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강국 코리아’ 국민 디지털 금융 이해력은 'D학점'

안승진 2024. 3. 7. 21: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OECD INFE 조사 결과 보니
한국 총점 43점… OECD 평균 미달
디지털 금융지식은 비슷한 수준
비밀번호 변경 등 보안 이해 저조
일반 금융이해력, 39개국중 8위
보이스피싱 범죄 해마다 증가세
2023년 피해액 전년보다 1.4배 늘어
피해는 20·30대까지 확대 추세

디지털 강국 한국의 디지털 금융에 대한 이해력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을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픈뱅킹, 온라인쇼핑몰 등 디지털 환경에서 금융업무가 급증하고 있지만 금융보안 측면에서는 여전히 취약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에 따르면 OECD 산하 글로벌 협력기구(INFE)가 2022년 조사해 최근 발표한 국가별 디지털 금융이해력 조사에서 한국의 총점은 43점으로 16개 OECD 국가 평균(55점)과 28개 조사 참여국 평균(53점)에 못 미쳤다.
디지털 금융지식 부문은 52점으로 OECD 회원국 평균(51점)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디지털 금융행위와 금융 태도는 각각 41점, 36점으로 OECD 평균인 58점, 57점에 크게 미달했다. 온라인쇼핑몰 등을 이용할 때 공공 와이파이 사용의 불안정성에 대한 인지와 웹사이트 이용 시 비밀번호의 정기적인 변경에 대한 부분 등에서 좋은 점수를 받지 못했다.

디지털 외 금융이해력 조사에서는 한국이 조사 참여 39개국 중 8위를 차지했다. 한국 점수는 67점으로 전체 조사국 평균 점수(60점)와 OECD 회원국 평균(63점)을 상회했다.

금융 보안사고는 최근 마이데이터 및 오픈뱅킹 확대와 맞물리면서 그 위험성이 더욱 커지는 추세다. 이 때문에 개인이 금융보안을 강화하더라도 해킹 등을 통해 자산을 탈취하려는 사례도 등장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이동채 전 에코프로 회장의 주식계좌에서 에코프로 주식 2995주가 장내 매도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이 전 회장은 비공개 정보를 이용한 차명 거래 혐의로 유죄가 확정되어 수감 중이었다. 에코프로는 사건 직후 장내 매도에 대해 “이 전 회장의 명의 및 계좌정보가 제3자에게 무단 도용된 것으로 이 전 회장 동의 없이 매도됐다”고 공시했다.

국내 보이스피싱 범죄도 해마다 급증하는 추세다. 특히 최근에는 오픈뱅킹 계좌를 통해 피해자의 모든 금융계좌에 접근하거나, 공공기관 등을 사칭하는 스미싱 문자를 이용한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1965억원으로 전년(1451억원) 대비 1.4배(514억원)가 증가했다. 특히 정부기관을 사칭한 피해와 대출빙자형 피해가 전년 대비 각각 398억원, 381억원 늘어나며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다. 과태료·범칙금 납부, 택배·배송 조회, 모바일 경조사 알림 등을 사칭한 스미싱 인터넷주소(URL)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범행시도가 기승을 부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이 공공기관 사칭 스미싱 신고를 집계한 결과 2022년 대비 지난해 1874%가 급증했다.

피해자 연령도 디지털 환경에 취약한 50~60대에서 20대 이하, 30대까지 확대되는 추세다. 지난해 20대 이하 보이스피싱 피해 금액 비중은 전년 대비 5.6%포인트 증가했고, 30대 피해 비중은 6.0%포인트 증가했다. 50대 이상 피해 금액 비중은 65.4%로 여전히 높은 수준이었지만 전년 대비 14.4%포인트 감소해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

금융당국은 급증하는 금융보안 사고 및 보이스피싱 피해 방지를 위해 이달부터 비대면 실명확인을 강화하라고 금융회사에 권고했다. 금융위는 안면인식 등 고도화한 기술을 비대면 실명확인에 적용하라는 권고다. 금융사별로 안면인식 신분 확인 서비스를 개발한 곳들이 늘어나면서 취해진 조치인데 아직 지원이 되지 않는 기업도 있어 의무가 아닌 권고사항이 됐다. 또 비대면 실명 확인 기간은 기존 30일에서 7일로 단축됐다. 금융소비자가 신규 계좌를 신청하고 실명 확인 절차를 진행하다 중단한 경우, 당초 기재한 정보는 30일 동안 유지됐는데 기재 정보가 장시간 보관된 사이 외부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로 7일로 단축했다.

안승진·이도형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