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도 늙어간다…與野 공천확정 평균연령, 4년만에 54.8세→57.8세 [이런정치]

2024. 3. 8. 10: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천확정자 평균 나이, 與 58.2세-野 57.4세
청년 與 18명-野 14명 그쳐…격전지·험지 다수
“말로만 인적 쇄신, 기득권 깨지 못했다”
“청년 소비 공천”…인재영입 대신 ‘육성’ 주문
여야 공천 확정자(8일 오전 기준) 연령대별 분포도.

[헤럴드경제=김진·양근혁 기자] 22대 총선 공천이 확정된 여야 후보들의 평균 나이가 57.8세로 집계됐다. 지난 21대 총선 당시 지역구 후보들의 평균 나이(54.8세)보다 세 살 더 높아진 수치다. 이번 총선에도 어김없이 ‘세대 교체’ 구호가 나왔지만 공천 확정자 중 여야 당헌·당규상 청년인 ‘만 45세 이하’ 후보는 여야를 통틀어 32명(7.7%)에 그쳤다.

헤럴드경제 취재에 따르면 8일 오전 10시 기준 국민의힘 공천이 확정된 후보 213명의 평균 나이는 58.2세, 더불어민주당 공천이 확정된 후보 200명의 평균 나이는 57.4세로 나타났다. 여야 모두 지난 총선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집계한 지역구 후보자 평균 나이(54.8세)보다 3세가 높아졌다. 국민의힘에서는 곽봉근(79) 전남 해남-완도-진도 예비후보가, 민주당에서는 경기 군포에서 4선에 도전하는 이학영(72) 의원이 최고령 후보다.

여야 후보는 50대 이상에 크게 쏠려있다. 국민의힘은 공천 확정자 10명 중 8명 이상(84.9%)이 50대 이상이다. 연령대별로 70대 11명, 60대 98명, 50대 72명이다. 민주당은 10명 중 9명(90.0%)이 50대 이상으로, 70대 5명, 60대 80명, 50대 95명이다. 50대 이상 중 현역은 국민의힘 64명, 민주당은 77명에 달한다.

이는 만 45세 이하(1978년 이후 출생) 청년 후보들이 처한 상황과 극명하게 대비된다. 국민의힘 청년 후보는 공천 확정자의 8.4%에 그친 총 18명으로, 현역은 서울 송파갑 재선에 도전하는 배현진 의원이 유일하다. 김병민(서울 광진갑)·이승환(중랑을)·김재섭(도봉갑)·김준호(노원을)·이형섭(경기 의정부을)·곽관용(경기 남양주을) 예비후보 등 대부분은 격전지 또는 험지에 배치돼 있다. 최연소 후보인 박진호(경기 김포갑) 예비후보도 마찬가지다. 청년 인재로 영입된 박상수(인천 서갑)·박은식(광주 동-남을)·김효은(경기 오산)·한정민(경기 화성을) 예비후보 등은 야당 강세 지역에 단수·전략공천됐다.

민주당 청년 후보는 총 14명(7.0%)으로 현역은 고민정(서울 광진을)·장경태(동대문을)·장철민(대전 동구)·이소영(경기 의왕-과천) 의원 4명으로 국민의힘보다 많다. 그러나 최연소 후보인 우서영(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 예비후보를 비롯해 오상택(울산 중구)·전은수(울산 남갑) 예비후보 등이 여당 강세 지역에 공천됐다.

이번 공천 명단에서 여야 불문 청년 후보 비중이 적은 배경 중 하나로는 지난 총선과 달라진 환경 변화가 꼽힌다. 지난 2020년 4월 치러진 21대 총선은 직전 해인 2019년 발생한 ‘조국 사태’의 영향으로, 2030대를 중심으로 ‘공정’이 최대 화두로 떠오르면서 정치권에 ‘청년 모시기’ 열풍이 불었기 때문이다.

당시 민주당에서는 3선 민병두 의원의 지역구였던 동대문을에 원외 청년위원장 출신인 장경태 예비후보를 전략공천했다. 소방관 출신의 오영환 의원, 환경 전문 변호사 출신의 이소영 의원, 김남국 의원 모두 청년 전략공천으로 국회 입성에 성공했다.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에서는 젊은층 인구 유입이 많았던 수도권 8개 지역을 ‘퓨처메이커(미래창조자)’란 이름의 청년벨트로 묶고 전략공천을 단행했다. 민주당과 달리 미래통합당의 시도는 전략공천 결과가 뒤집히는 지역이 생기고, 출마자들이 낙선하며 실패로 끝났다. 이를 놓고 정치권에서는 “무연고 험지에 청년들을 내세워 희생양으로 삼았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여전히 정치권이 기득권 지키기에 몰두해 있다고 비판했다. 차재원 부산가톨릭대 특임교수는 헤럴드경제에 “후보 연령이 높다는 것은 기득권을 깨지 못했다는 이야기”라며 “모두가 인적 쇄신을 통한 혁신 공천을 말했지만, 실질적으론 그러지 않았다”고 말했다.

일회성 인재 영입이 아닌, 수 십년에 걸친 ‘인재 육성’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공통적으로 나왔다. 엄기홍 경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청년을 대하는 우리나라 정치의 태도는 소위 ‘떴다방식’으로, 후계자 정치인을 양성하는 의무를 다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며 “정치에 입문한 청년 세대를 보좌진이나 기초의원 단계부터 국회의원·광역지자체장 후보로 양성하는 대신, 청년을 쓰고 소비하는 방식의 공천이 진행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나이가 어리다고 무조건 공천을 줄 수도 없다”며 “젊은 세대의 표를 얻을 만큼의 대표성을 갖춘 인재가 없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soho0902@heraldcorp.com

yg@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