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 때 상품값 조금씩 자주 올려 충격 키웠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이후 고물가 시대에 접어들면서 기업들이 상품 가격 인상 조정 빈도를 늘려, 물가 상승을 재차 압박하는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은 "고물가 시기에 기업들이 가격 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저항 및 민감도, 경쟁 제품의 대체 효과 등을 고려해 가격 인상 시 '인상 폭'보다는 '빈도'를 조정한다"며 "이에 물가상승률과 가격 인상 빈도 간 상관성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추정한다"고 분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상품값 유지 기간 약 9.1개월에서 6.4개월로 줄어
[아이뉴스24 이효정 기자] 코로나19 이후 고물가 시대에 접어들면서 기업들이 상품 가격 인상 조정 빈도를 늘려, 물가 상승을 재차 압박하는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가격 조정 빈도는 코로나19 이후인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월평균 15.6%로 나타났다. 이는 2018년에서 2021년 월평균 11.0%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4.6%포인트(p) 높다.
가격 조정 빈도는 가격 인상과 인하의 반복 정도를 뜻한다. 할인 등 일시적 조정은 제외한다.
가격 조정 빈도가 높아지면서 평균적으로 상품 가격의 유지 기간은 약 9.1개월에서 코로나19 이후 6.4개월로 단축했다.
반면 가격 인하의 빈도와 가격 조정 폭(인상·인하율)은 코로나19 전후로 변화가 거의 없었다. 국내 생필품 가격의 인상률은 1회당 평균 20~25%, 인하율은 15~20% 수준에서 유지했다.
한은은 "고물가 시기에 기업들이 가격 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저항 및 민감도, 경쟁 제품의 대체 효과 등을 고려해 가격 인상 시 '인상 폭'보다는 '빈도'를 조정한다"며 "이에 물가상승률과 가격 인상 빈도 간 상관성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추정한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유가 상승 등 충격의 크기가 크고, 서로 다른 충격이 동시에 발생할 때 인플레이션과 함께 가격 인상 빈도도 확대되면서 물가상승률이 더 큰 폭으로 확대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물가상승률이 4~5%대로 높은 시기에는 동일한 비용 충격에도 인상 빈도가 늘어나면서 충격이 물가로 빠르게 전이했다"며 "향후 새로운 충격이 발생하면 인플레이션 변동 폭이 물가 안정기에 비해 더욱 커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효정 기자(hyoj@inews24.com)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D현대중공업 '힘센 메탄올 엔진' 대한민국 10대 기계기술 선정
- 교촌, 대만 '타오위안점' 오픈…현지 여섯번째 매장
- 디플정위, 정부 박람회서 '디지털플랫폼정부 콘퍼런스' 개최
- 이랜드, 그룹 전략기획본부 ESI 신입사원 채용
- 티웨이항공, 42개 국제선 대상 최대 25% 할인
- "켈리 잘 팔린다 했더니"…하이트진로 3분기 영업익 61.5%↑
- '尹 라운딩' 부적절 지적에 경호처 "연습장 가면 국민 제한 많아"
- 김호중 실형 선고에도…김천시 "김호중 소리길 철거? 여론·항소심 지켜볼 것"
- "악질적인 대참변"…60대 남성이 몰던 차량에 78명 사상
- 10주년 8퍼센트 "최적의 금융 실현을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