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된 귀신고래, 200년 만에 모습 드러냈다…기후변화가 만든 신비로운 포착 [핵잼 사이언스]

송현서 2024. 3. 8. 07: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서양에서 멸종됐다고 여겨졌던 귀신고래가 200여 년 만에 모습을 드러냈다고 CNN 등 미국 현지 언론이 6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뉴 잉글랜드 수족관 소속의 고래 전문가인 케이트 램멜은 공식 성명에서 "이 동물은 (이미 특정 구역에서 멸종했다고 알려졌기 때문에) 그곳에 존재해서는 안 되는 동물이었다"면서 "귀신고래는 대서양에서 200년이 넘도록 멸종 상태였지만, 지난 15년 동안 지중해 등지에서는 5차례 정도 관찰됐다"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2024년 3월 1일(현지시간) 메사추세츠주 낸터킷 해안으로부터 약 50㎞ 떨어진 깊은 바다에서 헤엄치는 귀신고래가 포착됐다(사진)

대서양에서 멸종됐다고 여겨졌던 귀신고래가 200여 년 만에 모습을 드러냈다고 CNN 등 미국 현지 언론이 6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메사추세츠주(州) 보스톤에 있는 뉴 잉글랜드 수족관은 지난 1일 메사추세츠주 낸터킷 해안으로부터 약 50㎞ 떨어진 깊은 바다에서 헤엄치는 귀신고래를 발견했다.

쇠고래, 회색고래로도 불리는 귀신고래는 원래 북대서양과 북태평양에 모두 분포하였으나, 대서양에서 살던 무리는 남획으로 17~18세기에 멸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족관 전문가들은 해당 고래가 지난해 12월 플로리다에서 발견된 고래와 동일한 개체일 것으로 보고 있다.

2024년 3월 1일(현지시간) 메사추세츠주 낸터킷 해안으로부터 약 50㎞ 떨어진 깊은 바다에서 헤엄치는 귀신고래가 포착됐다(사진)

당시 수족관 측은 플로리다에서 귀신고래로 추정되는 고래를 발견한 뒤, 항공팀을 파견해 해당 고래의 주변을 돌며 사진을 촬영했다. 이후 사진과 영상을 토대로 해당 고래가 이미 대서양에서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던 귀신고래인지를 식별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그 결과 해당 고래는 수백 년 동안 멸종됐다고 알려졌던 귀신고래라는 사실이 확인됐으며, 지난 1일 포착된 고래 지난해 12월에 목격된 것과 동일한 개체일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내렸다.

뉴 잉글랜드 수족관 소속의 고래 전문가인 케이트 램멜은 공식 성명에서 “이 동물은 (이미 특정 구역에서 멸종했다고 알려졌기 때문에) 그곳에 존재해서는 안 되는 동물이었다”면서 “귀신고래는 대서양에서 200년이 넘도록 멸종 상태였지만, 지난 15년 동안 지중해 등지에서는 5차례 정도 관찰됐다”고 설명했다.

2024년 3월 1일(현지시간) 메사추세츠주 낸터킷 해안으로부터 약 50㎞ 떨어진 깊은 바다에서 헤엄치는 귀신고래가 포착됐다(사진)

수백 년 동안 대서양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던 귀신고래의 등장이 기후변화와 연관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앤더슨 캐벗 해양생물센터의 과학자인 올라 오브라이언 등 전문가들에 따르면, 캐나다 북극해를 거쳐 대서양과 태평양을 연결하는 북서항로에는 최근 몇 년 간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로 인해 얼음이 제대로 얼지 않았다.

이는 평소라면 얼음에 막혀 다닐 수 없었던 바닷길이 새로 생긴 것과 같으며, 일부 귀신고래들이 얼음이 적어진 바다를 뚫고 태평양으로 헤엄쳐 들어왔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추측이다.

오브라이언 박사는 “귀신고래가 이곳 해안에서 포착됐다는 것은 기회가 주어질 경우 해양 생물들이 기후 변화에 얼마나 빨리 반응하는지를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2024년 3월 1일(현지시간) 메사추세츠주 낸터킷 해안으로부터 약 50㎞ 떨어진 깊은 바다에서 헤엄치는 귀신고래가 포착됐다(사진)

한편, 최대 몸길이 약 16m, 최대 수명은 약 70년으로 알려진 귀신고래는 다른 고래종에 비해 비교적 몸집이 작아 ‘쇠고래’로 불리거나, 전체적으로 회색빛을 띤다고 하여 회색고래로 많이 불린다.

국내에서는 귀신고래라는 명칭이 훨씬 익숙한데, 이는 수면에 수직으로 머리를 내밀었다가 사라진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국내에서는 1962년에 울산 앞바다에서, 1977년 1월 3일 울산 방어진 앞바다에서 목격된 뒤 자취를 감췄다.

송현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