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수기 전락한 '은행리스크관리委'…1년간 안건 반대 '0'
5대 금융지주, 100% 찬성…원안 수정·반대 의견 없어
사외이사 평균 보수 7500만원…과도한 혜택 '도마 위'
[이데일리 유은실 기자] 은행 안에서 ‘브레이크 역할’을 해야 할 리스크관리위원회가 모든 위원회 안건에 ‘찬성’만 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된 모든 안건에 대해서도 “의견 없음”으로 일관했다. 이사회 내에서 은행의 위험관리와 지배구조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실제 은행 리스크를 관리하는 카드로서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비판마저 일고 있다. 아울러 사외이사 1명당 7500만원의 보수를 받았지만 연간 평균 근무시간은 400시간이 채 되지 않은데다 각종 복리혜택을 받아 과도한 혜택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10일 국내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농협)가 은행연합회에 공시한 ‘2023년 지배구조 및 보수체계 연차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시중은행의 리스크관리위원회 이사들은 회의에서 단 한 번의 원안 수정·보류·반대 의견을 낸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찬성률이 100%다. 쉽게 말해 출석한 리스크관리위원회 위원들은 안건에 빠짐없이 ‘찬성’했다는 얘기다. 리스크관리위원회는 은행 내 각종 위원회 중에서도 중요도가 높다. 직접적으로 금전을 다루는 금융업 특성상 신용·시장·금리·전략·영업현장 등 전 분야의 ‘위험 회피’ 역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금융당국은 지난 몇 년간 은행에 ‘리스크 관리’에 대한 고삐를 죄야 한다고 강력히 주문해왔다. 위원회가 실질적으로 경영에 참여해 경영진을 효율적으로 견제하기 위한 역할을 제대로 하라는 의미에서다. 시중은행은 지난해 총 60차례의 회의를 개최했다. 농협은행이 16차로 가장 많은 회의를 열었고, 이어 국민(13차), 신한(12차), 우리(11차), 하나(8차) 순이었다. 이들 회의에 올라온 결의 안건 규모는 총 111건이며 모두 가결됐다. 안건은 ‘리스크관리운영위원회 규정’ 개정 등 금융감독원의 규정 반영뿐 아니라, 외화 비상조달 계획·위기상황 시나리오 설정·조직 관리 등 토론 가능한 주제들이 다양하게 다뤄졌다.
은행 관계자들은 위원회 개최 전 수정된 안건이 올라오기 때문에 반대표가 나오기 어려운 구조라고 입을 모았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사들이 안건에 대해 충분한 검토를 마치고 참석하기 때문에 찬성률이 높을 수밖에 없다”며 “또 감독 당국의 감독 규정에 반영되는 때도 잦다”고 설명했다.
다만 리스크관리위원회 이사들은 140건에 달하는 보고 사안에 대해서도 조금의 의견도 내지 않았다. 국민은행은 지난해 마지막 보고 안건이었던 ‘2023년 내부자본적정성 평가 보고’에 ‘의견 없음’으로 정리했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도 각각 30건의 보고안건을 모두 ‘특이사항 없음’, ‘원안대로 접수’로 기재했다. 우리은행 역시 보고안건에 대한 별다른 코멘트나 의견을 적지 않았다.
국내 기업 이사를 지냈던 한 교수는 “이사회 내 리스크관리위원회는 위기상황에 대한 대비와 견제 역할이 핵심”이라며 “그간 이사회가 각종 금융 사고를 예방하지 못한 것은 획일적인 분위기, 거수기 역할에 문제의식이 부족한 탓”이라고 지적했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장은 “결의·보고안건이 이사들에게 미리 전달되기 때문에 찬성률이 높을 수 있지만 타 산업군 대비 금융권이 이례적으로 높은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사외이사 평균 7500만원 보수…종합검진에 골프장 부킹까지
주요 금융지주 사외이사가 지난해 1명당 받은 보수가 평균 7500만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평균 근무 시간은 400시간이 채 되지 않아 시급이 20만원에 육박했다. 매달 통상 400만~450만원의 기본급을 받았다. 금융지주들은 이사회가 열리지 않아도 이들에게 기본급을 지급했다. 월 기본급, 회의 참석 수당 등 보수에 더해 종합건강검진 등 복리후생을 위한 혜택은 물론 회의 당일 의전용 차량도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KB금융지주는 사외이사 7명 중 3명이 지난해 1억원 넘는 보수를 받았다. 5대 금융 가운데 ‘억대 보수’ 사외이사는 KB금융에만 있었다. 신한금융지주 사외이사는 9명 중 7명이 8000만원대 보수를 받아 업계 평균을 웃돌았다. 하나금융과 우리금융의 사외이사 보수도 8000만원 이상이었다. 농협금융 사외이사 7명의 평균 보수는 5701만원이었다.
이사회에 한 번 참석할 때마다 사외이사들은 ‘거마비’로 100만원의 수당을 챙겼다. 임원후보추천위원회 등 각종 소위원회에 참석하면 별도 수당이 붙었다. 금융지주사 관계자는 “지주사마다 연차 보고서에 드러나지 않은 혜택이 더 있는 것으로 안다”며 “예를 들어 배우자까지 종합검진혜택이라던지 골프장 부킹 등 컨시어지(안내)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금융지주 사외이사가 속한 외부 기관이나 단체에 기부금을 전달하거나 기존 기부금을 증액하기도 해 이해충돌이나 대가성 논란까지 일고 있다. 금융당국도 이에 대해 살피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지배구조 등에 리스크 관리 내용을 관심 있게 들여다보고 있다”며 “조만간 종합적인 실태점검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은실 (yes24@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난 간호사, 답답” 의대 증원 반대하더니…‘사칭’한 의사였다
- “10년 내 인간 죽이는 AI 병기 등장한다”…구글 떠난 전문가 ‘경고’
- 임신한 여자친구에 뺨 30대…30대 남성 징역 1년 선고
- 대표팀 발표 하루 전…홍준표 “이강인 선발 안돼, 부적합”
- 이낙연, 광주 광산을 출마…“이재명 민주당, 광주정신 배신”
- 곰팡이에 시달리던 침착맨·기안, 50억대 건물주됐다[누구집]
- `채용비리 의혹`에 갈라선 김영주·이재명…누구 말이 맞나
- ‘예매만 4만 4천 명’ 서울-인천, 린가드 효과 앞세워 최다 관중 경기 눈앞
- ‘뉴스룸 하차’ 강지영, 오늘 막방…양조위·유덕화 나온다
- “日에서 꼭 신라면 먹어라” 한국보다 건더기 더 많은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