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사설] 고물가 주범 과일·채소값 폭등 대비할 수 없었나

2024. 3. 10. 18:4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물가·고금리 속에 내수경기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0일 "수출회복세에도 고금리 기조로 소비와 설비투자가 부진하다"고 진단했다.

내수부진은 고물가·고금리 여파가 크다.

사과 등은 병해충 검역 이유로 수입도 거의 불가능한 과일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DI, 내수 부진과 고물가 지속 진단
예측 못하고 안이한 정부 대처 문제
농산물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2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3.1% 오르며 두 달 만에 다시 3%대로 진입했다. 농산물은 전년 같은 달보다 20.9% 치솟으며 2011년 1월(24.0%) 이후 13년 1개월 만에 최대 상승했다. 사진은 10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농산물을 고르는 시민들의 모습. 사진=뉴스1화상
고물가·고금리 속에 내수경기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0일 "수출회복세에도 고금리 기조로 소비와 설비투자가 부진하다"고 진단했다. 1월 소매판매는 3.4% 줄어 전년동기 대비 큰 감소 폭을 기록했다. 그중 내수지표에 영향이 큰 자동차 소비는 16.2%나 하락했다. 숙박·음식점업 지표는 4개월 연속 하락했다. 그나마 반도체를 중심으로 회복 중인 수출이 우리 경제를 떠받치고 있다.

내수부진은 고물가·고금리 여파가 크다. 실질임금이 쪼그라들면서 빚을 갚고 나면 소비여력은 줄어든다. 물가는 더 올라 장바구니에 물건을 담기조차 겁이 날 정도다. 과일·채소 등 농산물과 석유류 가격이 가파르게 올라 지난달 물가상승률은 다시 3%대를 찍었다.

특히 과일·채소 물가상승률이 지난달 각각 41.2%, 12.3%나 치솟았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전망으론 이달에도 토마토, 딸기, 참외 등 주요 과채류 가격이 전년보다 큰 폭으로 오를 것이 확실하다. 작황부진 탓에 출하량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토마토는 5㎏ 기준 2만3000원, 딸기는 2㎏ 기준 2만2000원으로 1년 전보다 각각 43.9%, 17.7%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최근 3년치 평균보다 각각 52%, 33% 이상 치솟은 가격이다.

채소 값은 더하다. 대부분 음식에 사용되는 대파는 도매가격이 ㎏당 2950원으로 평년 가격의 배를 넘어섰다. 이달에도 더 올랐으면 올랐지 내리진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외식물가는 어떤가. 2월 외식물가 상승률은 전체 평균(3.1%)보다 0.7%p 높은 3.8%에 달했다. 햄버거 8.2%, 김밥 6.4%, 냉면 6.2%, 치킨 5.4% 등 안 오른 게 없다. 농산물 가격이 물가를 끌어올리는 '애그플레이션' 현상 그대로다.

치솟은 물가 탓에 근로자 실질임금도 2년째 쪼그라들었다. 외식·식음료 물가는 한번 오르면 밀가루, 과일, 채소 등 원재료 가격이 하락해도 다시 내려가지 않는 특성이 있다. 또 제품 용량을 줄여 사실상 판매가격을 올리는 식품업계의 꼼수인상도 많아진다. 이러니 서민이 체감하는 외식·식탁 물가 압박은 더 클 수밖에 없다.

사과·배 등 '국민과일'의 작황부진, 공급 감소로 가격이 폭등할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했다. 사과 등은 병해충 검역 이유로 수입도 거의 불가능한 과일이다. 그럼에도 정부는 그동안 뭘 하고 있었는지 모르겠다. 이 정도는 괜찮겠지 하고 소극적으로 사태를 본 건 아닌가 의심스럽다. 600억원 규모의 할인지원으로 가격을 조정했던 설 명절이 끝나면 과일 값 폭등이 진정될 것으로 봤던 정부의 명백한 오판이다.

물가상황을 더 엄중히 보고 물가안정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시장경제에서 정부의 과도한 개입은 독이 될 수 있지만, 할 수 있는 역할은 해야 한다. 농산물 유통 과정에 가격왜곡이 없도록 관리에도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