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포커스] 자금난관에 뒤처진 SaaS·사이버보안… 정부펀드로 유니콘 발굴
투자 선순환 형성… 기업키우기
내달 30일까지 운용사 2곳 모집
DX(디지털전환) 흐름에 따른 SW(소프트웨어) 산업의 대전환을 위해 정부가 마중물을 붓는다.갈수록 그 중요성과 필요성이 높아져가는 SaaS(서비스형SW)와 사이버보안에 대한 정책적 지원뿐 아니라 재정적 지원까지 펼치기 위해 모태펀드를 조성, 민간과 함께 산업 기초체력을 다지면서 유니콘 발굴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6일 한국벤처투자의 모태펀드 2차 정시 출자사업 공고를 통해 'SaaS혁신펀드'와 '사이버보안펀드'를 운용할 운용사(VC)들을 4월 30일까지 각 2곳 모집한다. 둘 다 이 분야에서 정부 차원에서 최초로 펀드 출자를 추진하는 것으로, 과기정통부는 올해 예산에서 200억원씩 출자한다. 모태펀드는 기업에 직접 투자하지 않고 민간이 결성하는 펀드에 출자하는 펀드로, 중소벤처기업부와 과기정통부 등 다수 부처가 출자해 조성한다. 과기정통부는 민간 자금이 더해져 더 큰 정책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WSaaS 대전환, SaaS기업 1만개로
기업의 비즈니스 범위가 국경을 넘나들고 요구되는 IT인프라도 확대·고도화되면서, 또 코로나19 시기 비대면 확산에 따라 클라우드 전환은 DX의 중심축으로 자리했다. 애플리케이션의 SaaS화도 마찬가지로, 미국 등 선진시장은 이미 성숙단계에 접어들었다. CRM(고객관계관리) 분야 선도기업이자 대표적인 SaaS기업인 세일즈포스, 애크로뱃·포토샵·프리미어 등 기존 패키지SW를 SaaS 체제로 전환한 어도비 등도 미국 시총 30위 내 위치했다. 2025년에는 글로벌 애플리케이션의 85% 이상이 SaaS로 유통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KOSA(한국SW산업협회)에 따르면 2025년까지 글로벌 SaaS 시장은 매년 약 16% 성장할 전망이다. 국내 SaaS 시장도 약 14.1%의 연 성장률을 보일 전망이다. 그러나 성장률과 달리 절대 시장 규모는 약 280배 차이가 나는 상황이다. 단순히 클라우드에 시스템을 올리는 수준에 머물다 보니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과 SaaS 도입이 더뎠던 영향이다.
스태티스타의 올해 초 통계에 따르면 국가별 주요 SaaS 기업은 미국이 약 9100개로 가장 많고 영국(1500개), 캐나다(992개), 독일(840개), 인도(711개), 프랑스(684개), 이스라엘(459개), 중국(443개), 호주(408개), 네덜란드(393개) 순으로 상위 10위를 형성했다. 한국은 브라질(342개), 스페인(341개), 싱가포르(327개), 스웨덴(283개), 아일랜드(268개) 등에도 밀려 순위권에 들지 못했다.
이는 중견·중소기업이 많은 국내 SW업계 현황에도 기인한다. KOSA의 2022년 실태조사에 따르면 SaaS 전환·개발을 위해 국내 SW기업 중 65% 이상이 1억원 이상을 투입했다. 10억원 이상을 투자한 기업도 4분의 1이 넘는 등 일부기업은 손해를 보며 SaaS 전환을 준비했다. 앞으로 투자해야 할 금액으로도 68%의 기업이 억 단위를 답했다. 이들에게 신규서비스 개발 수준으로 요구되는 투자 인력·비용은아직 본격화되지 않은 국내 수요 및 인증 문제 등과 함께 SaaS 전환을 주저하게 만드는 요인이었다.
이에 정부는 SW분야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도 SaaS 전환·개발을 이루도록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당장 자금력이 부족하지만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SaaS기업 발굴·투자를 통해 성장을 도모하도록 'SaaS혁신펀드'를 조성한다. 과기정통부 출자금 200억원을 바탕으로 금융기관·연기금 등 민간자본 유치를 통해 최소 333억원 이상 규모의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운용사는 유망한 SaaS 기업 등에 4년간 투자할 수 있으며, 회수되는 재원은 향후 다시 SaaS 관련 분야에 재투자해 투자-성장-재투자의 선순환 고리를 형성할 예정이다. 국내 클라우드 생태계의 선순환을 위해 국내 클라우드 기업(CSP) 인프라(IaaS)를 이용하는 SaaS 기업에 대해 펀드 조성액의 20% 이상을 투자하도록 한 것도 특징이다. 펀드를 통해 궁극적으로 'SaaS기업 1만개 육성'이라는 디지털플랫폼정부 목표 달성을 뒷받침한다는 계획이다.
엄열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그동안 구축형 SW는 SaaS로 전환돼 왔다. 특히 생성형AI(인공지능) 등장 이후 글로벌 SaaS 기업들은 초거대AI로 자사 서비스를 혁신하고 있다"며 "이런 SaaS·클라우드 산업의 변곡점에서 정부 예산지원뿐 아니라 민간자금과 VC(벤처캐피탈)의 전문성 등이 우량한 SaaS기업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도록 'SaaS혁신펀드'를 조성, 혁신적인 SaaS 유니콘이 등장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안보 직결되는 사이버보안, 우리도 유니콘 키운다
제로트러스트·통합보안 등 보안 패러다임 전환을 계기로 글로벌 사이버보안 시장은 2023년부터 2026년까지 연평균 8.5% 성장이 전망된다. 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보듯이 사이버전이 확대되면서 세계 주요국은 국가안보를 위해 자국 정보보호산업 경쟁력 높이기에 공들이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도 "사이버 안보 역량 강화가 국가 안보의 핵심"이라고 수차례 강조했다.
국내 정보보호 시장도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평균 13.2% 이상 성장했지만 이런 변화에 대응하기엔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중견·중소기업 중심으로 보안관제 같은 전통적 업무 비중이 높고, 내수·공공 수요 위주로 시장이 경직돼 있어 필요한 인증 등을 갖추는 데 시간·비용이 많이 드는 한계가 있었다. 기업들이 연구개발과 글로벌 진출 등으로 극복하려 해도 자금조달에 특히 어려움을 겪었다.
그 결과 글로벌 시장에서 사이버보안 분야에서 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 유니콘이 2019년 13개사에서 2023년 58개사로 느는 동안 국내에선 한 곳도 나오지 못했다. KISIA(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에 따르면 해외에선 정부 보조금 지원이나 민간펀드 투자를 통해 사이버보안 자산관리·정책 플랫폼 기업 엑소니어스(Axonius), CNAPP(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보호 플랫폼) 기업 오르카시큐리티(Orca Security), 패스워드리스 MFA(다중인증) 기업 비욘드아이덴티티(Beyond Identity) 등이 수혜를 입고 유니콘으로 떠올랐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9월 '정보보호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전략'을 발표, 그 일환으로 기업의 안정적 기술개발 및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해 민관합동 '사이버보안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펀드 조성 첫 해인 올해는 정부가 200억원을 모태펀드에 출자해 총 400억원 규모 펀드를 조성하고, 2027년까지 4년간 출자를 통해 총 1300억원 규모 이상 펀드 조성을 목표로 삼았다.
'사이버보안펀드'는 주목적 투자 대상을 제로트러스트, AI 등 사이버보안 기술을 보유한 혁신 기업과 사이버보안기업의 M&A(인수합병)에 50% 의무 투자하도록 했다. 이로써 우리 정보보호기업들의 '스케일업'도 꾀한다. 운용사가 펀드 결성액의 40% 이상을 M&A에 투자할 경우 성과보수 지급, 손실보상(모태펀드 납입출자금 15% 이내), 초과수익 이전(모태펀드가 수령할 초과수익의 30% 이내) 등 인센티브도 제공한다.
정창림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정보보호 분야는 유망할 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꼭 필요한 분야다. 국내 기업이 세계적인 유니콘으로 성장하려면 혁신적인 보안 기술로 차별성을 갖고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는 게 중요한데,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이 대부분이라 자금력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며 "사이버보안펀드가 국내 보안기업들이 경쟁력을 키우고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할 것이라 기대하며 적극적인 투자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전했다.
◇운용의 묘가 필요한 때=각 업계에서는 'SaaS혁신펀드'와 '사이버보안펀드' 모두 선정된 운용사의 산업 이해도와 운용 역량에 따라 그 성과도 달라질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 '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거해 두 펀드 모두 초기창업기업 투자실적이 전체 투자금액 대비 40% 이상일 경우 모태펀드가 수령할 초과수익의 10% 이내에서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한국벤처투자 관계자는 "두 펀드 모두 운용사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면서 "국가의 미래를 위해서도 필요한 정책 펀드라 생각하며, 그 취지와 목표에 맞춰 운용사 선정부터 투자 집행까지 이뤄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팽동현기자 dhp@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배달 오토바이 치고 달아난 20대 음주운전자…자택서 긴급체포
- 기장·부기장 동시 졸음운전 `충격`…아찔했던 인니 항공기
- `앙상한 뼈` 가자 10살 소년 결국 사망…충격적 모습 공개됐다
- “이것이 명품 아파트”…혈액암 보안대원에 1000만원 모금 ‘뭉클’ 사연 화제
- "10년 내 인간 죽이는 로봇병기 나온다"…AI석학 제프리 힌튼 전망
- [트럼프 2기 시동]트럼프 파격 인사… 뉴스앵커 국방장관, 머스크 정부효율위 수장
- 거세지는 ‘얼죽신’ 돌풍… 서울 신축 품귀현상 심화
- 흘러내리는 은행 예·적금 금리… `리딩뱅크`도 가세
- 미국서 자리 굳힌 SK바이오팜, `뇌전증약` 아시아 공략 채비 마쳤다
- 한화, 군함 앞세워 세계 최대 `美 방산시장` 확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