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창] TDF 이야기: 환노출과 환헤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은퇴 준비를 위한 대표적인 투자 상품으로 타깃데이트펀드(TDF)를 꼽을 수 있다.
TDF는 장기투자펀드로, 투자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글로벌 자산배분을 활용하는 게 특징이다.
최근 TDF로 자금유입이 활발해지면서 필자에게 TDF 투자 시 환헤지(위험분산)한 펀드에 투자해야 할지, 환노출한 펀드에 투자해야 할지 조언을 구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따라서 해외채권을 환노출형으로 투자하게 되면 자산가격 하락과 상대적인 환손실의 이중 하락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은퇴 준비를 위한 대표적인 투자 상품으로 타깃데이트펀드(TDF)를 꼽을 수 있다. TDF는 장기투자펀드로, 투자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글로벌 자산배분을 활용하는 게 특징이다. 최근 TDF로 자금유입이 활발해지면서 필자에게 TDF 투자 시 환헤지(위험분산)한 펀드에 투자해야 할지, 환노출한 펀드에 투자해야 할지 조언을 구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글로벌 투자에는 항상 환율 문제가 따르기 때문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장기투자의 경우 환율에 노출하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투자위험과 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다.
투자위험 측면을 먼저 살펴보겠다. 헤지라는 단어가 사전적으로 내포한 ‘위험회피’ 또는 ‘위험분산’이라는 의미 때문에 투자가들은 환율 헤지 시 해외자산 위험이 감소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국내 투자가가 해외주식에 투자할 경우 환율에 노출하면 오히려 투자위험이 줄어든다. 예컨대 글로벌 주식 투자에 있어 대표성을 갖는 ‘MSCI All Country Index’를 지난 3년, 5년, 10년, 15년간 환헤지로 투자했다고 가정해보자. 투자위험(월간수익률의 표준편차)은 각각 16.5%, 18,9%, 15.6%, 16.2%로 나타난다. 반대로 환노출의 경우 위험은 각각 12.6%, 15.9%, 13.8%, 13.0%이다.
왜 환율을 노출한 경우 오히려 위험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일까? 필자는 수출 주도로 성장하는 한국경제의 특수성 때문이라고 판단한다. 글로벌 경기가 상승하면 보통 글로벌 증시가 오르고, 원화도 강세를 보인다. 그러면 헤지형의 수익률 상승폭이 노출형보다 크다. 반대로 글로벌 경기가 하락해 글로벌 증시와 원화가 약세를 보이면 헤지형의 수익률 하락폭이 노출형보다 커진다. 종합하면 글로벌 경기 등락에 따라 헤지형이 노출형보다 투자위험(상승폭과 하락폭)이 더 큰 것이다. 실제로 내수 주도로 성장하는 일본의 경우 한국과 반대로 장기투자 시 환율을 헤지할 때 투자위험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채권 투자는 반대다. 채권의 가격은 글로벌 경기가 상승하고 원화가 강세를 보일 때 하락한다. 따라서 해외채권을 환노출형으로 투자하게 되면 자산가격 하락과 상대적인 환손실의 이중 하락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반대로 글로벌 경기가 하락하고 원화가 약세를 보이면 노출형은 헤지형보다 상승폭이 클 수 있다. 즉 해외채권을 투자할 때는 환율을 헤지하는 것이 투자위험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이제 비용측면을 살펴보자. 환율 헤지에는 비용(환율 스왑비용+롤오버비용)이 수반된다. 예컨대 A 운용사의 TDF의 지난 5년간 누적수익률은 환노출형과 환헤지형이 각각 61%와 30%로 집계됐다. 동일한 자산을 보유하고도 두 펀드간 수익률 격차가 31%포인트나 벌어진 것이다. 같은 기간 원화의 약세 정도가 18%임을 감안하면, 연간 평균적으로 약 2% 내외의 환율 헤지 비용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TDF는 장기투자펀드다. 국내 출시된 TDF는 운용사들의 글라이드패스 전략에 따라 기대수익률이 다소 차이를 보일 수 있으나, 30년 연평균 기대수익률은 어림잡아 6~7% 내외 수준이다. 그런데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TDF 투자 시 환헤지형에 투자하면 기대수익률이 4~5% 수준으로 하락하게 된다.
이제 결론이다. 서두에 언급한 바와 같이 TDF를 활용해 장기투자하는 경우 환율에 노출하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더 나아가 세부적으로는 자산배분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때 글로벌 주식은 환노출 방식으로, 채권은 환헤지형으로 투자하는 상품을 고르는 것이 현명한 투자일 것이다.
심기문 기자 door@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불황에도 다들 '디올·루이비통 백' 사러 '오픈런' 하더니 결국…
- ‘탁구게이트’ 이강인 대표팀 발탁…손흥민과 태국전 선봉
- 4000원짜리를 66만원에 ‘되팔이’…美 뒤흔든 ‘마트백’ 무엇
- “런종섭” “개구멍 도망”…野, ‘이종섭 출국’ 융단폭격
- 국민의힘 41.9%, 민주당 43.1%…尹지지율 40.2%[리얼미터 조사]
- 욱일기 퇴치 앞장서던 서경덕 교수에 日 극우 '선 넘는' 테러 '충격'
- 구글은 줄여도 삼성은 늘린다…오늘부터 '삼성고시' 스타트 [biz-플러스]
- 한 걸음 후퇴한 노인빈곤율…3명 중 1명 '빈곤'
- 한동훈 '감옥 안가려 종북세력 손잡아'…이재명 '사면·음란·돈봉투·친일·패륜 공천'
- '슈퍼화요일' 후보 확정 효과? 바이든-트럼프 지지율 동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