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라진 생필품 가격 인상 주기…“기업들, 물가 상승 부추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대유행) 이후 국내 기업들이 이전보다 더 자주 상품 가격을 올리면서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는 한국은행의 분석이 나왔다.
11일 한은이 발표한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 가격조정행태 변화 특징과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소비자원의 생필품 가격 데이터를 바탕으로 국내기업의 가격조정 빈도를 조사한 결과 2018∼2021년 월평균 11.0%에서 2022∼2023년 15.6%로 상승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년에 2번씩 인상한 꼴…인상률은 평균 20∼25%
한은 “기업 가격조정 행태, 지속적으로 점검할 필요”
(시사저널=이주희 디지털팀 기자)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대유행) 이후 국내 기업들이 이전보다 더 자주 상품 가격을 올리면서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는 한국은행의 분석이 나왔다.
11일 한은이 발표한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 가격조정행태 변화 특징과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소비자원의 생필품 가격 데이터를 바탕으로 국내기업의 가격조정 빈도를 조사한 결과 2018∼2021년 월평균 11.0%에서 2022∼2023년 15.6%로 상승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할인 등 가격 일시조정은 제외됐다.
가격조정 빈도는 해당 기간 가격조정 기회들 가운데 실제로 기업이 인상·인하를 단행한 횟수의 비율을 말한다. 가격인상 빈도의 증가율이 높은 생필품은 주로 조미료·식용유지, 축산·수산물 가공품 등 수입 원재료의 비중이 커 비용 압력을 많이 받은 품목들이었다.
이 빈도를 기간으로 환산하면, 평균 상품가격 유지 기간이 같은 기간 약 9.1개월에서 6.4개월도 단축됐다. 코로나19 이전에는 연 1.3회 정도 가격을 올렸다면 팬데믹 이후에는 1년에 약 두 번 올렸다는 의미다. 한번 올릴 때 인상률은 평균 20∼25%, 인하율은 15∼20%로 팬데믹 전과 비교해 큰 차이가 없었다.
아울러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수준과 기업의 가격인상 빈도 변화 사이 관계를 분석한 결과, 물가 상승률이 4∼5%대로 높은 시기에는 같은 비용 충격(유가·곡물가 상승 등)에도 가격 인상 빈도가 늘어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물가 상승률이 높은 경우 비용 충격이 다시 물가로 빠르게 전이되는 것이다.
이동재 한은 물가동향팀 과장은 "지금처럼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목표수준(2%)을 상회하는 상황에서 향후 새 충격이 발생하면 인플레이션 변동 폭이 물가 안정기보다 더 커질 수 있는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며 "앞으로 물가 상황을 판단할 때 기업의 가격 조정 행태가 과거 수준으로 돌아가는지도 지속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성관계 대가 못 받자 동거남 잔혹 살해한 그 남자 [정락인의 사건 속으로] - 시사저널
- “굉음내며 쾅” 79세 운전자 돌진에 9중 추돌…폐지줍던 70대 사망 - 시사저널
- 올해 세수 ‘15조원’ 덜 걷힌다…고소득자·대기업 감면 영향 - 시사저널
- “엄마, 돈 좀 보내줘” 전화 한 통에 1인당 평균 1700만원 뜯겼다 - 시사저널
- 재주는 민주당이 넘고 돈은 尹이?...’의사파업’의 지독한 아이러니 - 시사저널
- “100위권도 위태롭다”…스러지는 건설사, 다시 점화되는 ‘4월 위기설’ - 시사저널
- 수원 배수로서 발견된 나체 女시신…신원·사인 ‘오리무중’ - 시사저널
- ‘좌표 찍고 비난’ 도로보수 민원 시달린 30대 공무원 사망 - 시사저널
- 사소한 일에도 짜증 ‘왈칵’…체력 고갈됐다는 몸의 신호 3 - 시사저널
- ‘왜 이렇게 코를 골아?’…살 찌고 있다는 의외의 신호 3 - 시사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