뽀송뽀송 배내털 남은 점박이물범이 왜 백령도에?···국내서도 번식 가능성

김기범 기자 2024. 3. 11. 12:0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생후 1개월 이하 개체 잇따라 확인
2020년 이후 서해 연안서만 5차례
2020년 2월13일 인천 옹진군 백령도 해안에서 발견된 새끼 점박이물범의 모습. 굴을 채취하러 갔다가 새끼 점박이물범을 확인한 주민 A씨는 2마리 정도의 큰 물범이 물속에서 새끼 물범을 보고 있었으며, 새끼 물범은 소리를 많이 질렀고 굉장히 사나웠다고 말했다. 인천녹색연합 황해물범시민사업단·주민 A씨 제공.

배내털이 남아있는 생후 1개월 이하의 새끼 점박이물범이 인천 옹진군 백령도에서 잇따라 확인되고 있다. 중국 랴오둥만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멸종위기 해양 포유류 점박이물범이 국내에서 번식하고 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인천녹색연합과 백령도점박이물범생태관광협의체는 2020년부터 2024년 2월까지 백령도 연안에서 4마리의 새끼 점박이물범을 확인했다고 11일 밝혔다. 2차례는 생존, 2차례는 좌초로 폐사한 상태로 확인됐다. 충남 가로림만 연안에서 1개월 미만 새끼가 발견된 사례까지 합하면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새끼 점박이물범이 서해 연안에서 확인된 것은 모두 5차례에 달한다.

2020년 2월13일 인천 옹진군 백령도 해안에서 발견된 새끼 점박이물범의 모습. 굴을 채취하러 갔다가 새끼 점박이물범을 확인한 주민 A씨는 2마리 정도의 큰 물범이 물속에서 새끼 물범을 보고 있었으며, 새끼 물범은 소리를 많이 질렀고 굉장히 사나웠다고 말했다. 인천녹색연합 황해물범시민사업단·주민 A씨 제공.

환경단체와 백령도 주민 등이 새끼 점박이물범이 잇따라 서해 연안에서 확인되는 것에 주목하는 것은 기존에 한반도에 서식하는 점박이물범은 중국 랴오둥만에서만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기 때문이다. 인천녹색연합과 백령도 주민 등이 참가하고 있는 백령도점박이물범생태관광협의체는 점박이물범의 한반도 서해연안 번식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해양수산부와 함께 백령도 지역 내 조사를 비공개로 진행해 왔다.

2024년 2월28일 인천 옹진군 백령도 해안에서 주민 E씨가 굴을 채취하러 바다에 나갔다가 발견한 새끼 점박이물범의 모습. 새끼 점박이물범은 인기척이 나자 물가 주변 바위 아래 틈으로 숨었으며, 주변에 큰 물범은 보이지 않았다. 인천녹색연합 황해물범시민사업단·주민 E씨 제공.

랴오둥만은 점박이물범의 전 세계 최남단 번식지다. 봄부터 가을 사이 백령도, 충남 가로림만에 사는 점박이물범들은 번식 및 출산을 위해 11월 말쯤 중국 랴오둥만으로 북상한다. 랴오둥만으로 돌아간 점박이물범은 1월 말쯤 유빙 위에서 하얀 배내털을 지닌 새끼를 낳는데, 새끼는 태어난 지 한달 이후쯤 털갈이를 시작한다. 털이 모두 빠지면서 몸에 점박이 무늬가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2022년 2월16일 인천 옹진군 백령도 해안에서 아침 근무 중인 군인에 의해 발견된 새끼 점박이물범 사체. 배내털이 온전한 상태여서 생후 1개월 미만 개체로 추정된다. 인천녹색연합 황해물범시민사업단 제공.

랴오둥만에서 번식하는 점박이물범의 배내털을 지닌 새끼가 최근 잇따라 국내에서 확인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상황이다. 털갈이를 하기 전인 새끼 점박이물범은 유빙 위에서 생활하는데, 물에 빠질 경우 저체온증으로 죽을 가능성이 높다.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새끼가 랴오둥만에서 백령도까지 헤엄쳐 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는 점에서 환경단체 등은 국내 번식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2023년 11월28일 인천 옹진군 백령도 해안에서 주민 D씨가 발견한 새끼 점박이물범의 사체. 인천녹색연합 황해물범시민사업단 제공.

인천녹색연합과 백령도점박이물범생태관광협의체는 번식 가능성을 고려한 정부 차원의 전문 조사가 필요하며, 백령도 내에 연구·구조기관을 배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재는 백령도에 상주하는 연구·구조기관은 전무한 상태다. 이들 단체는 “새끼 점박이물범이 발견되었을 때 행동 지침을 마련해 지역 주민들에게 홍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기범 기자 holjja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