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지고 있는 산호초 4년만에 '완전 회복'

문세영 기자 2024. 3. 11. 10:3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황폐화된 산호초 지역에 산호초 재건을 위한 구조물이 설치되고 있다. THE OCEAN AGENCY 제공.

해양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산호초가 기후변화로 몸살을 앓고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지난 2022년 호주 당국에 따르면 세계 최대 산호초 군락인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도 약 90% 가량이 백화 현상으로 피해를 입고 있다. 백화는 해수 온도 상승으로 산호초에 영양을 공급하는 미세조류가 사라지면서 산호초의 석회질이 하얗게 드러나는 현상이다. 

기후위기가 가속화하는 가운데 과학자들은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해 산호초 복원 전략을 고심중이다. 아이너스 랭 영국 엑서터대 지리학과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은 손상된 산호초 복구 프로젝트를 통해 4년만에 건강한 산호초를 형성시킨 연구결과를 9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현대 생물학’에 공개했다. 손상된 산호초 군락은 생각보다 빠르게 복원될 수 있다는 사실을 실증을 통해 최초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구조물 이용한 산호 재건 프로그램...4년만에 복원 

연구팀은 전세계에서 규모가 가장 큰 산호초 회복 프로젝트인 ‘산호초 재건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이번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슬라탄주에서 이뤄지는 이 프로젝트는 30~40년 전 성행했던 폭발물로 물고기를 잡는 낚시 방법인 ‘폭파 낚시’로 심하게 손상된 산호초를 복원하기 위해 산호 이식을 진행하는 프로젝트다. 인간의 개입 없이는 산호초 생태계가 회복될 조짐을 보이지 않으면서 프로젝트가 진행됐다. 

산호초 재건 작업은 복구가 필요한 환경에 모래로 코팅한 강철 구조물을 지속적으로 설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산호가 자랄 수 있는 강철 구조물은 산호초 복구의 기본 바탕이 된다. 구조물에 건강한 나뭇가지형 산호를 이식한 뒤 4년간 관찰했다. 나뭇가지형 산호를 이식한 이유는 다른 산호종보다 탈색에 민감해 복원 정도를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4년 뒤 관찰 결과 이식된 산호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정상적인 산호초 생태계가 조성됐다.

연구팀은 복원 속도와 실제 복원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12개의 복원 지역에서 탄산염 수치를 측정했다. 산호의 골격과 껍데기는 탄산칼슘으로 이뤄져 있다. 탄산칼슘은 칼슘의 탄산염으로 복원 지역에 탄산염이 얼마나 비축돼 있는지 계산하면 산호초가 얼마나 빠른 속도로 증식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측정 결과 구조물을 설치한 지 불과 4년만에 탄산염 수치가 3배 증가했다. 연구팀은 "이는 건강한 산호초 지역에서 확인되는 수치와 비슷한 수준"이라며 "탄산염 비축량은 구조물로 이식된 산호들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근거"라고 밝혔다. 

랭 연구원은 "우리가 본 회복 속도는 믿을 수 없을 정도였다"며 "모든 산호초 환경에 맞는 획일화된 해결책은 없지만 이번 사례가 전 세계 다른 산호초 재건 프로젝트에 영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구조물 설치 후 4년이 지난 산호초 지역이 복구됐다. THE OCEAN AGENCY 제공.

● 해수면 온도 상승은 변수...재건에 영향 미치는 요인 파악해야 

기후변화는 이번 프로그램의 변수가 될 수 있다. 지난해 해수 온도가 관측 역사상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면서 산호들이 큰 피해를 입었다. 2023년 7월 27일 미국 플로리다 해수 온도는 37.8도를 기록했다.  지금까지 가장 높은 해수 온도였던 2020년 쿠웨이트만 온도(37.6도)를 넘어선 수치로 욕조의 온수 수준이다. 

이와 관련 미국 국립해양대기청은 ‘욕조 온수’ 수준의 해수 온도가 해양 생태계를 위협하고 산호초 백화 현상 등 탈색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전 세계 해수면 온도가 매년 기록적인 폭염과 함께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어 앞으로 수온 상승은 산호초의 회복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산호초 재건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칠 요인들을 파악해나가야 한다"며 "탄소 배출을 줄이는 등의 노력으로 지구 온난화와 해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면 지금까지 망가진 산호초 생태계를 복원하고 성장시키는 작업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문세영 기자 moon09@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