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동안 해 안뜨는 이곳선 매일이 도전”···남극 장보고기지 대장님의 제1목표는

박재영 기자(jyp8909@mk.co.kr) 2024. 3. 12. 07: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0돌 맞은 남극 장보고과학기지 홍상범 대장
세종기지 연구대 활동 이어
지난해 월동연구대장 부임
영하 40도 육박하는 환경
직접 채소 키우고 해수 사용
기후변화·빙하·우주현상 연구
“18명 대원 무사귀환이 목표”
홍상범 대장이 남극 장보고과학기지 앞 해빙 위에 선 채 웃고 있다. [사진 = 극지연구소]
“100일 동안 태양이 뜨지 않는 극야(極夜)의 땅, 대원들을 무사히 가족 품으로 돌려보내는 날까지 한시도 긴장을 늦출 수 없죠.”

한국의 두 번째 남극기지인 장보고과학기지가 설립 10주년을 맞았다. 앞서 건립된 세종과학기지는 남극대륙에서 약 100㎞ 떨어진 곳에 위치해 본격적인 극지 과학 연구를 수행하기는 어려웠다. 한국 남극대륙 연구의 첨병인 장보고기지에선 열여덟 명의 대원이 기후변화와 생태계, 빙하뿐 아니라 우주 현상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장보고기지의 열한 번째 월동연구대장으로 부임한 홍상범 대장을 매일경제가 서면 인터뷰했다.

산성비와 미세먼지 등 대기환경 분야를 연구하던 홍 대장은 16년 전 극지 연구 분야에 발을 들였다. 극지역 눈과 빙하의 화학성분을 분석하면 과거 대기 환경의 특징과 변화를 밝혀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2013년에 세종기지 월동연구대로 참여한 데 이어 지난해엔 장보고기지에 대장으로 부임하게 됐다”며 “개인 연구는 물론 대원들의 안전과 단합까지 책임져야 하기에 어깨가 무겁다”고 했다.

홍상범 대장(왼쪽 아홉번째)을 포함한 장보고 과학기지 월동연구대 18명 대원들이 기지 앞 남극 해빙에서 단체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 = 극지연구소]
장보고기지의 연구 환경은 세종기지와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열악하다. 홍 대장은 “세종기지는 날씨가 온화하고 다른 국가의 기지와 인접한 곳에 위치해 인적·물적 자원을 공유하기에 수월하다”며 “이와 달리 장보고기지는 기후가 좋지 않은 날엔 성인 남성이 서 있기도 힘든 강풍과 영하 40도에 육박하는 추위가 동반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낮이 없는 극야가 약 100일간 이어지는 데다 가장 가까운 상주기지도 350㎞나 떨어져 있어 고립감도 이겨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남극에선 그 어떤 것도 당연하게 누릴 수 없다. 하루하루 의식주를 해결하는 것이 대원들에겐 도전이다. 영화 ‘마션’에서 화성 탐사 중 고립된 우주 비행사가 생존을 위해 직접 감자를 재배했던 것처럼, 장보고기지에서도 직접 식물공장을 운영하며 채소를 재배한다. 홍 대장은 “해수를 담수화해 사용하고, 오·배수는 처리해 방류해야 한다”며 “관련 장치에 문제라도 발생하면 세탁과 샤워 등이 전면 금지된다”고 설명했다. 통신 데이터 사용량이 한정돼 있어 스마트폰 앱 자동 업데이트도 금지돼 있다.

홍 대장을 포함한 열여덟명의 대원이 극지 생활을 견디는 원동력은 한국 극지 연구의 최전선에 서 있다는 자부심이다. 장보고기지는 세계 최초로 빙붕의 붕괴 과정을 규명했고, 25년 만에 남극 화산의 가스분출 활동을 관측해 냈다. 남극 바다에서 새로운 맨틀을 발견한 것도 장보고기지의 성과다.

홍상범 대장(뒷줄 왼쪽)이 장보고기지에서 수질 검사 연구를 진행 중이다. [사진 = 극지연구소]
장보고기지에선 우주과학 분야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남극 대륙에 묻힌 대형 운석을 잇달아 발견해 한국은 세계 4위 운석 보유국이 됐다. 운석은 태양계 초기 물질 진화를 규명하기 위한 시료로 활용된다. 레이더·광학장비를 활용한 오로라 활동 연구도 진행 중이다.

기후변화 연구도 장보고기지의 주요 역할 중 하나다. 홍 대장은 남극에서 체감하는 지구 온난화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그는 “극지역 증폭현상이라 해서 지구온난화는 극지역에 더 민감하게 영향을 미친다”며 “재작년엔 기지 앞 해빙이 사라지면서 기지 설립 이후 처음으로 해상 물품 보급을 시작했고, 지난해 남극해 해빙 면적 규모는 인공위성 관측 사상 최솟값을 기록했다”고 경고했다.

이처럼 장보고기지가 위치한 남극 해변은 기후변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어 내륙에 새로운 기지가 필요한 상황이다. 남극 내륙에 새로운 기지를 세우기 위한 작전도 진행되고 있다. 홍 대장은 “지난 7년간 추위에 시달리고 크레바스에 빠지는 위험을 겪으며 새로운 기지 후보지와 이동 루트를 성공적으로 개척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홍 대장은 “지난 설 연휴에도 오전에 간단한 차례만 지낸 후 전 대원이 업무에 투입될 정도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며 “대원들이 임무를 무사히 마치고 가족들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대장으로서 제1 목표”라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