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별의 달’ 2월을 보내며…‘작별’의 클래식 음악
2월은 이별의 달이다. 졸업식이 있는 달이며 겨울과의 이별을 준비하는 달이기도 하다. 요즘엔 좀더 앞당겨서 졸업하기도 하지만 우리 머릿속에 2월은 졸업시즌으로 각인되어 있다.
비단 학생들만의 이별이 아닌 선생님들도 2월은 이별을 준비하는 달이기도 하다. 가르친 제자와의 이별을 포함, 정년과 전근으로 학교를 떠나는 달 또한 2월이 대부분이다.
이렇듯 많은 감정을 교차하게 만드는 2월을 상징하는 꽃은 바로 ‘붓꽃’으로, 영어로는 ‘아이리스’이다. 아이리스의 꽃말은 충실함과 지혜, 희망을 뜻한다. 헤어짐의 달과 참으로 어울리는 꽃말이다.
서로의 충실함을 통해 우리는 지혜를 얻고 그것으로 다가올 희망을 바라보는 달, 결국 이별은 슬픔을 동반하지만 사랑하고 정들었던 사람들과의 헤어짐은 또 다른 만남을 낳고 그것을 통해 우리는 더욱 성숙해 진다.
예술가들에게도 이별과 작별은 다양한 감정을 불러 일으켜 그들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소크라테스는 “인간의 감정은 누군가를 만날 때와 헤어질 때 가장 순수하며 가장 빛난다”고 말했다.
아마도 이별의 감정이 느껴지는 작품이야말로 예술가의 영혼이 순수하게 빛날 때 작곡된 작품이 아닐까? 이별과 관련된 주제로 만들어진 아름다운 작품에 대해 살펴보자.
◆ 쇼팽 : 이별의 곡
나르시시즘이 강한 쇼팽의 작품에도 이별의 감정은 그의 피아니즘을 아름답고 빛나게 만들어 주고 있다. 특히 <이별의 곡>이라는 부제의 곡은 그의 연습곡 형식 즉 에뛰드 작품이다.
쇼팽은 총 27곡의 에뛰드를 남겼다. 에뛰드는 연습곡이란 뜻 이지만 쇼팽은 단순한 연습곡을 뛰어넘어 연주용 소품으로 만들었다. 그의 에뛰드는 총 3묶음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작품번호 10번과 25번 모음집, 그리고 3개의 또 다른 작은 에뛰드들로 구성되어있다.
그 중 작품번호 10번 모음집은 라이벌인 프란츠 리스트에게 헌정되었는데, 이 모음집의 3번째 곡은 우리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이별의 곡>이다. 쇼팽은 이 작품을 완성한 후 이처럼 아름다운 멜로디의 곡을 여태껏 써 본적이 없다며 만족감을 표현하기도 했다.
<이별의 곡>은 작품번호로는 잘 모를 수 있지만 멜로디가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어디선가 들어보셨을 만한 작품이다. 1832년 젊은 나이의 22살 쇼팽이 작곡한 곡이지만 신기하게도 음악은 시간이 흐를수록 듣는 이에게 성숙함과 깊이를 더해주고 있다.
대부분의 에뛰드들이 연습곡적인 성격으로 빠르게 연주하도록 되어있지만 이 곡은 느리게 연주하는 작품이다. 또 느리면서도 아름답고 테크닉적으로도 쉽지 않은 곡이기도 하다.
<이별의 곡>은 여러 기악곡과 실내악 등 다양한 작품으로 편곡되어 연주되곤 하는데 가사를 붙여서 가곡처럼 부르기도 한다. 프랑스 등 유럽에서는 <Tristesse(슬픔)>이란 제목으로 가사와 함께 불리고 있다.
◆ 쇼팽 : 이별의 왈츠
쇼팽은 왈츠를 화려한 춤곡만이 아닌 고상하고 매혹적인 선율의 세계로 이끌어 내었다.
그는 20여곡의 왈츠를 작곡하였는데 그 중 생전에 출판되어 연주된 작품은 8곡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모두 쇼팽의 유작으로 볼 수 있는데 <이별의 왈츠> 또한 그의 유작 중 하나이다.
작품번호 69번에 1은 쇼팽의 작품 중 9번째 왈츠로 기록되어 있지만, 작품에 얽힌 내용과 시기를 살펴보면 사실 앞선 번호의 작품보다 좀 더 일찍 작곡되었다.
<이별의 왈츠>는 약혼자였던 친구의 여동생 마리아 보진스카를 위해 작곡되었다. 1835년 25살의 쇼팽은 독일 드레스덴에서 어린아이로 생각했던 친구의 여동생을 6년만에 만나게 되고, 둘은 곧 사랑에 빠지게 된다.
서로 미래를 약속했지만 폐결핵으로 병약했던 쇼팽을 못마땅하게 여긴 마리아의 아버지는 심한 반대를 하였고 결국 둘의 사랑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 작품은 그녀와의 추억과 애절한 마음이 느껴지는 곡으로 헤어진 이후 작곡된 작품이 아니라 서로 만나는 시기에 작곡된 작품이다.
쇼팽은 이 곡을 그녀와의 소중한 추억을 간직하게 위해 작곡했지만 사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자 상심한 나머지 서랍 속에 간직하고 있었고 생전에 출판도 하지 않았다. 아마도 쇼팽은 이 작품을 볼 때마다 상처받은 마음이 떠올라서 세상에 알리려 하지 않았을 수 도 있다.
쇼팽 사후 발견된 이 작품은 쓰여진 지 20년이 지난 1855년에 출판되었다. 작품을 헌정 받은 약혼녀 마리아는 이 곡에 <이별의 왈츠>라는 제목을 붙였으며 평생 간직했다고 알려져 있다.
쇼팽의 유품에는 나의 슬픔이라고 써있는 묶음이 있는데 바로 마리아에게 받았던 편지를 모아둔 것이다. 슬픔을 뒤로하고 파리로 떠난 쇼팽, 그는 그곳에서 또 다른 스타일의 연인 상드를 만나게 된다. 하지만 쇼팽이 결혼을 생각했던 유일한 여성은 마리아로 알려져 있다.
◆ 베토벤 : 고별 소나타
피아노의 시인 쇼팽은 마주르카, 녹턴, 왈츠, 발라드 등 여러 독창적인 장르의 음악을 피아노로 승화 시켰다. 하지만 200여곡의 그의 작품 중 소나타는 단 3곡만 차지하고 있다.
자유로운 낭만성을 가졌던 쇼팽에게 ‘테마-발전-재현’으로 이어지는 형식적인 틀의 소나타는 그에게 맞지 않는 옷이었는지 모른다. 오히려 한 세대 전 음악의 성인 베토벤은 무려 32곡의 소나타를 남겼다.
피아니스트들에게 바흐의 평균율 클라비어곡집이 구약성서라면 베토벤의 소나타는 신약성서로 여겨진다. 그만큼 베토벤의 소나타는 끝없는 해석과 무한한 깊이 그리고 심오함을 갖고 있다.
베토벤의 몇몇 소나타들은 비창, 월광, 템페스트, 열정, 함머클라비어 등의 이름이 붙어있는데, 소나타 26번 1악장 또한 <고별(Das Lebewohl)>이라는 부제가 붙어있다. 이 작품은 유일하게 베토벤 자신이 직접 제목을 붙인 작품이다.
소나타 26번을 작곡할 무렵 베토벤이 살고 있던 비엔나는 나폴레옹 군대의 침략을 받고 있었다. 이 시기 그는 청력을 거의 상실하고 음악으로 고통을 극복하며 투쟁적인 삶을 살고 있었다.
그가 마음을 터놓고 이야기를 할 상대는 많지 않았는데 그 중 루돌프 대공은 100여통의 서신을 주고받을 만큼 사이가 아주 각별했던 인물이다. 루돌프 대공은 레오폴드 황제의 막내 아들이었으며 10대시절부터 베토벤의 제자였다. 또한 베토벤이 세상을 떠날 때까지 후원을 계속 했던 인물이기도 하다.
루돌프 대공에게 헌정된 이 작품은 그가 프랑스 군대를 피해 비엔나를 떠날 때 작곡된 작품으로 초고에도 <루돌프 대공의 출발 즈음>이라는 글귀가 적혀있다.
작품은 1악장 <고별(Das Lebewohl)>, 2악장 <부재(Abwesenheit)>, 3악장 <다시만남(Das Wiedersehen)>로 구성되어있다. 작품의 구성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곡은 완전한 이별이 아닌 다시 만날 희망을 품고 있다 할 수 있다.
한편 프랑스에서는 이곡의 제목을 <Das Lebewohl>이 아닌 <Les Adieux>으로 출판하였는데 이를 두고 베토벤은 굉장히 화를 냈다고 전해진다.
<Das Lebewohl>은 마음을 다하여 전하는 인사이고 <Les Adieux>는 모두에게 할 수 있는 가벼운 인사이기 때문이다. 그가 대공을 어떻게 생각했는지 느껴지는 작품이다.
◆ 하이든 : Symphony No. 45 <Farewell>
오스트리아 노이지들러 호수(Neusiedlersee)는 바다같이 넓은 호수로 헝가리 국경까지 뻗어있으며 풍광이 정말 아름답고 근처에는 최고급 품종의 와인을 생산하는 떼루아를 품고 있다.
이런 경치 좋은 곳에 헝가리 귀족가문으로 당대 막강한 부와 권력을 가지고 있었던 에스터하지의 여름궁전이 있다. 현재 에스터하지는 가문의 이름이기도 하지만 와이너리이기도 하다.
음악과 다양한 예술 분야의 커다란 후원자였던 가문의 수장 니콜라우스 후작은 여름포함 1년 중 6개월을 이 궁전에서 머물렀는데, 이곳은 교향곡의 아버지 하이든이 궁정악장으로 30여년간 봉직했던 곳이기도 하다.
한번은 니콜라우스 후작이 6개월을 넘어 8개월 동안 본궁인 아이젠슈타트로 돌아가지 않자 단원들의 불만이 점점 쌓여갔다. 악장이었던 하이든은 가족과 함께 궁에 머무를 수 있었지만 대부분의 단원들은 가족과 떨어져 지내야 했기 때문이다.
이런 사정을 알고 있던 하이든은 단원들을 위해 한가지 묘안을 낸다. 자신의 연주순서가 끝나면 한 명씩 촛불을 끄고 퇴장하는 퍼포먼스를 보이는 작품을 작곡한 것이다. 당시에는 전기 사용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악보 앞에 촛불을 켜고 연주 하곤 했다.
하이든은 그의 교향곡 45번을 후작앞에서 공연하면서 마지막 4악장에 이 같은 퍼포먼스를 집어넣었다. 한 명씩 연주자가 떠나고 마지막 바이올린 연주자 두 명마저 떠나버리자 단원들의 마음을 눈치챈 후작은 다음날 꿀 같은 휴가를 선물하였다고 한다.
보통 4악장은 빠르게 구성되지만 연주자들이 천천히 나가는 시간을 주기 위해 처음엔 빠르게 중간 퇴장 부분부터는 사람의 걸음속도인 안단테(Andate)로 표기되어 있다. 하이든의 재치가 빛나는 이 작품의 자필악보는 현재 부다페스트의 세체니 도서관에 소장되어있다.
☞ 추천음반
쇼팽의 작품은 개인적으로 올드 레코딩을 선호한다. 이별의 곡과 왈츠는 상송 프랑수아(Samson Francois) 그리고 루빈스타인(Arthur Rubinstein)의 연주를 추천한다. 블라디미르 소프로니츠키(Vladimir Sofronitsky)의 레코딩은 구하기 쉽지 않지만 매력적이다.
베토벤의 소나타 또한 워낙 뛰어난 거장들의 연주 레코딩이 많다. 베토벤 역시 올드 레코딩 중심으로 소개한다.
박하우스(Wilhelm Backhaus)를 포함해 동시대의 리히터(Sviatoslav Richter)와 길렐스(Emil Gilels), 캠프(Wilhelm Kempff) 그리고 다음 세대인 브렌델(Alfred Brendel)까지 이들 중 누구를 추천해도 대단한 통찰력을 보여준다.
하이든의 교향곡 45번은 세인트 마틴 필즈 아카데미(Academy of St Martin in the Fields) 또는 오르페우스 체임버 오케스트라(Orpheus Chamber Orchestra)의 연주를 추천 드린다. 2009년 바렌보임 지휘로 빈 필하모닉의 신년음악회에서 연주된 실황도 꼭 보시기 바란다.
◆ 김상균 바이올리니스트
서울대 음대 재학 중 오스트리아로 건너가 비엔나 국립음대와 클리블랜드 음악원 최고연주자과정 최우수 졸업. 이 후 Memphis 심포니, Chicago civic오케스트라, Ohio필하모닉 악장 등을 역임하고 London 심포니, Royal Flemisch 심포니 오디션선발 및 국내외 악장, 솔리스트, 챔버연주자로도 활발히 활동 중이다. eigenartig@naver.com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