왠지 내린 게 없다 했더니, 하루가 멀다하고 “가격 ‘조금씩’, ‘수시로’ 올렸다”.. 물가, 치솟을 수 밖에

제주방송 김지훈 2024. 3. 11. 18: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19 전후, 1년 주기 → 반 년
가격 조정 나서.. “물가 상승 주도”
소비자 인상 ‘폭’ 민감.. ‘빈도’ 초점
코로나 이전 대비 횟수↑ “물가 압박”


둘러봐도 살 게 없고, 장바구니에 담을 만한 게 없는 것도 다 이유가 있었습니다.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 종전보다 비용 압박에 쫒긴 국내 기업들이 상품 가격을 자주 올리면서 물가 상승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들이 가격 인상에 예민한 점을 감안해 인상 ‘폭’ 대신에 ‘빈도’를 늘리면서 가파르게 물가를 끌어올렸다는 분석입니다.

1년 1차례 정도이던 가격 인상을 1년 2차례 상당 시행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 번에 가해질 가격 인상 충격파를, 조금씩 자주 올리는 방식으로 분산시켰지만 결국엔 인상 폭을 가중시키는 결과로 이어진 셈입니다.

가뜩이나 유동적인 국제 유가 등, 새로운 충격이 발생할 때는 물가 상승 타격이 더 확대될 것이란 우려도 제기됩니다.


11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 가격 조정 행태 변화 특징과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가격조정(인상·인하, 농수산물 제외) 빈도가 2018∼2021년 월평균 11.0%에서 2022∼2023년 15.6%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격 조정 빈도는 해당 기간 가격조정 기회들 가운데 실제로 기업이 인상·인하를 단행한 횟수의 비율을 뜻합니다.

이같은 빈도를 기간으로 환산했더니, 평균 상품 가격을 유지한 기간이 같은 기간 9.1개월에서 6.4개월로 줄었습니다. 코로나 19 이전 연 1.3회 정도 가격을 올렸다면, 팬데믹 이후에는 1년 2번 정도 인상했다는 뜻입니다.

1번 올릴 때 인상 수준은 평균 20∼25%, 인하율은 15∼20%로 팬데믹 전과 비교해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시리얼‘A’의 경우 2018년부터 2021년까지 기준 가격이 1번 인상됐던게,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1년 사이 가격이 2번 올랐습니다. 인하한 건 1번에 그쳤습니다.

라면‘B’의 경우 2018년부터 2021년까지 가격 인상은 1번에 그쳤지만 2022년부터 2023년 2년 사이 4번 가격을 올렸습니다.

이는 기업들이 가격을 1년에 1~1.2회 바꾸던 것을, 1년에 2회 정도로 더 빈번하게 바꾼다는 의미로 해석했습니다.

한은은 물가상승률이 1%포인트(p) 오를 때 개별 품목의 가격 인상 빈도 역시 약 1%p 증가한다고 분석했습니다.

기업이 가격 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저항이나 민감도, 경쟁품으로의 대체효과 등을 고려해 가격인상 때 ‘폭’보다 ‘빈도’ 조정을 선호하면서 물가상승률과 가격 인상빈도 간 상관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조금’씩 ‘자주’ 올리면서 물가 인상을 주도할 수 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가격을 올릴 때와 달리 가격 인하의 빈도와 가격 조정 폭은 팬데믹 전후로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또한 물가 상승률이 4∼5%대 높은 시기엔 같은 비용 충격(유가·곡물가 상승 등)에도 기업들이 인상 빈도를 더 늘려 그 충격이 물가로 빠르게 전이되는 것도 확인됐습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대체로 주류는 가격 변동 폭이 크지 않았던 반면 조미료·식용유지, 축·수산물 가공품 등 수입 원재료 비중이 높아, 2022년 이후 비용 인상 압력을 받았던 품목들의 가격 인상 빈도가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같은 변화는 미국에서도 비슷해, 가격 조정 빈도가 팬데믹 이전에 10%에서 팬데믹 이후 20%를 웃도는 수준까지 늘었습니다.
2022년 중반 이후, 우리나라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습니다. 실제 미국은 CPI(소비자물가지수)도 많이 올라 가격 인상 빈도가 더 늘어, 4개월에 1번 꼴 가격을 바꾸는 수준으로 나타날 정도입니다.

다만 한은 측은 지금처럼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목표수준(2%)을 상회하는 상황에, 앞으로 새 충격이 발생하면 인플레이션 변동 폭이 물가 안정기보다 더 커질 수 있다는 상황은 유의해야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례로, 유가 상승 등 다른 요인들과 겹칠 때 비용 상승 요인이 2배로 커진다면, 그 충격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도 2배로 확대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관련해 한은 관계자는 “최근 인플레이션이 둔화됐음에도 여전히 기업들의 가격 조정 빈도가 코로나 이전 수준을 웃돈다”면서 “앞으로 물가 상황을 판단할 때 기업의 가격 조정 행태가 과거 수준으로 돌아가는지도 지속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