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 열풍, 과연 의대만이 답일까

서울문화사 2024. 3. 11. 09:02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교육계의 모든 관심이 의대 입시라는 핫이슈로 빨려 들어가고 있다. 그야말로 의대 열풍을 넘어 광풍의 시대다. 과학을 꿈꾸는 아이들에게조차 의대를 권하는 이 사회는 무엇을 마주하고 있는 것일까? 전문가들에게 직접 들었다.

의대를 꿈꾸는 사회

2025학년도 대학 입시부터 의대 모집 정원을 2,000명 늘리겠다는 정부 발표가 있었다. 기존 3,058명이던 의대 입학 정원을 5,058명으로 확대하겠다는 방침은 지속적인 고령 인구의 증가와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의사 비율 등을 근거로 2025학년도 입시부터 의대 정원을 늘려 5년간 1만 명의 의료 인력을 추가 양성하겠다는 말이다.

현재 중3이 해당되는 2028년도 대입 개편안이 문·이과 구분 없는 수능과 5등급 내신제라는 어마어마한 변화를 담고 있음에도 의대 증원 뉴스가 터지는 순간 모든 사교육 설명회의 내용은 의대 증원과 관련된 내용으로 채워지고 있다. 학부모와 학생들의 관심이 의대 입시에 집중되고 있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다.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성적이 우수한 학생은 당연히 의대로 진학하는 경향이 심화돼왔다. 그 와중에 의대 정원 확대라는 정부 발표는 기름을 부은 꼴이 됐다. 의대에 대한 갈망은 늘 있어왔지만, 2005년경부터 심화된 의대 쏠림은 이전과는 구별되는 특이한 현상을 만들어냈다.

첫째, SKY로 상징되던 전통적인 학벌의 개념을 흔들어놓았다. 이제 더 이상 대치동 학원가의 최상위권 프로그램에 ‘서울대반’이라는 이름을 붙이지 않는다. 수능 커트라인도 전국 40개 의대 모두가 서울대 공대의 커트라인을 넘어선다.

둘째, 재수생의 숫자를 폭발적으로 증가시켰다. 2024학년도 수능에서 전체 응시자 중 31%가 재수생이었다. 학령인구의 감소로 일부 지방대는 학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는데도 오히려 재수생이 증가한다는 것은 의학 계열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재수도 불사한다는 현실적 영향이 크다.

셋째, 이공 계열의 붕괴다. 2022년도 서울대 자퇴생 330명 중 284명이 이공 계열 학생이었다. 수시에서 등록을 포기한 112명의 자연계 합격자까지 포함하면 서울대에서만 의대 시험을 다시 치기 위해 빠져나간 학생이 400명에 육박한다.

예전에는 의대와 비슷한 성적대의 다른 대학 공대가 선택지로 주어졌지만, 이제는 공학 계열을 지원하는 최상위 학생들은 모두 하향 지원을 하는 셈이 돼버렸다.

 결국 의대 인원이 증원되더라도 
 기존의 약대 합격자들이 의대로 업그레이드할 가능성이 클 뿐, 
 재학 중인 반수생이나 직장인이 서울 상위권 공대 수준의 수능 성적으로 
 의대에 합격하기란 어렵다. 

의대 정원 증원의 오해와 진실

정부의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발표는 수험생, 학부모뿐만 아니라 대학생, 심지어 이공 계열 출신 직장인들까지 술렁거리게 했다. 2025학년도부터 5년간 1만 명의 의사를 추가 양성하겠다는 내용 때문이다. 의대 문호 확대가 5년간만 확정적이라는 사실에 눈길이 간 것이다. 정부는 발표문에서 5년간 의대 모집 인원을 증원한다고만 밝혔을 뿐 그 이후에는 어떻게 할지 명확히 말하지 않고 있다. 그 부분에 대한 여러 추측은 지금이라도 의대 진학을 위해 대입 시험을 다시 준비해야 하지 않을까라는 고민을 부추겼다.

의대 정원을 늘리면 직장인이나 대학생이 대입 시험을 다시 준비해 의대에 가는 것이 쉬워질까? 현실은 그렇지 않다. 현재 3,058명의 의대 정원 중 정시로 선발하는 인원은 38%에 지나지 않는다. 더구나 새롭게 증원된 인원의 많은 부분이 지방 의대 지역인재전형으로 할당될 가능성이 높다. 현재 정시에서 의대 합격권은 전국 자연계(과학탐구영역 응시자) 중 누적 1,800등 정도로 보는데, 여기에 추가 인원이 합해지면 2,600등 선까지 의대 합격이 가능하다는 예측이 나온다. 현재 이 수준의 학과들은 지방대 약대와 수의대, 일부 치대까지 포함된다.

결국 인원이 증원되더라도 기존의 약대 합격자들이 의대로 업그레이드할 가능성이 클 뿐, 재학 중인 반수생이나 직장인이 서울 상위권 공대 수준의 수능 성적으로 의대에 합격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의대 정원 증원을 활용하는 방법

전국 40개 의대의 전형별 모집 인원을 살펴보면 수도권 의대와 지방 의대는 서로 다른 이유에서 수시전형을 선호한다. 수도권 의대는 수능 이전에 최상위권 학생들을 먼저 선발하길 원한다. 특히 자사고와 영재교 학생들을 선발하고자 수시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의 비중을 높였다. 반면 지방 의대는 정시에서 수도권 의대와 중복 합격된 학생이 빠져나갈 경우 정원 충원에 실패할 위험성이 있어 수시를 선호한다. 하지만 영재교나 전국단위 자사고 학생이 수시에서 지원하지 않을 것을 잘 알고 있으므로 수시에서 ‘지역인재 교과전형’을 확대한다. 앞으로 확대되는 정원도 비슷한 방향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자신이 내신에 강점이 있고 의대에 안정적인 합격을 원하는지, 아니면 상위권 고등학교 재학생이면서 수도권 의대를 노리는지에 따라 자신에게 맞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 같은 의대라고 해도 상위권 의대와 지방 사립대 의대는 선발코자 하는 인재상이 완전히 다르다는 점을 유념하자.

정시전형은 늘어나는 반수생 때문에 극단적인 레드오션이 될 가능성이 높다. 한의대나 약대를 목표로 했던 학생들도 의대 입시에 뛰어들 가능성이 크므로 직장인이나 반수생이 본격적으로 대입을 준비할 생각이라면 이런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 오히려 재학생과 재수생 상위권이 의대 입시로 빠져나간 약대와 한의대를 목표로 하는 것도 좋은 전략일 수 있다.

현재 발표된 의대 증원 정책은 지방의 일반계 고등학교 내신 우수생이 가장 많은 혜택을 보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 40명대로 신입생을 모집하는 소규모 의대 정원을 우선적으로 확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인하대, 아주대, 가천대, 강원대, 충북대, 관동대, 건국대, 건양대, 단국대, 대구가톨릭대, 동국대, 동아대, 을지대가 해당되는 학교들이다. 성균관대와 울산대의 모집 정원도 40명이지만, 이 두 학교는 서울대에 버금가는 최상위권 의대이므로 접근 방식이 달라야 한다.

지역인재전형의 확대를 노리고 지금 지방으로 전학 가는 것은 권할 수 있는 전략이 아니다. 기본적으로 지역 인재의 거주 기간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확한 안이 나오기 전에는 사용하기 힘든 방법이다. 더군다나 5년 뒤 모집 정책이 모호한 상태에서 초등학교부터 지방으로 내려가는 것은 더더욱 무모하다는 생각이 든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의사는 다른 직종과 비교해 높은 사회적 지위와 부를 누린다. 의대를 향한 열망이 비정상적으로 과열될 경우 학생들을 향한 무의식적인 강요가 이어질지도 모른다. 우수한 학생은 모두 의대를 준비하는 상황에서 과연 혼자 아인슈타인이 되기를 꿈꿀 수 있을까? 한국 사회가 선진국으로 진입할 수 있었던 가장 큰 동력은 1980년대와 90년대 가장 우수한 인력을 빨아들였던 전자공학의 힘이었다. 의대로 모여든 우수 인력이 생명공학과 의료 산업의 동력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겠지만, 우리 사회의 현재 모습이 아인슈타인을 꿈꾸는 학생들에게 어떻게 비칠지 우려가 크다.

20년 전 한의대 열풍 왜 갑자기 사그라졌나?

이번 의대 열풍보다 규모는 작았지만, 20년 전에도 강력한 돌풍이 불었던 현상이 있다. 2000년 초반 교육계를 강타했던 한의대 열풍이다. 논리 구조도 비슷했다. 우리나라의 고령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 노인층의 건강관리를 담당하는 한의사가 미래에 각광받는 직업이 될 것이라는 기대로 한의대 커트라인이 모든 의대를 뛰어넘었다. 의대 재학생이 한의대로 갈아타거나 의대 교수가 특별전형으로 한의대로 편입한 사실이 언론에 보도되기도 했다. 하지만 지금은 어떠한가? 지나치게 뜨거웠던 한의대 열풍은 차갑게 식어버렸다. 한의대 열풍은 갑자기 왜 사그라졌을까?

‘정**’으로 대표되는 홍삼 건강식품의 등장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고령 인구의 보약 시장이 한의사 수입의 주요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는데, 대량 생산되는 홍삼 제품이 그 시장을 잠식해버린 것이다. 어느 누구도 변수로 고려하지 않았던 새로운 기술과 상품의 등장은 현실의 예상을 일시에 뒤집어버린다.

기획 : 하은정 기자 | 취재 : 유정임, 백재훈(교육 칼럼니스트) |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Copyright © 우먼센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타임톡beta

해당 기사의 타임톡 서비스는
언론사 정책에 따라 제공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