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CEO 교체설의 교훈…“생성AI가 스마트폰·디스플레이 위축”

김현아 2024. 3. 8. 16:5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뇌과학자 김기식 카이스트 교수 언급
생성형AI 에는 GUI나 터치 의미 없어
스마트글래스 등 디스플레이 없는 새로운 폼팩터
오픈AI, 일본 소프트뱅크와 AI용 기기 개발중
검색 기반 광고회사 구글 위기..10분의1로 검색 감소 예측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에 대한 교체 요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생성형 AI(인공지능)은 기기의 폼팩터(form factor·외형)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쳐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 산업 정체를 앞당길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구글은 생성형AI 경쟁에서 오픈AI나 MS와보다 뒤처진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피차이 CEO는 교체 요구에 시달리고 있다.

김대식 카이스트 교수(사진=연합뉴스)

지난 7일, 뇌과학자 김대식 카이스트 교수는 ‘플로우AI 3.0’ 발표회에서 인공지능 시대의 리스크에 대해 경고했다. 그는 생성형 AI의 이용자 경험이 스마트폰이나 디스플레이와 어긋난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는 생성형 AI가 아닌 인터넷 경험을 위해 만들어진 디바이스”라며 “휴대폰의 핵심은 디스플레이인데 이 역시 마찬가지다. 다른 폼팩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새로운 디바이스의 등장에 대해 언급했는데, 그는 스마트폰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기반의 터치형인 반면, 생성형 AI는 언어로 명령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가 필요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유선 인터넷에서 모바일 인터넷으로 바뀔 때 PC가 정체됐을 때와 마찬가지로 휴대폰 시대도 끝나가고 있다. 더 이상 새로운 경험이 어렵기 때문”이라면서 “휴대폰과 디스플레이가 더이상 클 수 없다면 가격 경쟁을 해야 하고, 이는 국내 회사들보다는 베트남,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회사들이 하는 게 맞다. 한국에는 좋지 않은 소식”이라고 부연했다.

새로운 폼팩터 중 하나는 스마트 안경

스마트 안경을 착용한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 (사진=메타)

김대식 교수는 새로운 폼팩터 중 하나로 스마트 안경을 언급했다. 메타는 지난해 9월 27일 ‘레이밴(Ray-Ban)’ 스마트 안경을 출시한 바 있으며, 멀티모달 AI 비서 기능과 실시간 정보 검색 기능을 탑재해 올해 정식 출시할 예정이다.

그는 “처음부터 생성용 AI를 위해서 만들어진 디바이스가 반드시 있어야 된다”면서 “가장 먼저 시도한 곳이 메타다. 정답이 뭔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안경으로 생성형 AI와 접속한다는 것”이라며 “이를 착용하면 카메라가 달려 있어 소비자의 1인칭 세상이 보여진다. 이를 통해 소비자의 1인칭 세상이 실시간으로 생성형 AI에 전송되어 나를 위해 대신 세상을 분석하고 추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백화점에 가면 ‘고객님, 고개를 10도 돌려보세요. 저기 멋진 가방 사시겠어요?’와 같은 쇼핑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픈AI, 일본 소프트뱅크와 AI용 기기 개발나서

동일한 맥락에서 챗GPT의 개발사인 오픈AI는 전 애플 디자이너인 조니 아이브와 일본 소프트뱅크의 손정의 회장과 협력하여 ‘AI용 기기’를 개발하고 있다. 소프트뱅크는 해당 벤처 기업 설립을 위해 10억 달러(약 1조 3500억원)를 투자하기도 했다. 김 교수는 이를 “AI 시대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할 기기를 개발하겠다는 것”이라면서 “이 또한 디스플레이가 없는 디바이스로 전해진다”고 소개했다.

SK텔레콤과 제휴한 휴메인의 ‘AI핀;. AI핀은 옷에 부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없는 독립형 AI 디바이스다. GPT-4 LLM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카메라와 센서, 스피커, 레이저 프로젝터가 내장돼 있으며 블루투스 이어폰과 연결도 지원한다. 이번에 SKT와의 제휴로 SKT 언어모델인 ‘에이닷’ 적용을 추진한다.
순다르 피차이(오른쪽) 알파벳(구글 모기업) 최고경영자(CEO). (사진=AFP)


검색 기반 광고도 축소…구글의 위기

김기식 교수는 생성형 AI로 인한 변화가 먼저 시작된 곳은 검색 시장이라고 했다. 이용자경험(UX)과 데이터 활용에서 변화가 시작된 것이다.

그는 “생성형 AI는 인식의 영역에서 창조의 영역으로 발전하고 있다”면서 “2022년 11월 30일 챗GPT가 출시된 지 한 달도 안 된 12월 22일,순다르 피차이 CEO는 직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코드레드(code red)를 선포했다. 그 이메일에는 1998년 창립 이후 처음으로 구글이 위기에 처했다는내용이 담겨 있었고, 이는 검색이 대화형 챗봇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매출 300조나 되는 구글이 챗봇 하나로 망할 수 있을까에 질문에는 ‘비즈니스 모델로 인한 위기’라고 평했다.

그는 “현재 실리콘 밸리에서의 분위기는 2024년 구글이 마치 2000년 초 야후를 보는 느낌이라는데, 이는 검색이 대화형 챗봇으로 전환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사실 구글은 유저가 한 질문과 비슷한 질문을 했던 사람들이 방문했던 홈페이지를 랭킹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검색이후 남은 데이터의 흔적을 통계학적으로 잘 분석해 소비자 선호를 파악한 뒤 경매에 붙여 광고를 띄우는 광고회사”라고 정의했다.

그러면서 “구글 매출의 89%가 광고 수수료에서 나온다. 하지만 시뮬레이션을 돌려보니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에는 검색의 필요성이 10분의 1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돼 구글이 위기에 처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김현아 (chaos@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