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값 왜 오르나 봤더니..."코로나 끝나자 기업들 생필품가격 연평균 2회↑"

김동찬 2024. 3. 12. 05:5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이 본격적으로 끝난 2022년 4월부터 2023년 6월까지는 14개월 동안 1330원까지 오르며 4차례나 가격이 인상됐다.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급등하면서 기업들이 생필품 가격을 1년에 평균 두 번씩 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팬데믹 이후 생필품 가격 ‘더 자주’ 올린 기업들
인상 빈도, 16.1개월에 1회에서 10.1개월에 1회로
인하 빈도는 20.8개월→17.5개월로 큰 변화 없어
여러 번 올렸는데 인하율은 유지...“생활물가↑”
지난해 7월 2일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 라면 판매대 모습.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시중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라면B의 기준가격(할인 등 일시적 가격 조정 제외)은 지난 2018년부터 4월부터 2022년 3월까지 50개월 동안 980원에서 1050원으로 한 차례 올랐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이 본격적으로 끝난 2022년 4월부터 2023년 6월까지는 14개월 동안 1330원까지 오르며 4차례나 가격이 인상됐다.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급등하면서 기업들이 생필품 가격을 1년에 평균 두 번씩 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에는 1년에 한 번 정도 소비자 가격을 조정했으나 인상 빈도를 2회로 늘리며 고물가 대응에 나선 것이다.

12일 한국은행은 BOK이슈노트 보고서 '돌봄서비스 인력난 및 비용 부담 완화 방안'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소비자원이 500여개 유통업체 판매하는 생필품 209개의 판매가 추이를 지난 2018년 2월부터 지난해까지 분석한 결과 국내기업의 가격조정 빈도(인상·인하빈도, 할인 등 일시적 조정 제외)는 월평균 11% 수준(2018~2021년)에서 팬데믹 이후 고인플레이션 기간에는 15.6%(2022~2023년)로 큰 폭 상승했다.

이는 평균적인 상품가격 유지 기간이 약 9.1개월에서 6.4개월로 단축됐다는 의미로 기업들이 가격을 더 빈번하게 조정했다는 뜻이다. 국내 기업들은 팬데믹 이전에는 1년에 1.2~3회가량 생필품 가격 조정에 나섰으나 팬데믹 이후에는 1년에 두 번씩 가격 조정에 나섰다.

가격조정은 주로 인하보다 인상 빈도가 늘어난 데 기인했다. 가격 인상 빈도는 팬데믹 이전 16.1개월에 1회에서 이후 10.1개월의 1회로 6개월 축소됐다. 인하 빈도가 같은 기간 20.8개월에서 17.5개월로 3개월 정도 줄어든 것에 비해 축소폭이 두 배 가까이 크다.

평균 가격 인상률과 인하율 등 조정폭은 팬데믹 전후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국내 생필품가격 인상률은 1회당 평균 20~25%, 인하율은 15~20% 수준을 기록했다. 고물가 시기에 기업들이 가격을 급격히 올리면 소비자의 저항이 심해져 경쟁제품으로의 대체효과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가격 인상 시 ‘폭’보다는 ‘빈도’를 조정한 결과다.

품목별로 보면 차·음료, 조미료·식용유지, 즉석식품·냉동식품, 곡물가공품, 위생용품 등을 수입 원재료 비중이 높아 2022년 이후 비용 인상 압력이 컸던 품목을 중심으로 가격 인상빈도가 더 높았다.

보고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기업의 가격조정 빈도가 하락하고 있으나 여전히 팬데믹 이전 등 과거보다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만큼 유가 급상승 등 외부 변수가 발생할 경우 인플레이션의 변동 폭이 물가안정기에 비해 더욱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향후 분절화, 지정학적 갈등 등이 기업들의 가격 조정을 유도할 수 있어 물가경계심을 상당기간 이어갈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동재 한은 조사국 물가동향팀 과장은 “기업 가격설정행태의 구조적 변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앞으로 물가 상황을 판단시가격조정행태가 과거 수준으로 정상화되는지 지속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