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안 300㎞ 78곳 해양 방사능 잡는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8일 오전 한반도 최남단 마라도에는 세찬 바람이 불고 있었다.
마라도에서도 최남단 지점에 가로 0.5m, 세로 1m 크기의 '환경방사선 감시기'가 바람과 싸우고 있었다.
최인희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환경방사능평가실장은 "5초 간격으로 연속해 방사선량을 측정하고 측정값을 누적 평균한다"며 "마라도에서는 시간당 0.06μ㏜(마이크로시버트)의 값이 평균적으로 기록되고 있으며 한반도 평균이 시간당 0.12μ㏜인 점을 감안하면 매우 낮은 수치"라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후쿠시마오염수 유입 길목
채수된 시료 면밀하게 측정
센서로 공기속 방사능도 감시
감시소 298개로 늘릴 예정
지난 8일 오전 한반도 최남단 마라도에는 세찬 바람이 불고 있었다. 마라도에서도 최남단 지점에 가로 0.5m, 세로 1m 크기의 '환경방사선 감시기'가 바람과 싸우고 있었다. 방사선 감시기는 바람을 타고 날아오는 방사성 물질을 24시간 실시간 감시하는 국가 방사선 파수꾼이다.
마라도 방사선감시소는 이날도 감시 체계를 풀가동 중이었다. 환경방사선 준위를 보여주는 화면에서 수치가 시시각각 변했다. 최인희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환경방사능평가실장은 "5초 간격으로 연속해 방사선량을 측정하고 측정값을 누적 평균한다"며 "마라도에서는 시간당 0.06μ㏜(마이크로시버트)의 값이 평균적으로 기록되고 있으며 한반도 평균이 시간당 0.12μ㏜인 점을 감안하면 매우 낮은 수치"라고 설명했다.
마이크로시버트는 방사능 물질이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표시하는 단위로 연간 인공 방사선 피폭 한계는 1000μ㏜다.
KINS는 바닷속 방사능 물질도 감시한다. 특히 지난해 일본이 후쿠시마 오염수를 방류하기 시작하면서 해양감시활동을 강화했다. 연안에서 약 300㎞까지 주변 원근해를 중심으로 78개소의 정점에서 해수와 해양생물, 해저퇴적물 방사능 농도를 지속 조사 중이다. 마라도 남쪽 바다에 집중 포진해뒀다. 약 5년 후 후쿠시마 오염수가 유입될 수 있는 한국과 일본 사이 길목이다.
김용재 KINS 책임연구원은 "조사 정점에 선박을 끌고 가 직접 시료들을 채취하고 있다"며 "선박에 달린 여러 개의 채수기를 바닷속에 넣어 직접 물을 떠오는 식"이라고 말했다.
여러 위치에서 채수된 시료는 대전의 KINS나 제주대에 위치한 제주지방측정소에 배달된다. 시료 속에 녹아들어 있는 방사성 물질 분석을 위해 7~10도로 냉각하는 등 전처리 과정을 거친다.
예를 들어 방사성 물질을 흡착하는 인몰리브덴산암모늄(AMP)을 해수에 넣고, AMP를 다시 모아 방사능 계측 기기로 측정한다.
AMP는 세슘을 흡착하는데, 삼중수소 등 다른 방사성 물질도 비슷한 전처리 과정을 거쳐 계측을 하게 된다. 현재까지 발생한 특이사항은 없다는 게 원자력안전위원회 측 설명이다.
마라도 방사선감시소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벌어진 이후인 2012년 설치됐다.
마라도가 방사선감시소로 낙점된 것은 국외 방사능 영향을 신속히 확인할 수 있는 지리적 입지를 지녀서다. 최 실장은 "일본 사고 이후 국토 최남단인 마라도를 방사선감시소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고 2013년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며 "이후 현재까지 관측되는 방사능 특이사항은 없다"고 말했다. 2013년 이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영향이 없었다는 설명이다.
한국은 지리적으로 편서풍이나 구로시오 해류 때문에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영향을 덜 받는 곳이다. 오히려 우려는 중국이다. 중국이 가동 중이거나 새로 짓는 원전 대부분이 한국과 가까운 동부 연안에 몰려 있다. 중국의 삼중수소 연간 배출량이 일본 후쿠시마 방류 오염수 연간 기준치의 50배 수준이라는 분석도 있다.
이에 원안위는 국외의 국가 환경방사선 감시망을 더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원안위는 1997년부터 국가 환경방사선 감시망을 구축해 현재 전국에 238개 감시소를 운영하고 있다. 2028년까지 총 296개 감시소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북한도 예의주시한다. 휴전선 근처에 촘촘히 방사선감시소를 설치했다. 방사선감시소는 15분 주기로 방사선량 평균을 계산하는데, 북한의 영향으로 2022년 6월부터 5분 주기로 운영하고 있다.
[마라도 고재원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강인 대표팀 소집 불가”…국대 발표 하루 앞두고 홍준표 또 ‘태클’ - 매일경제
- “국힘 170석으로 원내1당” “여소야대 그대로”…선거전문가 총선 예측 - 매일경제
- 서학개미들, 한달간 이 종목 5400억 몰빵했다…테슬라보다 3배, 대체 뭐길래 - 매일경제
- “원룸 전세요? 중개 안합니다”...공인중개사 기피대상 1순위 된 ‘다가구’ - 매일경제
- K방산 돌풍 일으키더니 그룹 시총까지 움직이네…올해 60% 오른 ‘이 기업’ - 매일경제
- 이준석도 이낙연도 아니라는데…제3지대 ‘조국혁신당’ 어부지리 돌풍 - 매일경제
- ‘빅’으론 안돼, ‘자이언트’ 정도 돼야…핫도그 더 키운 편의점, 왜? - 매일경제
- 명문대 대학원 미어터지네…기숙사는 구경도 못 할 지경이라는데 - 매일경제
- “나 간호사인데 국민들 답답”…여론전 나선 의사? 네티즌에 딱 걸렸다 - 매일경제
- 이현중 향한 호주 명장의 극찬, 구지안 감독 “슈팅력 NBA급, 주변 관계자도 NBA에 갈 것이라고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