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의 메신저 '텔레그램' 9억명 돌파…"뉴욕 IPO 가능성"

뉴욕=박준식 특파원 2024. 3. 11. 23: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증거를 남기지 않아 수사기관을 기피하는 인물들이 많은 쓰는 것으로 알려진 이른바 어둠의 메신저 '텔레그램'이 사용자 9억명을 돌파했다.

러시아 창업주는 뉴욕과 같은 서방 자본시장에서 이 회사의 기업공개(IPO)를 고려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텔레그램 로고

증거를 남기지 않아 수사기관을 기피하는 인물들이 많은 쓰는 것으로 알려진 이른바 어둠의 메신저 '텔레그램'이 사용자 9억명을 돌파했다. 러시아 창업주는 뉴욕과 같은 서방 자본시장에서 이 회사의 기업공개(IPO)를 고려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11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즈(FT)는 텔레그램 창업주인 러시아 태생 파벨 두로프(Pavel Durov)가 2년 전부터 광고 및 프리미엄 구독 서비스를 도입하면서 연간 수억 달러의 수익을 올리고 있으며 IPO를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회사 규모는 2021년 플랫폼 월간 활성 사용자수 기준 2021년 초 5억 명에서 최근 9억 명을 돌파한 것으로 알려졌다.

무엇보다 흥미로운 것은 텔레그램을 소유한 두로프가 회사 지분을 100%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두로프는 최근 글로벌 기술 펀드들로부터 300억 달러 이상의 가치 평가를 제안받았지만 IPO를 고려해 지분 매각을 거절한 것으로 전해졌다.

두로프는 "우리가 수익 창출을 시작한 주된 이유는 독립성을 유지하고 싶었기 때문"이라며 "일반적으로 우리는 IPO를 텔레그램의 가치에 대한 접근을 민주화하는 수단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본에 휘둘리지 않겠다는 의지다.

파벨 두로프 텔레그램 CEO /사진=이하늘

텔레그램은 설립 초기에 암호화폐 커뮤니티의 본거지로 쓰였다. 특히 정규 직원이 약 50명 수준으로 시작했지만 지난 몇 년 동안 폭발적인 인기를 얻어 규모는 급격히 커졌다. 전 세계 정부와 공무원을 위한 필수 커뮤니케이션 도구가 된 것이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텔레그램의 플랫폼이 범죄 활동은 물론 극단주의 또는 테러리스트 콘텐츠와 잘못된 정보의 온상으로 남아 있다고 경고한다. 일부에선 러시아 크렘린궁이 텔레그램과 연결되거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음모론도 내놓고 있다. 이에 대해 두로프는 "전혀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두로프는 2007년 그의 고향인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인 브이콘탁티(VKontakte)를 공동 창업하면서 '러시아의 마크 저커버그(페이스북 창업주)'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후 그는 표현의 자유를 주장하면서 2013년 형과 함께 텔레그램을 설립했다. 두로프는 이후 우크라이나 VK 사용자의 데이터를 러시아 보안 기관에 제출하는 것을 거부하면서 러시아를 탈출했다. 본사는 현재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이다. 두로프는 그 이전에도 협박을 받아 자신의 VK 주식을 크렘린궁이 원하는 이들에게 3억 달러에 판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텔레그램이 수익성을 좀 더 올린 이후 미국 상장에 나설 거라고 예상한다. 두로프는 이에 대해 "여러 옵션을 연구하고 있다"고 답했다. 텔레그램은 2021년 10억 달러 규모의 채권 발행을 통해 약 20억 달러의 자금을 조달했다.

채권 보유자는 2026년 3월 말 이전에 변동이 발생할 경우 텔레그램의 IPO 가격에서 10~20% 할인된 가격으로 선순위 무담보 부채를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 회사의 상장 가능성을 보고 투자한 셈이다. 두로프는 소규모 자본 조달에 대해서도 관심을 두고 있다. 그는 "예컨대 인공지능(AI) 관련 투자를 위해 AI 기반 챗봇 도입을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뉴욕=박준식 특파원 win0479@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