겹겹이 쌓인 악재…충청권 건설업 불황 심화

이태희 기자 2024. 3. 10. 17:2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충청권 건설업계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건설업계는 고금리와 부동산 침체, PF 리스크 등 겹겹이 쌓인 악재 속, 올 해에도 문을 닫는 건설사들이 끊이지 않고 있다.

건설업계 줄폐업 시 업계가 파편화되면서 출혈 경쟁이 더욱 높아질 수 있을뿐더러, 건설업이 지역 내 총생산(GRDP)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고용유발효과도 제조업에 2배에 달하는 핵심 산업이기 때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 1-2월 충청권 폐업 종합·전문 건설업 100곳…전년 比 22% 증가
고금리·부동산 침체·PF 리스크 등에 향후 줄폐업 지속 전망
미분양까지 증가하면서 악화일로…4월 PF 대출 만기 위기설도
1월 민간발주도 지난해 평균 미만…건설인력 대규모 실직 우려
건설업 특성 등 감안해 정부·지자체의 금융 지원 등 정책 필요
대전일보DB

충청권 건설업계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건설업계는 고금리와 부동산 침체, PF 리스크 등 겹겹이 쌓인 악재 속, 올 해에도 문을 닫는 건설사들이 끊이지 않고 있다. 여기에 건설수주액 감소에 미분양까지 늘어나면서 한숨이 깊다.

일각에선 4월 총선을 기점으로 건설업계가 더욱 큰 어려움이 닥칠 것이란 전망과 함께 건설 근로자의 대규모 실직으로 이어질 수 있는 우려도 제기된다.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2월 말까지 접수된 충청권 4개 시도의 종합·전문 건설사 폐업 신고 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100건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82곳)보다 21.95% 증가한 수치로, 전국 평균인 14.65%를 상회했다. 고금리로 불어난 이자 부담과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지역 내 건설사들이 휘청이는 것이다.

이같은 악재에 부동산 침체까지 길어지면서 주춤했던 미분양 주택 물량이 다시 늘어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충청권 미분양 주택은 지난해 1월 1만 6058가구에서 같은 해 10월 9880가구까지 털어냈지만, 이후 더 이상의 진전 없이 9000-1만 대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대전의 경우 올 1월 미분양 주택이 1112가구까지 증가했다. 이는 한달 전인 지난해 12월보다 24.38% 증가한 수치로, 광주(44.3%)에 이어 전국 14개 시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증가세를 기록했다.

더욱이 오는 4월 총선 이후 건설사가 줄도산 할 것이라는 '4월 위기설'도 업계 안팎에서 끊임없이 흘러나오며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다.

실제 4월 PF 대출 만기 시기가 몰려있고, 건설 경기 상황은 좀처럼 나아지지 않아 자칫 대규모 도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다.

지난 1월 지역 민간 발주 건설수주액(추정치)은 7421억 원가량으로, 지난해 평균(1조 3843억 원) 미만에 머물렀다. 충남은 지난 1월 2037억 원의 민간 발주 수주액을 기록, 지난해 1월(4782억 원) 대비 반토막 났다.

건설업의 불황은 건설 근로자의 실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지난해 12월 충청권 건축 착공 면적은 43만 6259㎡로 같은 해 1월(79만 6226㎡)과 비교해 45.2% 감소했다. 반면 준공 면적은 1월 131만 1634㎡에서 237만 1914㎡로 80.8% 급증했다. 준공 현장 건설 근로자들은 부족한 공사 현장에 일자리가 대폭 축소된 상황이다.

건설업계 안팎에선 현재의 한계상황을 극복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가 세제 혜택이나 금융 지원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건설업계 줄폐업 시 업계가 파편화되면서 출혈 경쟁이 더욱 높아질 수 있을뿐더러, 건설업이 지역 내 총생산(GRDP)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고용유발효과도 제조업에 2배에 달하는 핵심 산업이기 때문이다.

실제 건설업이 GR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역별 5-9%에 달한다.

한 전문 건설업계 관계자는 "총선 이후엔 폐업하는 업체들이 늘어날 것이고, 회사가 쪼개지면 임직원들이 업체를 설립하게 돼 소규모 영세 업체 증가로 이어진다"며 "결국 출혈 경쟁이 발생할 것이다. 현장 근로자들의 실직은 당연한 수순"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