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시장도 중국 천하…K-배터리 점유율 하락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글로벌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에서 국내 기업들의 점유율이 전년 23% 대비 9%p 하락한 14%를 기록했다.
ESS 시장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위주로 전환되고 있지만, 국내 기업들은 LFP 배터리를 양산하고 있지 않는 점이 점유율 하락 배경으로 분석됐다.
한국 기업들도 오는 2026년부터 북미 지역에서 LFP 배터리 양산, ESS 시장 공략을 준비 중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김윤희 기자)지난해 글로벌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에서 국내 기업들의 점유율이 전년 23% 대비 9%p 하락한 14%를 기록했다.
ESS 시장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위주로 전환되고 있지만, 국내 기업들은 LFP 배터리를 양산하고 있지 않는 점이 점유율 하락 배경으로 분석됐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는 11일 이같은 조사 결과를 밝혔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ESS 리튬이온전지 출하량은 185GWh로, 전년 121GWh 대비 53% 성장했다.
지역별 수요를 보면 중국이 가장 큰 84GWh로 전체 시장의 45%를 점유했다. 북미는 55GWh로 30%, 유럽과 기타 지역이 각각 23GWh로 12%를 점유했다.
배터리 업체별 판매 실적을 보면 LFP 기반 중국 배터리 업체들이 큰 성장을 거뒀다. 특히 EVE와 렙트, 하이티움이 100%이상 고성장하며 상위권에 기록됐다.
SNE리서치는 최근 중국 업체들이 미국 도착가 기준으로 컨테이너 솔루션을 킬로와트시 당 100달러 이하까지 제공하면서 한국 업체 대비 가격 측면에서 큰 차이를 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가격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는 중국산 배터리가 북미 뿐만 아니라 유럽 등 글로벌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CATL은 ESS시장에서도 전년에 이어 1위를 차지했고 2위는 BYD, 3위는 EVE가 차지했다. 출하량에 있어서도 한국 기업인 삼성SDI와 LG에너지솔루션과 큰 차이를 벌렸다.
한국 기업들도 오는 2026년부터 북미 지역에서 LFP 배터리 양산, ESS 시장 공략을 준비 중이다. SNE리서치는 북미 현지 생산으로 얻는 이점 및 현지 생산 공급으로 희망하는 고객이 많이 있지만, 가격적인 측면에서 중국 업체와 경쟁이 가능한 수준의 원가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전망했다.
김윤희 기자(kyh@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기차 주춤..."배터리 시장, 뜨는 'ESS' 타고 성장"
- 중저가 배터리 공세에 한·중 패권 경쟁 가속화
- 테슬라, 美 네바다에 '배터리 공장’ 설립한다
- 정부, 2036년까지 美中과 함께 3대 ESS강국 도약 추진
- '양수겸장' K배터리, 전기차 이어 ESS 시장 정조준
- "트럼프 인수위, 전기차 보조금 폐지"…이차전지주 급락
- 장재훈 현대차 사장, 부회장 승진…호세 무뇨스 첫 외국인 사장 선임
- '9만 비트코인', 하루만에 8만8천 달러 붕괴…왜?
- 배달앱 수수료 7.8%로 인하...'배민 상생안' 극적 합의
- 주52시간 예외·직접 보조금...韓·日, 반도체법 재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