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ELS 배상안 마련, 은행 고위험상품 판매 금지해야[사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금융감독원이 11일 홍콩 H지수 연계 ELS 손실에 무리한 실적 경쟁과 불완전 판매가 있었다는 결론을 내리고 배상 기준을 발표했다.
하지만 5대 시중은행의 홍콩ELS 판매 규모가 21조9000억 원, 지난달 27일까지 확정된 원금 손실액만 1조160억 원에 이른다.
이번 홍콩 ELS도 실적 경쟁과 골프 접대 등으로 전체 판매의 78%가 은행에 쏠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이 11일 홍콩 H지수 연계 ELS 손실에 무리한 실적 경쟁과 불완전 판매가 있었다는 결론을 내리고 배상 기준을 발표했다. 판매사와 투자자 양쪽 요인을 고려해 차등 배상하고, 판매사의 내부통제 부실과 설명의무 위반·부당권유 등 불완전 판매 정도에 따라 23∼50% 차등 적용키로 했다. 투자자들에게도 연령·가입횟수·금액·과거 수익·금융지식 수준 등을 따져 배상액을 45%포인트까지 차감할 수 있도록 했다. 대략 20∼60% 수준이다.
예전의 일괄 배상안에 비해 진일보한 게 사실이다. 하지만 5대 시중은행의 홍콩ELS 판매 규모가 21조9000억 원, 지난달 27일까지 확정된 원금 손실액만 1조160억 원에 이른다. 홍콩 H지수가 지금 수준을 지속하면 전체 손실액은 6조 원까지 불어날 전망이다. 이번 가이드라인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투자자마다 실제 배상비율을 놓고 끊임없는 협상과 진통이 꼬리를 물 수밖에 없다.
파생금융 투자 실패가 불거질 때마다 손실을 보상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2008년의 외환옵션 상품인 키코 대란, 2019년 해외금리연계 결합펀드(DLF) 사태, 2020년 라임·옵티머스 사건이 대표적이다. 이번 홍콩 ELS도 실적 경쟁과 골프 접대 등으로 전체 판매의 78%가 은행에 쏠렸다. 차제에 은행의 ‘고위험 상품’ 판매를 막아야 한다. 김주현 금융위원장도 “은행의 ELS 판매를 금지해야 한다는 주장에 상당 부분 공감한다”고 했다. 적어도 판매 수수료 중심에서 운용 보수 위주로 바꿀 필요가 있다.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둘째까지 낳은 아내가 친누나? 신장 이식하려다 ‘날벼락’
- 국민 빈곤율 57% 치솟는데 급여 48% ‘셀프 인상’한 대통령
- 비례 정당 지지율, 조국 당이 민주당 앞선다?…‘지민비조’ 현실화되나
- [단독] 박수홍 모욕해 ‘벌금형’ 형수 친구, 정식재판 청구…강용석 변호 맡아
- ‘또’ 했다…93세 머독 25세 연하 여성과 ‘여섯번째’ 약혼
- ‘1골 2도움’ 손흥민 맹활약…토트넘, 애스턴 빌라에 4-0 완승
- 조국 “많은 도사, 무당이 ‘63년생 토끼띠 曺 사주’ 어쩌고…난 65년생 뱀띠”
- 굶주린 가자…뼈만 남은 10살 소년 결국 숨졌다
- 유천호 인천 강화군수, 별세…향년 72세
- 권은희, 이낙연에 ‘광주 광산을’ 바톤터치…“총선 불출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