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잭슨랩 손잡고 AI로 알츠하이머 치료약 공동연구

이재연 기자 2024. 3. 11. 17: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엘지(LG)가 세계적인 유전체 연구소와 손잡고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알츠하이머 정복에 나섰다.

최근 글로벌 대기업들이 인공지능으로 신약 개발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겠다고 선언한 데 이어 엘지도 참전한 것이다.

㈜엘지는 엘지 인공지능(AI)연구원과 미국 잭슨랩이 최근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LG AI연구원과 잭슨랩(The Jackson Laboratory)은 질병을 예측하고 신약과 치료제 개발에 활용할 AI 공동 연구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사진 왼쪽부터 LG AI연구원의 박용민 헬스케어 사업 담당, 이화영 사업개발 유닛장, 배경훈 원장, 잭슨랩의 론 카돈(Lon Cardon) CEO, 폴 플리첵(Paul Flicek) CDO, 찰스 리(Charles Lee) 유전체 의학 연구소장. 잭슨랩 제공

엘지(LG)가 세계적인 유전체 연구소와 손잡고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알츠하이머 정복에 나섰다. 최근 글로벌 대기업들이 인공지능으로 신약 개발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겠다고 선언한 데 이어 엘지도 참전한 것이다. 시장에서는 인공지능 기술력은 물론 방대한 의학 데이터와 약물 개발 역량까지 모두 받쳐줘야 성공할 수 있는 만큼 쉽지 않은 싸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엘지는 엘지 인공지능(AI)연구원과 미국 잭슨랩이 최근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1929년 설립된 잭슨랩은 비영리 유전체 연구기관으로, 특정 유전자를 변형해 질병을 유도한 실험용 쥐를 직접 설계·생산하는 데 특화된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유전자 변형 쥐는 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핵심 재료다.

공동 연구개발은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와 암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들 질병의 발병 원인과 진행 과정을 분석하고 치료제 효과까지 예측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신약 개발에 걸리는 기간을 크게 단축하는 동시에 개발 성공률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두 회사는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개인의 유전적·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치료의 초석을 다질 수 있을 것이라고도 설명했다. 이를 위해 엘지의 생성형 인공지능 ‘엑사원’(EXAONE)에 잭슨랩이 보유한 대량의 유전자 연구 데이터를 투입할 계획이다.

엘지의 움직임에는 앞으로 인공지능과 바이오를 접목한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계산이 깔려 있다. 인공지능을 활용해 현재 평균 10년 정도인 신약 개발 기간을 크게 단축하거나 불치·난치병 치료제를 개발하면 이른바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는 판단이다. 특히 앞으로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진행돼 뇌질환 환자가 늘어날 전망이지만 관련 치료제는 사실상 전무한 상황이다. 엘지가 알츠하이머와 암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배경이다.

정보기술(IT)·반도체 업계의 거물들은 이미 앞서나가고 있다. 일단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은 자회사 딥마인드를 통해 유전자 정보로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인공지능 프로그램 ‘알파폴드’(Alphafold)를 일찌감치 개발한 바 있다. 이 또한 신약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는 기술로, 실제로 알파폴드를 활용해 간암 치료제를 설계하는 등의 연구까지 이뤄진 상황이다.

엔비디아도 최근 들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신약을 개발하는 기업 ‘리커전’(Recursion Pharmaceuticals)에 5천만달러를 들여 지분 투자를 한 바 있다. 올해 초에는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제이피(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 참석해 “우리는 여러분과 협력해 이 분야를 발전시키기로 결심했다”고 발언했다.

다만 가시적 성과가 나오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인공지능과 관련된 소프트웨어·하드웨어 기술력은 물론, 이 인공지능 학습에 필요한 빅데이터와 생물학 지식까지 총동원돼야 하는 분야인 탓이다. 시장에서는 제약·바이오테크와 관련된 인공지능 시장의 글로벌 규모가 2022년 11억달러(약 1조5천억원)에서 2028년 54억달러(약 7조원)로 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