번역을 시작하기에 앞서 '토지'의 무대가 되는 곳을 많이 찾아다녔다고 한다."공동 번역자인 요시카와 씨와 편집자 후지이 히사코 씨와 함께 박경리 선생이 '토지'를 쓴 강원도 원주 박경리문학공원, 소설의 무대인 경남 하동, 평사리 등으로 답사 여행을 다녔어요. '토지' 2부의 무대인 만주도 다녀왔는데 룽징과 서희가 드나들던 간도 일본영사관, 길상이가 사업차 다녔던 하얼빈, 송애가 객줏집을 나가 일했던 심양 등도 갔다 왔습니다. 안내해 준 조선족 인민대 교수가 자신의 부모가 만주에서 겪은 내력을 전해 주니 자연스레 소설 속 등장인물들이 더욱 생생하게 다가왔습니다.
답사를 다니면서 작품에 대한 이해와 저자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갖게 됐지요. 찾아간 장소마다 등장인물과 작가의 심정이 떠오르고 한반도 역사의 여러 조각을 많이 알게 돼 감회가 깊었습니다. 이렇게 작품의 배경지를 여행하는 것은 번역할 때 큰 힘이 됩니다."
대단한 열정으로 느껴지네요. 사실 '토지'만 해도 무대가 구한말이어서 한국 사람들조차 아득한 오래전 정서인데 지금 일본 사람들에게 그게 잘 받아들여질지 궁금합니다.
"‘토지'는 '훌륭한 문학작품' 이라는 것 외에도 또 하나 중요한 것이 있는데 일본 사람들이 학교 다닐 때 배운 적이 전혀 없는 한반도 근현대사를 수많은 등장인물의 삶을 통해 생생하게 피부로 느낄 수 있다는 겁니다.
소설 속에는 700여 명에 달하는 인물이 등장하는데 어떻게 보면 한류 드라마의 원조 격이라고 할까요. 이뤄질 수 없는 사랑에 도전하고, 진탕 같은 불륜에, 쫓고 쫓기는 도망극도 있고, 의지가 굳은 인물도 대거 등장합니다.
식민지 시대를 살았던 일반 서민, 지식인들의 일상과 고뇌도 들어 있습니다. 앞서도 말씀드렸듯이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관심이 일본 안에서도 높아지고 있어서 '토지'는 이런 열렬한 일본 팬들의 욕망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작품입니다."
그는 "번역하면서 작품에 몰입돼 눈물을 흘릴 때도 많았다"고 한다.
"여러 지방 사투리가 나오고 역사적 시대적 배경도 제가 겪어온 것과는 다른 외국이어서 번역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었습니다. 솔직히 중간에 포기하고 싶다는 생각도 한 적이 있어요. 그럴 때마다 저를 일으켜 세운 건 작품의 힘이었습니다. 읽다 보면 정말 공감 가는 대목이 많아 눈물이 날 때가 많았어요.
예를 들어 월선이와 용이가 이별하는 장면이나 월선이가 죽는 장면, 봉선이를 향한 석이의 안타까운 마음이 담긴 대목을 번역할 때는 너무 눈물이 나서 번역을 잠시 쉬어야 할 정도였어요.
물론 울기만 한 것은 아닙니다. 작품 속 지식인들이 세계 정세를 점치고, 사람으로서 가져야 할 덕목들을 이야기하는 장면들을 번역할 때는 저도 같이 그 자리에 함께 앉아 있는 기분이 들었습니다. 작품을 통해서 세상과 인간을 크고 넓게 보는 힘이 생겼다고 할까, 인간 내면의 복잡성, 삶의 복잡성에 대한 깨달음이라고 할까. 얼핏 보면 나쁜 사람 같은데 따지고 보면 그렇지 않은 삶의 모순성에 대한 이해라고 할까, 물론 제가 지금 그렇게 살고 있다는 건 아니지만(웃음). 삶에 대한 통찰을 '토지'를 통해 많이 배웠고, 배우고 있습니다."
매년 한 권씩 번역한 셈인데 일본 독자 반응은 어땠는지 궁금합니다.
"전화나 엽서로 '다음 책을 기대한다'는 응원의 메시지를 주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저는 쿠온 출판사가 운영하는 한국책방 '책거리'에 일주일에 한 번씩 나가 일도 하고 있는데 '다음 권이 나오기를 눈 빠지게 기다린다'는 독자가 적지 않아요. 이런 말을 들으면 정말 힘이 납니다.
엄마도 애독자인데 1938년생이세요. 전쟁과 가난을 겪은 세대인데 한국인들도 비슷한 시기를 지나왔구나 하시며 동질감을 많이 느끼십니다. 시어머니도 집안 모임에서 '우리 며느리가 '토지'를 번역하고 있다'고 책을 들어 보이며 자랑해 주셔서 큰 보람을 느꼈어요. 박경리 선생은 25년간 썼는데 여기에 비하면 번역은 짧은 마라톤이지요.
2016년에는 통영 박경리 묘지에서 번역본 증정식도 하고 낭독 행사도 열었는데 지금은 돌아가신 박 선생 따님인 김영주 토지문화재단 이사장이 책을 계속 만지면서 '고맙다' 여러 번 말씀해 보람이 컸습니다. 처음 원주에 가서 뵈었을 때 '너무 원문에 갇히지 말고 번역자의 자율성을 충분히 살리라'고 하셔서 용기를 얻었습니다."
번역 10년, 완역은 세계 처음
마침 인터뷰 자리에는 김 대표도 자리를 함께했다. 그의 말이다.
"‘토지' 번역을 시작할 때만 해도 한국문학은 일본 출판계에서 걸음마 단계였는데 이제는 메인 스트림이 됐습니다. K-팝이나 드라마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좋아하는 층이 계속 만들어지고 있고 확장세에 있습니다."
다들 책을 안 읽는다고 난리인데 일본 사정은 어떤가요.
"종이 책이 안 팔린다고 해서 안 읽는 게 아닙니다. 일본은 'K-BOOK'이라고 하면 신선한 느낌이 있습니다. 중국문학, 대만문학도 있어서 한국만 유난스러운 것은 아니지만 가장 활기가 있습니다. 무엇보다 소비층이 바뀌었어요.
예전에는 주로 한국의 민주화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저희 책방에 왔는데 이제는 한국의 콘텐츠 자체를 소비합니다. 아무리 한일관계가 좋지 않아도 관심이 식지 않아 정치에서 벗어난 듯한 느낌이 듭니다. 한국에 노 재팬 운동이 벌어질 때도 저희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았으니까요."
그는 2011년 한국의 서적을 일본에 소개하기 위해 K-BOOK 진흥회를 만들어 2019년부터 한국 책을 번역 출판한 일본의 출판사를 모아 K-BOOK페스티벌을 매년 열고 있다. 책을 만드는 출판 관계자, 독자, 작가, 서점원들이 만나는 자리다. 도쿄 진보초 행사장은 물론 일본 전국의 크고 작은 책방에서도 K-BOOK 특설 매대를 설치해 그야말로 매년 11월, 12월은 K-BOOK 축제 분위기라고 한다.
"일본에서 '82년생 김지영'(조남주)은 23만 부, '아몬드'(손원평)는 15만 부 이상 팔렸고, 에세이 '나는 나로 살기로 했다'(김수현)는 58만 부가 팔리며 대형 베스트셀러가 됐습니다.
1990년대 한국에서 일본 소설 붐이 일었던 것처럼, 지금 일본에선 '한국문학을 읽는 것'이 새로운 트렌드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20대, 30대가 많다 보니 한국 젊은 작가들의 작품은 한국 출간과 동시에 일본에서도 화제가 되는데, 고민이 비슷해서 같은 이야기에 공감하는 것 같아요. 한일 간에 정치적으로 업다운이 있어도 문화적으로는 교류가 갈수록 깊어지는 것 같아 보람이 큽니다."
허문명 기자 angelhuh@donga.com
Copyright © 신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