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분 한번 충전에 서울~부산 왕복”…게임 판 바꾸는 꿈의 배터리는 ‘이것’
내연기관 대체할 것으로 전망
짧은 수명 등은 극복해야
한국, 배터리 경쟁력 충분
이공계 인재 유입 이어져야
서울대 관악캠퍼스에 지난해 7월 현대차그룹과 서울대가 공동으로 설립한 ‘현대차그룹·서울대 배터리 공동연구센터’가 문을 열었다. 현대차는 이 곳에 2030년까지 총 300억 원 이상을 투자한다.
그룹내에도 이차전지 연구소를 두고 있는 현대차는 왜 이와 같은 외부 연구센터에 투자를 했을까? 현재의 배터리 전쟁에서 한발 떨어져 ‘꿈의 배터리’에 다가갈 수 있는 초격자 기술에 집중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실제 공동연구센터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22개 연구과제 중 14개가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와 부피당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메탈 배터리 관련 연구다.
공동센터를 이끌고 있는 최장욱 서울대 화학생물학부 교수의 목표도 ‘한번 충전에 1만km, 10년 가는 배터리’에 맞춰져 있다.
최근 방문한 연구소에서는 연구원들이 화합물 합성을 둘러싸고 격렬한 토론을 벌이고 있었다. 최장욱 교수는 “실제 합성을 진행하기 전에 합성 설계 단계를 진행한다”며 “옛날에는 실제 합성을 통한 시행착오를 거쳤다면 요즘은 AI를 통해서 미리 합성해본 후에 실제 합성에 들어가는 게 일반화됐다”고 말했다.
최장욱 교수는 휘어지는 배터리 소재를 개발하고 사용 시간 연장을 위한 고용량 전극소재 및 포스트-리튬이차배터리 기술을 개발하는 등 배터리의 미래를 개척하는 세계적인 석학이다. 노벨화학상에 가까이 가있는 한국인 연구자로 꼽힌다.
차세대 배터리 기술의 유력 후보 중 하나가 전고체 배터리다. 전고체 배터리는 리튬이온의 매개체인 전해질을 액체에서 고체로 바꾼 배터리다. 이 경우 고체 전해질이 분리막을 대신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배터리가 구조적으로 단단해져 화재가 날 일이 없고 심지어 포장이나 전해질이 훼손되더라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성이 낮아진다.
특히 고체 전해질을 사용할 경우 현재까지 알려진 음극재 중 가장 큰 용량을 가졌지만 불안정해 사용하지 않았던 리튬금속을 음극재로 쓸 수 있게 돼 배터리의 용량을 크게 늘릴 수 있게 된다. 최 교수는 “현재 나오는 전기차의 주행거리는 기술적으로 500~600km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전고체 배터리를 활용한다면 900km~1000km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게 가능해져 현재 가솔린 기반의 내연기관 수준까지 올릴 수 있다”고 말했다.
전고체 배터리에도 극복해야할 과제는 있다. 전해질 재료의 성능이 아직까지는 불충분하고 고체라서 사용할수록 내부 전기 저항이 증가해 수명이 짧아진다는 한계가 있다. 일본의 도요타, 독일의 폭스바겐 등 전 세계 자동차 제조사를 비롯해 배터리업체들이 2030년 이전에 이 같은 단점을 없앤 전고체 배터리를 상용화하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최장욱 교수는 “실험실 단계에서는 전고체 배터리는 이미 상당 수준에 올라간 상태”라며 “하지만 양산단계는 다르기 때문에 얼마나 경제성 있는 공정과 소재를 확보할 수 있는가가 중요한 관건이 될 것이다”고 분석했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배터리기업이 세계시장을 주도하며 한중일 배터리 삼국지를 이끌고 있는 우리나라는 차세대 배터리 대전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 교수는 “한국의 가장 큰 경쟁력은 기술과 제조에 대한 충분한 노하우가 있다는 점”이라며 “소부장부터 셀 메이커까지 공급망이 갖춰져 있어서 미래 배터리 경쟁에서도 힘을 발휘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무서운 속도로 치고 나가는 중국에 대한 우리 배터리 업계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최 교수는 “배터리 기술도 중요하지만 원재료를 중국이 장악하고 있다”며 “중국은 경쟁의 대상이기도 하지만 협력을 모델도 고려해야 할 파트너”라고 정의했다. 이어 “중국의 배터리 연구 커뮤니티 자체도 어마어마하고 내부 경쟁도 치열하다”고 평가했다. 일본에 관해서는 “파나소닉, 도요타 등 전통의 강자들이 일본에 자리잡고 있으며 오랜 기간 다진 기본기도 탄탄하기 때문에 무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차세대 배터리 경쟁에서 우리나라가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은 결국 인재라는 중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최 교수는 “산업적인 인프라 측면에서는 이미 차세대 배터리 선진국으로 갈만한 충분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며 “결국 배터리 산업도 이공계 인재들이 만들어 가는 것이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해당 분야에 흥미와 재능을 가진 인재가 계속 유입되는 게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의사 이길수 있다는 생각 어리석은 발상” 그 의사 11시간 조사받고 한 말 - 매일경제
- [MBN] 일본 찾은 한국 트로트 톱7 - 매일경제
- “여탕에는 설치했으면서”…목욕탕 업주가 저지른 잘못, 뭐길래 - 매일경제
- “삼성전자 자신감 넘치더니 이유 있었네”…수많은 조합 연구끝, 불가능 장벽 넘은 신제품 - 매
- GTX-B 노선 착공에 인접 아파트 가격 ‘꿈틀’, 다음 오를 곳은? - 매일경제
- “‘이 나라’ 도착하면 공항택시 조심하세요”…기사들 정체 알고 보니 - 매일경제
- 제니·기네스 펠트로가 즐긴다…한국서 신명품으로 뜨는 브랜드보니 - 매일경제
- “카드 깜빡했는데, 이게 된다고?”…스마트폰으로 ATM서 현금 찾을 수 있어요 - 매일경제
- “24시간 알아서 돈 벌어주는 기계”...미국인들 ‘이 부업’ 뛰어든다는데 - 매일경제
- 이현중 향한 호주 명장의 극찬, 구지안 감독 “슈팅력 NBA급, 주변 관계자도 NBA에 갈 것이라고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