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비 ‘절반’ 돌려드려요” 반값여행 내세운 강진···봄으로 물든 남도답사 1번지

이윤정 기자 2024. 3. 9. 09: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약용 유배지서 반값 여행
다산 숨통 확 틔워준 풍경 거닌다
강진 백련사 동백숲길에 동백꽃이 떨어져 있다. 이윤정 기자

반값 한우, 반값 삼겹살, 반값 택배…. 유통가에서 불황의 돌파구로 내세워온 ‘반값’ 마케팅이 여행업계에도 등장했다. 전남 강진군이 전국 지자체 최초 ‘반값 여행’을 내세운 것이다. 반값 여행은 타 지역 가족여행객이 강진에서 쓴 여행경비 중 50%(최대 20만원)를 돌려주는 프로그램이다. 강진군이 지방 재정을 투자하면서까지 반값 마케팅에 나선 이유는 ‘절박함’ 때문이다. 1990년대 ‘남도답사 1번지’로 명성을 얻었지만 점차 강진을 찾는 발길은 줄어들었다. 코로나19 팬데믹 종식 이후 여행 수요가 해외로 몰리면서 절박함은 더 커졌다. 강진원 강진군수는 반값 여행으로 승부수를 띄우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강진의 매력을 한 번 알게 된 여행객은 다시 꼭 강진에 오게 될 것”이라 장담한 것이다. 이른 봄 강진의 호기로운 초대장을 받아들고 우리 땅 남쪽 끝으로 향했다.

강진 다산초당 숲속에서 만난 다람쥐. 이윤정 기자
‘남도답사 일번지’ 다산의 발자취

강진은 아득하다. 지도 애플리케이션(앱)에서 강진군을 찾아보면 땅끝까지 스마트폰 화면을 한참 내려야 한다. 땅 모양 또한 특이하다. 물길을 사이에 두고 우리땅 남쪽, 장흥반도 서부와 해남반도 동부를 반반씩 차지했다. 지도에서 강진만 똑 떼어놓고 본다면 거대한 가위, 또는 바지 모양새다. 강진을 가로지르는 물길 한가운데에는 섬이 있다. 가우도다. 10여년 전 강진만 물줄기 양쪽인 도암면, 대구면에서 각각 가우도를 잇는 다리가 생겼다. 그 뒤로 강진군은 알파벳 A자 모양이 됐다.

강진 가우도 해넘이. 이윤정 기자

A자의 왼쪽 도암면은 ‘남도답사 1번지’ 명성이 시작된 곳이다. 정약용의 유적지가 포진해 있어서다. 유홍준 명지대 석좌교수는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에서 강진을 남도답사 1번지로 꼽은 이유를 “정약용의 18년 유배지”이자 이곳에서 <목민심서>가 집필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산초당. 초당에 있는 넓적바위 다조에서 정약용과 제자들이 차를 끓였다. 이윤정 기자

신유박해로 정약용은 형, 매형, 조카사위를 잃었다. 둘째 형 정약전은 흑산도에, 정약용은 강진에 유배됐다. 정약용은 유배지에서 환영받는 존재가 아니었다. 강진 사람들은 한양에서 온 귀양객을 ‘서학을 믿는 대역죄인’으로 여겼다. 주민들은 ‘파문괴장(破門壞墻·문을 부수고 담을 무너뜨리다)’할 정도로 정약용을 냉대했다. 받아주는 이라곤 술집 오두막 노파뿐이었다. 4년이나 오두막 객식구로 살았던 정약용은 외가의 도움으로 만덕산 기슭 다산에 초당을 마련해 10여년을 기거했다.

다산초당. 이윤정 기자

지금도 다산초당으로 오르는 길은 차가 닿지 않는다. 귤동마을에서 산을 오르거나 백련사에서 이어지는 산길을 타야 한다. 마을 산길을 300m가량 오르면 세 채의 한옥이 나온다. 학문을 연구했던 초당과 정약용이 머문 동암, 제자들이 기거했던 서암이다. 정약용은 이곳에서 500권에 이르는 방대한 저서를 집필했다. 다만 현재의 기와 건물은 모두 현대에 복원한 것들이다. 그 옛날 가난한 유배객이 마을과 동떨어진 산기슭에 기와집을 짓고 살았을 리 만무하다. 정약용이 몸을 누인 초당은 어둡고 습한 산기슭에 겨우 짚을 지붕에 올린 허름한 초가였을 것으로 짐작해볼 뿐이다.

다산초당 뒤쪽 벼랑 바위에는 정약용이 직접 새긴 ‘정석(丁石)’ 글자가 남아 있다. 이윤정 기자

정약용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은 건 초당 앞마당의 바위와 뒤쪽 벼랑이다. 초당에 있는 넓적바위 다조에서 정약용과 제자들이 차를 끓였다. 뒤쪽 벼랑 바위에는 정약용이 직접 새긴 ‘정석(丁石)’ 글자가 남아 있다. 단정한 해서체의 글자에서 정약용의 곧은 성격을 짐작할 수 있다.

동백꽃에 홀리고 차내음에 취하고
천일각에 서면 강진만 앞바다가 그림처럼 펼쳐진다. 이윤정 기자

동암을 지나 백련사로 가는 오솔길 초입에는 누각 ‘천일각’이 있다. 강진만 앞바다가 그림처럼 펼쳐진다. 이 누각 또한 1975년 강진군에서 새로 만든 것이다. 그 옛날 정약용은 이곳에 서서 흑산도에 있는 형을 그리며 바다를 내려다보았다 한다. 이 아름다운 풍경이 정약용의 유배 생활에 작은 숨통을 틔우지 않았을까. 이날 천일각에서 만난 가족여행객은 “여행지 사진을 찍어서 인증하면 여행비를 돌려준다고 해서 열심히 사진을 찍었다”며 “그간 온 가족이 다 함께 사진을 찍을 일이 없었는데 반값 여행 덕분에 가족사진을 많이 남기고 있다. 다산초당에서 내려다보는 바다 풍경이 일품”이라고 말했다.

만덕산 야생차밭을 드론으로 찍었다. 이윤정 기자

백련사로 이어지는 길은 초봄의 정취가 가득했다. 겨우내 움츠러들었던 풀과 나무는 초록 잎을 드러내고 봄냄새를 뿜어댔다. 푸르게 잎이 돋아난 야생차 군락은 차내음을 풍기며 봄의 기별을 전했다. 정약용이 호를 ‘다산’으로 한 것도 강진, 특히 유배처인 이 산과의 깊은 인연 때문이다. ‘다산(茶山)’이라는 호에는 차를 즐긴 정약용의 취향이자, 만덕산의 또 다른 이름 ‘다산’이 담겨 있다. 만덕산은 야생차가 자생해 다산으로도 불린다. 백련사 주변에는 천연기념물 151호로 등재된 7000여그루의 동백나무 숲이 펼쳐진다. 올해는 개화 시기가 늦어 3월 중순까지 동백꽃의 향연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백련사로 향하는 길은 동백꽃에 홀리고 차내음에 취하는 봄맞이 산책로다.

백련사 앞마당에 홍매화가 피어 있다. 이윤정 기자

백련사는 정약용 유배 생활의 버팀목이기도 했다. 당시 백련사 주지였던 혜장 스님은 정약용보다 열 살이나 아래였지만 두 사람은 함께 차를 나누고 생각을 공유하며 우정을 쌓았다. 두 사람은 <주역>과 <역경> 이야기로 밤을 지새우기도 했다. 정약용은 경학에 대한 혜장의 높은 이해와 식견에 찬탄했고, 혜장 역시 정약용의 학식과 인품에 매료됐다. 다산초당과 백련사를 잇는 오솔길은 두 사람이 함께 거닐며 우정을 나눈 길이다. 둘은 서로를 그리워한 나머지 하루가 멀다 하게 숲길을 오갔다고 한다.

백련사 숲길에서 만난 고양이와 동백꽃. 이윤정 기자

호젓한 유적지와 잔잔한 자연풍광만으로는 심심하다 느껴지는 여행객은 가우도를 찾아 집트랙을 즐겨보는 것도 좋다. 가우도 산 정상 청자타워에서 출발하는 집트랙은 약 1㎞ 길이로 해상체험시설로는 전국 최장 길이다. 집트랙이 가우도 정상에서 빠른 속도로 바다를 건너 저두 출렁다리 입구에 도착한다. 보는 사람까지 아찔한 스릴이 느껴진다.

체험객이 가우도 집트랙을 타고 바다를 건너고 있다. 이윤정 기자

가우도 물길 너머 동쪽 대구면은 청자로 유명하다. 고려청자 가마터가 발견된 곳에는 강진청자박물관이 들어섰다. 고려시대 강진은 황실 청자 생산지였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400여개 고려시대 가마터 중 절반이 강진에 있을 정도다. 질 좋은 흙, 빼어난 도공 기술, 중국으로 이어지는 물길 등 삼박자가 고루 맞았다. 고려청자디지털박물관에서는 청자를 테마로 한 미디어아트가 펼쳐진다.

가우도 청자타워. 이윤정 기자

강진에서 떠나는 길엔 꽃 한 다발을 품에 안았다. 강진은 온난한 기후와 풍부한 일조량으로 장미, 수국 등의 재배지로 유명하다. 강진농협 파머스마켓에서는 현지 농가에서 재배한 꽃을 판다. 푸른 청자와 붉은 동백, 초록 야생차와 분홍 장미가 어우러진 강진의 봄은 마치 한 폭의 유채화처럼 선명한 색으로 새겨지고 있었다.

강진 농가에서 재배 중인 장미. 이윤정 기자

☞알고가세요

※반값 여행 신청하는 법/ 강진 반값 가족여행에 참여하려면 강진반값관광 홈페이지(gangjintour.com)에서 사전신청을 해야 한다. 관외거주 증빙서류(주민등록등초본 등), 가족관계 증빙서류(가족관계증명서 등) 등이 필요하다. 강진 관광지 3개소 인증사진과 함께 총 5만원 이상 지출 영수증을 내면 정산신청을 할 수 있다. 여행 소비액은 최대 40만원(반값 지원금 20만원)까지 인정된다. 정산금은 지역경제 플랫폼인 ‘착(chak)’앱에서 강진사랑상품권으로 지급된다. 1차 반값 여행 기간은 오는 10일까지이며, 다음 달부터 다시 반값 여행이 진행될 예정이다.

※가는 길/ 서울에서 강진까지 차를 몰고 갔더니 6시간 이상 소요됐다. 여행의 피로를 줄이려면 KTX를 타고 인근 나주, 목포, 광주로 가서 공유차 이용을 추천한다. 목포역, 광주송정역, 나주역 주차장 또는 역사 인근에 공유차인 쏘카를 바로 이용할 수 있는 쏘카존이 있어 짐이 많은 여행객도 불편하지 않다. 목포역에서 강진까지는 차로 45분, 광주송정역에서는 60분이 걸린다. 쏘카 앱에서 차량 이용은 물론 KTX 기차 편과 숙박도 예약할 수 있다.

※먹거리/ 강진은 한정식이 유명하다. 조선 시대 유배객을 통해 궁중 음식 문화가 도입됐기 때문이라는 설이 전해온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에 소개된 ‘해태식당’, 4대째 이어온 ‘예향’ 등이 유명하다. 홍어삼합·회·보리굴비·떡갈비 등 20가지 반찬이 한 상 가득 나온다.

강진 음식점 예향의 한정식. 이윤정 기자
백련사 앞마당에 홍매화가 피어 있다. 이윤정 기자
백련사 동백꽃. 이윤정 기자
백련사 동백꽃. 이윤정 기자
가우도로 향하는 여행객들. 이윤정 기자
가우도. 이윤정 기자
강진 청자. 이윤정 기자

강진|글·사진 | 이윤정 기자 yyj@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