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코로나 이후 6개월마다 가격 인상… 인플레 부추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팬데믹 이후 고물가 상황에서 국내 기업들은 상품 가격을 한 번에 대폭 높이기보다는 더 자주 올리는 방식으로 대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2022년 이후 반년에 한 번꼴로 가격을 조정하면서 인플레이션을 부추긴 것으로 조사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은 “생필품 등 인플레 영향 커”
팬데믹 이후 고물가 상황에서 국내 기업들은 상품 가격을 한 번에 대폭 높이기보다는 더 자주 올리는 방식으로 대응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2022년 이후 반년에 한 번꼴로 가격을 조정하면서 인플레이션을 부추긴 것으로 조사됐다.
1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BOK 이슈노트: 팬데믹 이후 국내 기업 가격 조정 행태 변화의 특징과 영향’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가격 조정 빈도는 2018∼2021년 월평균 11%에서 팬데믹 이후인 2022∼2023년 15.6%로 증가했다. 그 결과 상품 가격의 유지 기간은 평균 약 9.1개월에서 6.4개월로 단축됐다. 팬데믹 이전에는 1년에 1.3회꼴로 가격을 조정했다면, 팬데믹 이후에는 한 해 약 두 차례씩 가격을 올렸다는 의미다.
가격 인상 빈도의 증가율이 높은 생필품은 주로 조미료·식용유지, 축산·수산물 가공품 등 수입 원재료 비중이 커 비용 압박을 많이 받는 품목들이었다. 단, 가격을 조정할 때 인상률과 인하율은 각각 평균 20∼25%, 15∼20%로 팬데믹 전과 비교해 거의 차이가 없었다.
한은은 물가상승률이 4∼5%대로 높은 시기에는 유가 상승 등 동일한 비용 상승 충격에도 인상 빈도가 늘어나면서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물가안정기(2%)에 비해 확대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동재 한은 조사국 물가동향팀 과장은 “지금처럼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목표 수준(2%)을 상회하는 상황에서 향후 지정학적 갈등, 기상이변 등 새 충격이 발생하면 인플레이션 변동 폭이 물가 안정기보다 더 커질 수 있다”며 “앞으로 물가 상황을 판단할 때 기업의 가격 조정 행태가 과거 수준으로 돌아가는지도 지속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신아형 기자 abro@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비명횡사’ 박용진, 정봉주에 패배…‘친명횡재’ 논란 대장동 변호사 경선 승리
- 러, 한국인 간첩혐의 첫 구금…“국가기밀 외국에 넘겨”
- 홍콩 ELS 손실 결국 ‘차등 배상’… 일시적 땜질로 끝내선 안 돼 [사설]
- 종북세력엔 꽃길, 전과자들도 무사통과… 엉망진창 공천 [사설]
- R&D예산 삭감에 실험 손 놓은 서울대… ‘의대 가라’ 등 떠미나 [사설]
- 전세사기 피해 1년, 끝나지 않는 고통
- 아무런 전조 증상 없이 갑작스럽게 빙빙~ 도는 것 같아
- [횡설수설/이진영]할마 할빠들의 육아휴직
- [오늘과 내일/정임수]‘할인 쿠폰’으로 金사과 잡을 수 있나
- [단독]야권 비례후보 갈등…민주 “진보당 인사들이 시민단체 몫 따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