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칼럼/김현수]美 월가의 반문 “韓 증시 저평가가 맞나”

김현수 뉴욕 특파원 2024. 3. 10. 23: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요즘 미국 월가 관계자들을 만나면 꼭 하는 질문이다.

그는 "한국 기업이 저평가된 게 아니라 미국 기술 기업이 고평가된 것일 수 있다. 미국 내에서도 지역은행 주식은 전혀 다른 상황이다. 특정 기업이 전체 미 증시를 끌어올리고 있다"고 했다.

한국 기업이 딱히 못나서가 아니라 엔비디아 등 미국의 대형 정보기술(IT) 기업 7개를 뜻하는 '매그니피센트7'에만 특이하게 돈이 몰린다는 의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日-유럽 ‘스타’ 기업 증시 쏠림 현상
한국엔 혁신 주도할 스타 기업 안 보여
김현수 뉴욕 특파원
“해외 투자자에게 왜 한국 주식은 덜 매력적인가요?”

요즘 미국 월가 관계자들을 만나면 꼭 하는 질문이다. 제대로 된 답을 듣기는 어려웠다. 한국 시장에 큰 관심이 없거나, 너무 복잡한 요인이 많아 뭐라고 딱 답을 내리기 어렵다는 반응이 많았다.

최근 뱅크오브아메리카(BoA) 글로벌경제 부문 총괄인 클라우디오 이리고옌 수석 이코노미스트의 외신 간담회에서도 같은 질문을 던졌다. 그는 “한국 기업이 저평가된 게 아니라 미국 기술 기업이 고평가된 것일 수 있다. 미국 내에서도 지역은행 주식은 전혀 다른 상황이다. 특정 기업이 전체 미 증시를 끌어올리고 있다”고 했다.

한국 기업이 딱히 못나서가 아니라 엔비디아 등 미국의 대형 정보기술(IT) 기업 7개를 뜻하는 ‘매그니피센트7’에만 특이하게 돈이 몰린다는 의미다. 그는 인공지능(AI) 관련 기업의 강세가 거품은 아니라면서도 “글로벌 투자자가 미국에만 너무 집중하고 있다”고 했다. 한국 경제 전반에 대해서는 2%대 무난한 회복세를 예상하면서 이는 “중국 경제의 회생에 달렸다”고 진단했다.

미국 경제의 ‘나홀로’ 성장 속에 글로벌 투자자들의 기본 마인드가 AI 등 혁신 분야 ‘스타’에 쏠려 있다는 것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동시에 한국 경제가 기술 혁신보다 여전히 중국 중간재 수출 기지로서의 이미지가 강하다는 점이 아쉽다. 한국 기업이 실제 가치보다 저평가 된 게 아니라 투자 심리에 영향을 주는 ‘혁신 스토리’에서 멀어진 것은 아닌가 싶은 대목이다.

미국은 강력한 소비 활동과 AI 덕에 경제의 기본 스토리가 ‘고물가-고금리’에서 ‘침체 따위는 없다’로 바뀌었다. 벤치마크 지수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이 올 들어 16번째 신기록을 낸 이유다. 엔비디아는 8일 차익매물 실현에 따른 5%대 주가 하락에도 올 들어 시가총액이 1조 달러(약 1320조 원) 이상 늘었다. 엔비디아 칩을 제조하는 대만 TSMC도 AI 시대의 핵심 기업이라는 평을 얻고 있다.

연일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는 일본 증시 또한 가치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최고경영자(CEO) 등의 관심을 받고 있다. 버크셔해서웨이는 최근 주주서한에서도 “일본의 주주 정책이 미국보다 낫다”고 호평했다. 골드만삭스 또한 ‘M7’에 대항할 만한 일본 기업 7곳, 즉 ‘사무라이7’을 주목하고 있다.

성장률 둔화로 어려움을 겪는 유럽에서도 스타 기업이 범유럽 지수 스톡스(Stoxx)600의 기록 경신을 이끌고 있다. 바로 비만약 ‘위고비’를 개발한 덴마크 제약사 노보노디스크다. 1년 동안 80% 상승했고, 최근에는 테슬라 시가총액도 넘어섰다. 노보노디스크와 반도체 장비기업 ASML 등 앞글자를 딴 ‘그래놀라스(GRANOLAS)’의 유럽 10개 기업도 최근 투자자의 인기를 끌고 있다.

이처럼 글로벌 시장에서 스타 기업의 쏠림 현상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최근 AI에서 뒤처진 애플이 ‘M7’에서 빠져야 한다는 말이 나오듯 과거 세계 시총 1위였던 기업도 혁신에서 뒤처지면 곧바로 외면받을 수 있다. 세계를 놀라게 한 한국의 혁신 스토리가 나온 것은 언제였나. 왜 한국 경제의 혁신 동력이 떨어지고 있는지부터 되짚어야 할 때다.

김현수 뉴욕 특파원 kimhs@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